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친일과 기회주의의 절정-치기모토 슌가와
게시물ID : sisa_37371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피콕.1
추천 : 0/4
조회수 : 706회
댓글수 : 6개
등록시간 : 2013/03/23 19:11:17

 

 

치기모토 슌가와

 

다카키 마사오보다 더한 기회주의자인 이사람을 아직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거같아서 적어봅니다

 

 

치기모토 슌가와는 1918년 평안북도에서 태어났습니다.

 

치기모토 슌가와가 10대일때 그의 아버지는 일제의 판임관교원 즉 일본제국의 충복인 황국교원으로 일본에 충성을 바쳤죠

 

 

 

 

욱일의 기세를 보이며 승승장구하던 일본제국은 조선을 강점한데 이어 1932년에는 만주를 점령하는 등


대륙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해 나갔는데요

 

 

윤봉길의사의 상해 홍코우공원 폭탄투척이 바로 이때 1932년 발생한 일입니다

 

 

슌가와의 아버지는 우리민족의 절망기인 이 시기에 일본제국의 황국교원를 다년간 역임합니다.

 

 

치기모토 슌가와는 이러한 아버지 밑에서 자라서인지 일본제국에 대한 애착이 남달랐습니다. 

 

 

젊은 슌가와는 1938년 신성중학교를 졸업한후 평안북도 정주에서 신안소학교 판임관 교원,

 


 

일본제국 황국교원(훈도)을 3년간이나 하였습니다

 

 

1938년 조선총독부는 중등교육에서 조선어학과를 폐지하는 등 내선일체,황국신민화 정책을 적극 추진하여

 

조선의 전통,풍습,언어 등을 말살하는데요

 

 

신사참배,조선말 사용금지,일본말 사용권장,곡물공출 강요,놋그릇 수탈 등은 훈도의 기본업무였으며

 


일제의 훈도는 대 일본제국의 영광을 위해 뛰는 제1선의 자리였습니다

 

 

그는 이때 제1급 악질친일 민족반역자 생활을 한 셈입니다.

 

이때 슌가와는 조선인이 아니라 일본인 그 자체였다고 보는 것이 옳습니다.

 

 

그후 치기모토 슌가와의 친일행적은 더욱 고도화되기 시작합니다


일본 본토로 유학을 가는 것이죠

 

 

 

슌가와는 1941년 일본 동양대학 철학과에 입학합니다

 

 

일제시대 말기 즉 우리민족의 절망기에 자기만 살겠다고 일본 본토로 유학까지 간 청년 슌가와...

 

 

그는 이때 과연 무슨생각을 한 것일까요?

 


일본 본토에서 공부를 더 해서 황국 즉, 대 일본제국의 학부대신이라도 되고 싶었던 것일까요? 이완용처럼...

 

 

 

우리의 독립투사들이 중국 내륙에서 피흘리며 싸우던 일제말기 그 시절,그는 무엇을 생각하고 일본 본토로 유학까지 갔던 것일까요?

 

 

심지어 그 다카키 마사오도 유학을 가지는 않았습니다.

 

일제 말기 일본으로의 유학은 진정 조선인으로서의 양심을 버리는 짓이었죠.

 

 

 

그는 1942년에는 다른 일본신학교로 전학까지 합니다. 신학은 그에게 불안 도피처였을 것이에요.

 

 

이후 일본 본토에서 무려 2년간이나 빈둥거리며


일본놈팽이들과 어울리던 치기모토 슌가와는 이제 친일의 절정을 찍습니다.

 

바로 황군 자원입대입니다

 

 

얼마 없던 주위 조선인 친구들의 만류는 가볍게 무시하고

 

그는 황군 학도병에 자원입대합니다.

 

 

1944년 초까지만 해도 일본인들은 황군에 대한 절대적 신뢰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미드웨이 해전의 패배와 과탈카날 전투는 아직 그들에게는 멀리 떨어진 이야기였죠.

 

 

슌가와는 1944년 봄 평양에서 대 일본제국 군인이되는 훈련을 잘받고 중국 중부 지역인

 

서주 쓰가다부대에 명예로운 대 일본제국 관동군 으로 배속됩니다.

 

 

다카키 마사오는 일본이 만든 괴뢰국 만주국의 장교였을 뿐, 일본군은 아니었지만

 

치기모토 슌가와는 만주에 주둔하던 황군의 일원이었죠.

 

 

그곳에서 그가 잡은 독립군이 얼마였을지 한번 상상해보세요.

 

 

근현대사 시절 우리가 배운 위안스카이와 관동군 사령관의 밀약.

 

바로 독립군 토벌에 대한 관동군 활동 인정...

 

 

이정도까지만 하죠

 

 

 

독립군 사냥에 열을 올리던 치기모토 슌가와에게 한 소식이 들려옵니다

 

 

사이판 섬이 함락되었다는 소식이었죠.

 

 

미국의 B-29기가 동경을 폭격하기 시작했고

 

일본인들은 이제 일본이 패망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자칫잘못하면 전범이 되어 해방되는 조선에서 얼굴을 들고 살 수 없을거라는 생각이 든 슌가와는

 

탈영을 결심합니다.

 

 

 

슌가와 본인 말에 의하면 일본제국이 미워서 탈출했다고 하지만 그 말을 믿을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일제말기 그의 친일행적과 여우같은 처신으로 볼때 그 말은 신빙성이 없습니다.

 

 

치기모토 슌가와는 탈출후 운좋게 같은 탈영병이었던 김준엽을 만나 동행합니다.

 

 

1944년 8월 중국 중앙군 소속 한국인 훈련반에 입소한 슌가와는 훈련을 받은후 그해 11월 중국 중앙군 준위로 임관됩니다

 

 

그후 친구들과 함께 임시정부가 있는 중경으로 가서 1945년 2월 광복군 소위로 임명되죠.

 

이렇게 6개월의 신분세탁으로 그의 신분은 일본제국 관동군에서 독립군으로 바뀝니다 

 

 

 

1938년 일본제국 교원으로 시작한 그의 친일 인생은 1944년까지 6년간 계속됩니다.

 

 

치기모토 슌가와의 광복군 경력은 6개월뿐입니다.

 

그것도 자발적으로 광복군을 찾아간 것이 아니고

 

황군에 자원입대한 후 운좋게 중국대륙 중남부에 배치되고

 

그곳에서 상황이 불리하자 탈영해서 이루어진 우연한 것이었죠.

 

 

그가 만일 과탈카날 주둔 일본군에 배치되었더라면 탈출이 가능했을까요?

 

탈출할 엄두도 내지 못했을 것입니다.

 

아마 야스쿠니 신사에 죽은 그의 이름이 올라있었겠죠.

 

 

슌가와는 일제 강점기 우리의 민족암흑기 시절에 일제의 황국교사로서 일본천황의 충견역할을 하다가


1941년 일본 본토로 유학가서 무려 3년간이나 빈둥거리며 쪽바리 놈팽이들과 어울려 지냅니다.

 

 

치기모토 슌가와는 1943년에는 결혼까지 하며 희희락락한 태도를 보입니다.

 

그는 그 후에 자랑스럽게 황군에 입대하죠.


그가 독립군이 되려는 마음이 조금이라도 있었다면 그때 결혼을 했을까요?

 

 

신채호 선생이 가정을 버리고 떠나 독립운동을 하신 것과 대조되는 대목입니다.

 

 

 

뒷걸음질 치던 소가 우연히 쥐 잡듯이 치기모토 슌가와는 졸지에 광복군으로 변신합니다.

 

우리의 해방은 1945년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슌가와는 1944년 초까지 전형적인 친일 반민족행위자의 삶을 산 사람이었습니다.

 

 

치기모토 슌가와는 기회주의자의 전형일 뿐입니다.

 

 

 

그 후에 그는 광복군으로 행새하며 해방된 조선에서 허리를 꿋꿋히 펴고 살았고

 

 

5.16이 발생하자

 

 

치기모토 슌가와는

 

 

 

"5.16은 4.19의 연장이다"


"민족적 활로를 타개하기 위하여 최후 수단으로 일어난 것이 다름 아닌 5.16군사혁명이다"

"5.16혁명은 부패와 무능과 무질서와 공산주의의 책동을 타파하고 국가의 진로를 바로잡으려는 민족주의적 군사혁명이다

"한국의 군사혁명은 압정과 부패와 빈곤에 시달리는 많은 후진국 국민들의 길잡이요 모범으로 될 것이다"

 

라고 했죠.

 

 

 

그 후에 다카키 마사오가 독제를 시작하자 그는 또 말을 바꿉니다

 

 

국내외 언론의 눈치를 본거죠.

 

 

이런 그가 민주화 투사. 독립투사로 바뀐 우리나라의 현실이 씁쓸할 뿐입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