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미인의 기준 (1)
게시물ID : history_496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Lemonade
추천 : 5
조회수 : 1732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2/07/08 09:29:00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상입니다, 우리가 흔히 고대의 여성상을 꼽을때 가장 많이 떠올리는 바이며 우리에게 과거의 미인상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게 했던 조각상입니다, 사실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는 바입니다만 당시 미인상이 어떠했는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원시 공동체 사회라는게 문화라는게 발달 하기에 제약이 많았던 시대이기도 하고 또 원시 공동체에서 문명 사회로 건너오면서 인간의 삶이라는게 완전히 달라졌다 라고 봐도 좋을 정도로 큰 변화를 겪기에 단정이 힘든 부분입니다. 아무튼 이 조각상에 대하여 많은 학자들에 따라 이 조각상의 의미나 용도에 관해 이견이 갈리는 바입니다만 공통적으로 이 조각상이 사실적이라기 보다는 이상적이라는 것은 공통된 바입니다, 굶주림이 일상화 되어 있고 문화적 여유 같은것은 인간의 생존이라는 절대적 과제앞에 무력화 되던 시절 여유 있는 삶의 상징으로 생각되던 지방이 가득 들어간 두툼한 몸매, 생존이라는 절대적 명제 앞에 여성에게 가장 중요한 역할로 강조되던 출산을 뜻하는 과장된 성기의 묘사와 커다란 가슴, 커다란 둔부 등 그 들이 바라던 여성의 역할에 대한 이상을 담은 조각상입니다. 이후의 문명 사회에 접어들며 여성상은 크게 달라지게 됩니다. 삶에 여유가 깃들면서, 문화의 발달에 있어 제약이 될만한 것은 사실상 없어지게 되었죠, 또한 인간의 가치가 생존에서 그 너머의 무언가로 바뀌어 가면서 이상적인 인간의 기준 역시 변모해 갔고 무엇보다 아름답고자 하는 여인들의 열망과 노력은 그들의 도전적인 성향만큼이나 적극적이고 대담했기에 시대에 따라 요구되는 미인의 상은 끝없이 구체적으로 변화해 갔습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