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임재현이 님께서 적으신 A=B문제에 대한 제 생각.
게시물ID : phil_526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핏빛기사
추천 : 0
조회수 : 683회
댓글수 : 9개
등록시간 : 2013/03/28 17:39:12

 일단 정의하신대로 A와 B가 다른(다르다기보다는 '구분된'이라고 정의하는게 옳을지도 모르겠네요.)존재라고 했을때,

 

 어떻게 동일하다는 뜻을 가진 =이 그 둘사이에 존재가능한가 하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그결과 전 =이란 '한정적인 성질에 대한 판정에서의 동일'이라는 결론을 내보았습니다.

 

 

 어떤 존재 A는 여러가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삼각형, 10개, 6Kg, 200㎤, 합금A...'

 

 또다른 존재 B또한 여러가지 성질을 가지고 있죠. '사각형, 3개, 6Kg, 150㎤, 합금B...'

 

 여기서 여러가지 측면에서 A와 B는 다른성질을 가집니다. 모양도 다르고, 갯수도 다르죠. 구성요소나 부피, 비중등등.

 

 하지만 무게가 서로 같음을 알수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필요한것이 단순히 일정무게를 가진 무게추라면, A라는 존재 대신 B를 대체할수 있을것이며,

 

 그 용도에 있어 A와 B의 차이는 없는 A=B의 관계가 되는것이죠.

 

 

 =은 기호이자 쓰기위한 도구입니다.

 

 만약 =이라는 기호가 '모든 성질에 대한 동일'을 내포하는 기호라면, 과연 사용할 곳이 얼마나 있을까요?

 

 어제의 저와 오늘의 제가 다르고, 방바닥에 굴러다니는 먼지한톨조차 0.0001초전의 그 자신과 '완전히' 동일하지 않습니다. 

 

 물론 심상세계에서의 가정을 이용한 세계에서는 '완벽한 동일'이 존재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의 도구로서의 의미는 그런 가상세계에서의 흙더미 한줌보다는

 

 현실세계에서 대체품을 나타내는 기호로서 더욱 빛을 발한다고 봅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3-03-28 22:04:45추천 0
애주네//
논리학의 기초지식에 대한 말씀이 저에게 하시는 말씀이신지 티디바이오님께 하시는 말씀이신지 모르겠지만 일단 저에게 하는 말씀이라고 생각하고
말씀 드리겠습니다.

일단, 전 공대생이라 철학쪽의 지식이라고는 교양과목 배울때 잠시 들은 정도의 지식밖에 없습니다.
하이데거가 어떤 논거로 어떤 주장을 했는지도 모르고
데카르트 하면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외엔 데카르트 좌표계같은 공학관련 지식밖에 없네요.
이런 짧은 지식으로 거창하게 글을 남긴점에 대해서는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죄송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제가 애주네님께 한가지 부탁이 있다면 제 오류가 대충 어떤 오류인지,
아니면 애주네님께서 말씀하시는 =의 의미, 존재동사에 대한 설명을 간단하게나마 듣고 싶습니다.
그리고 변명입니다만 제가 외국에 사는지라 추천하신 책을 구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혹시 원서 제목을 아신다면 표기 해 주실수 있을까요?
댓글 0개 ▲
2013-03-28 22:43:59추천 0
// 이썰을 풀던 사람들에게..

앞서서 논의하신 분들에 의하면 그 요점은 "어떤 것을 어떤 것이라고 말하고, 또 그 어떤 것을 다른 것이라고 말한다. 존나 참 신기하다. 어떻게 이게 가능하지? 이해가 잘 안되내? 아 씨발 이해가 안된다. 이해가 안되는 말을 하니깐 뭔가 있어보인다. 그래서 난 좇나 철학적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다. ㅋㅋㅋ" 입니다.
이런 생각은 그냥 철학 교과서보면서 "아~ 내가 내가 \'이상한 생각\'을 했구나" 혹은 "참 단순한 것을 복잡하게 생각했구나." 같은 것으로 마무리 지으면 될 것같습니다.

//핏빛기사님
공대생이라고 하시니깐 오히려 설명을 편하게 할 수있을 것같아서 좋습니다.

예를 들어 "1+1=2"라는 수학식에서 "="이라는 기호는 단지 같다라는 의미 혹은 어떤 식을 표현하는 형식일 것입니다.
(물론 이것이 규약주의적인 의미는 아닙니다.)
여기서 "="의 본질이 무엇이냐 하고 묻는다면, 우리는 어떻게 대답합니까?
공대생이니깐 아실겁니다.
씨발 할말 없습니다. 이것 어떻게 대답합니까?
철학은 우리의 전제에 대해서 답하는 학문입니다.  하지만 매우 아쉽게도 우리는 좇나 근본적인 전제까지 파지는 못하는 좇같은 입장에 쳐해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것이 진리인데 그 진리의 근거는 A이다."라고 말했을 때 듣는 사람은 물을 것입니다. "그럼 A를 정당화할때 사용되던 전제들의 전제는 무엇이냐?"... 이런식으로 A는 전제 B를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B는 C를 전제로 사용하는 것이 드러날 것입니다... 이런식으로 무한하게 지랄은 계속될 수 있겠지요.. 하지만 정말 문제되는 것은 그것을 사용하는 근본적인 전제 즉 어떤 논리적인 규범성이 문제될 것입니다. (이 규범성 문제는 씨발 알만한 사람은 알아서 알아 들으시고 모르는 사람은 그냥 아 내가 모르는 갑다... 하세요. 왜냐구요? 씨발 나도 이 문제에 대해서는 잘 몰라요. 아는 사람있으면 소개 좀 시켜주세요. 제발~!) 제가 앞선 리플에서 말한 "존재동사"썰은  씨발 이런 논리적 규범성 혹은 언어의 규범석 혹은 해석성에 관한 하이데거의 해석에 대해서 말한 것입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저도 잘 몰라요.
하지만 제가 말할 수 있는 것은 이런 존재동사 혹은 "모순률, 동일률, 배중률"같은 논리학의 근본규칙들을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 이썰을 풀던 사람들에게 //핏빛기사님에게 말하는 것은
이런 설익인 담론은 철학을 교과서부터 공부하고 계속해서 나아가는 사람들에게 약이 아니라 독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런 질문을 계속파는 것은 괜한 허영심만 키우고 남의 말 안듣는 오만만 키운다는 것알려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이런 개소리는 제 주변에 철학공부는 안하고 철학한다고 깝치던 놈들의 ABC였습니다.
댓글 0개 ▲
2013-03-28 21:29:27추천 0
......
"=" 이라는 기호 혹은 계사라고하는 것 즉 BE동사 혹은 존재동사는....
여러분...
논리학 입문서를 보세요...
정말 할말 없습니다.
당신이 하이데거가 아니라면 아니 하이데거도 논리학에 대한 기초지식은 압니다.
그러니...
그냥 제가 추천하는 책은 "W.C셔먼, 논리학,  박영사" 혹은 "조셉 G 브랜넌, 철학의 의미, 박영사" 같은 교과서를 봐요....
정말 할 말없습니다.
댓글 0개 ▲
2013-03-28 21:04:57추천 0
커피 1Kg = 쌀국수 1Kg -> 무게로서의 동일
커피 10인분 = 쌀국수 10인분 -> 사용횟수로서의 동일
커피 10000원어치 = 쌀국수 10000원어치 -> 가치로서의 동일

커피와 쌀국수를 보는 관점을 각각의 물질성분만이 아닌 그 개체의 모든 성질로 두고 비교하여 같은 성질만을 특정하여
등호로서 표현가능하다는 겁니다.
댓글 0개 ▲
2013-03-28 21:19:01추천 0
티디바이오님의 예제는
커피와 설탕이 연결되는 성질 -> 달다.     혹은      커피와 떡볶이가 연결되는 성질 -> 설탕이 들어있다.
라는 하나의 연결고리(성질)가 등호를 성립시키고,
그 등호가 다시 커피와 떡볶이가 가진 모든 성질이 서로 같도록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는거 같습니다.

하지만 제가 말씀드리는 등호의 사용처는
커피와 떡볶이가 설탕이라는 첨가물이 들어갔다는 공통점을 표현하는데 쓰이는 것이지
그외의 그 둘의 맛이나, 색, 열량등의 나머지 성질들을 변화시키는데는 쓰이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수학적인 관점으로 들어가서, 1=x라는 등식이 있을때, 여기서 x의 값을 정하는 존재는 등호가 아니라
이 등식이 참이라는 전제가 x의 값을 정하게 되는겁니다.

뭔가 이상한 쪽으로 흘러가는듯하여 말을 줄이겠습니다.
흠... 진지는 방금 양고기볶음을 먹고 왔습니다.
댓글 0개 ▲
2013-03-28 19:23:27추천 0
커피 대 설탕, 설탕 대 떡복이, 떡복이 대 쌀, 쌀 대 쌀국수

커피는 쌀국수?
댓글 0개 ▲
2013-03-28 22:47:26추천 0
그리고 참... 말하기 좇같은데 술먹었으니깐 좇나 독설 푸는데...

티디바이오님께 말씀드립니다.

님... 그냥 환단고기 열심히 보세요.... 철학이니 뭐니 개소리하고 어디서 깝치지 말고...

님은 그냥 환단고기 열심히 보세요...
댓글 0개 ▲
2013-03-29 07:38:48추천 0
ㅋㅋ 나 아직 그 책 안봤어요. 강상원 교수님 동영상이나 들어보시던가? 어디서 배우지도 못 한 어리석은 아해가 투정을 부리는지? 참으로 딱하고 불쌍한 것이 봄날에 활짝 핀 벛 꽃이 다음날 비가 와서 다 떨어진 것 같고, 한겨울 잠시 따뜻해지니 봄인줄 알고 냅다 꽃을 피우는 개나리 같수이다. 모르면 질문을 해서 배울 일이지 남의 인신공격을 하다니 이런 개나리꽃 같은 분아!
댓글 0개 ▲
2013-03-29 07:47:14추천 0
그리고 철학 전공자 같은데 난 생물삭도요. 내가 생각하는 철학이란 인간의 삶을 아름답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학문이란 거요. 데카르트  같은 양키 씨발놈들 안 좋아하며, 다만 정약용 선생님 같은 우리의 선조는 좋아하오. 죄다 앉아서 책만 읽으니 답답하고만! 실천을 행해야 확인이 되는 겁니다. 지난번에 처음 댓글을 달았을때 간단하게 집합을 이용해서 글을 남겼더니 이해는 아무도 못 하고선 되려 나보고 틀렸다? 어처구니가 없네요. 그림이나 그려 보시구랴? 애주가  술이나 많이 잡수시구랴!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