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18년 전의 글..... "한국의 정신병"
게시물ID : sisa_49397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Omelas
추천 : 4/3
조회수 : 529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4/03/21 00:05:07

[ garbages ] in KIDS
글 쓴 이(By): ilusion (루돌프아지)
날 짜 (Date): 1997년12월26일(금) 20시46분04초 ROK
제 목(Title): [한국의 정신병]


한국에 삐삐하고 헨드폰이 넘쳐나는이유는? 일본 빼고는 G7중 어떤나라도 한국만큼 인구에 비례해서 삐삐하고 헨드폰이 넘쳐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문화적 측면에서 찾아야 합니다. 이런 거죠. 루이스 뷰똥 핸드백이 일본 빼고 가장 많이 수입되는 나라가 한국이라는 이유와 마찬가지지요. 한국이란 나라는 자신의 고유한 문화적 자존심이 결여된 나라입니다. 말하자면 한국하면 번뜩 떠오를 수 있는 pop culture가 없습니다. 일본하면 전자오락, 쏘니 플레이스테이션, 파이날 판타지, 에님(anim) 망가(manga) 등.. 미국하면 영화산업, 컴퓨터 오락, rock stars등 다른 나라에 수출되는 다양한 pop culture가 존재하지요. 문화적 주체성이 결여된 나라일수록 대중적 fashion 흐름이 다양화하지 못하고 획일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국패션이 일본 고대로 본따니까 일본도 그렇다고요? 천만의 말씀.. 일본은 창시자이지 copycat이 아니니까 예외죠.

그래서 techno pop culture에서 technology를 최신유행의 최첨단과 identify하는 경향이 생깁니다. "가장 최신의 공업제품의 소유자 = 가장 진보적이고 가장 튀는 사람"이라는 잘못된 인식화가 techno pop culture의 특징입니다. 이런 테크노 팝 컬쳐의 창시자가 바로 일본인들이지요. 그걸 고대로 본딴 게 한국이고.

십대들 사이에서 삐삐 없으면 말이 안통하는 구세대로 인식되기 쉽지요. 삐삐나 핸드폰의 대중화는 테크놀러지의 발전에 의해 필요한 것이지만, 돈이 있다고 핸드폰사는 게 뭐 잘못되어 있냐는 한심한 발언은 삼가해야죠. 한국사람들이 돈이 많아서 삐삐 사고 핸드폰 사고 한집 자동차 한대씩을 실현한 게 아니죠. 소위 말하는 우리집엔 무슨무슨 냉장고.. 무슨무슨 자동차... 후진적 사고방식때문에 그렇습니다

iLUSiON
http://www.math.mcgill.ca/~chung



와.....


강산이 두번 바뀌어도


우리는 그대로네요.


사람은 쉽게 변하지 않는군요


18년동안.


앞으로 18년이 지나도 이대로일걸 생각하니


씁쓸하네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