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무당과 개독무당 비교도표
|
| 샤머니즘 형태
| |
|
| 굿형태 | 조선무당
| 기독무당
| 신내림 | 신내림,초신 | 성령받음,강신 | 흥분도구 | 시나위,굿거리,북..등 타악기, 춤,고.저 음 고루 사용 | 노래(찬송,볶음송),북,드럼..등 타악기 리듬악기군 주로 사용, 율동, 춤 가미 | 흥분기제 | 도파민 분출,흥분,자아상실,몰입,신내림 | 도파민 분출,흥분,자아상실,몰입,성령신내림 | 주문 | 주문,굿판 | 설교,조기도문,사도신경,주구리 방언 | 주문과 방언 | 살바살바옴부리샤랄라구닷쿰발삿미얀밧비샤랏옴비 귀신니방류삿띠... 방언 사용 | 히브리 방언 우가릿샬바바엘리엘리라바사박다니 굿라샤바라비사... 방언 사용 | 빌기 형태 | 비나이다 비나이다 비나리 응답 | 아멘 할렐루야 믿나이다 응답 | 제신방법 | 물,팥뿌림,칼 십잘로 던짐 | 구타, 안수, 고함지르기,욕하기,저주하기,나가라, 으박지르기, | 기복형태 | 치병 귀신 내쫒음,한풀이,길흉화복 점 | 치병,병들림,귀신 불러옴,한풀이,길흉화복 직수 | 구제와 저주 | 구천귀신 구제 | 지옥 저주 강조 | 조상 | 조상을 좋은 곳으로 인도 문제 해결 | 조상 저주,무시,괄시,히브리신 초령,문제 침소봉대 | 엑스터시 | 살풀이,카타르시스 경험 | 살.한 묶기 카타르시스 경험 | 신 | 삼신할매,관우장군 | 야훼할배,야소랍비 | 굿.절기 | 단오제,별신굿,당산제,대감굿,용왕굿,제석굿,칠성굿, 판굿,두레굿,싯김굿...등 | 오순절,유월절,초순절,부활절,성탄절,대강절,사순절, 초막절,고난절,강림절...등 | 관계 | 민중 공동 참여 | 확고한 종주관계 | 경전.도구 | 방울,십자칼,징,쌀,머리카락,부채,주문서, | 개독경,사도신경,십자가,악다귀쓰기,물뿌림 | 음식차림 | 막걸리,시루떡,과일 | 빵조각,포도,포도주 | 헌금 | 굿채,복채 | 수백가지 헌금,물품대약 | 교리 | 삼신제석,삼불제석,고깔제석 | 야훼,야소,성령 삼위일체 | 양식 | 조선식 | 히브리식+히브리식 잡탕 | 원류 | 출발:풍류도 | 출발:유대교 | 외형 | 굿 | 부흥회 | 주도자 | 무녀,무당,박수무당(남.여) | 먹사,장로,부흥강사(남.여) | 최고신 | 최고신명칭:하나님,하나님 | 최고신명칭:야훼 | 신의 종류 | 신의 종류:273신(자연신:22, 인간신:11 총33계통) | 바알,야훼...등 다신론에서 배화교식 선.악신 2분법에 의한 3신일체신 | 역할 | 무당:제사장, 치료자, 예언자, 예술가, 오락가 기능
| 먹사:제사장, 치료자, 예언자, 예술가, 오락가 기능
| 발작 | 손끝이 떨림, 몸이 뜨거워짐, 발작, 환청, 환각 상태 등을 경험
| 손끝이 떨림, 몸이 뜨거워짐, 발작, 환청, 환각 상태 등을 경험
| 응답형태 | 비나리(간절히 빌기),재앙회원 | 박수치기+복빌기,재앙회원 | 기복종류 | 예언.계시기도:입시, 승진, 선거, 재수, 가운(家運), 이주방향, 혼인, 질병, 여행, 사주, 궁합, 신수, 택일, 해몽, 작명, 관상, 수상 등. 그 주재자는 무격, 맹인, 일관, 역술가, 작명철학가, 지관 ..
| 예언계시기도:입시, 승진, 선거, 재수, 가운(家運), 이주방향, 혼인, 질병, 여행, 사주, 궁합, 신수, 택일, 해몽, 작명, 관상, 수상, 목사,신접자,장로,목사,선지자,집사...
| 관리 | 단골 고객 가정방문 | 단골 교인 심방 | 신앙 | 의타성,사행심,운명론 | 절대의타,사행심,선택운명론 | 환불방식 | 무당추방,굿채 반환소송 | 비판의식 상실,헌금환불 불가 | 신의송신 | 청신,봉신,오신,송신 | 청신,봉신,오신,송신 | 회화 | 민화,무화,삼신상 | 개독화,야소화,십자가,성모상 | | 【참고문헌】 김두하, 1990, <벅수와 장승> (집문당). 김인우, 1987, [풍물굿과 공동체 신명], <민족과 굿> (서울:학민사). 김인회, 1987, <한국무속사상연구> (집문당). 김정환 외, 1986, <문화운동론2> (공동체). 김태곤, 1991, <한국의 무속> (대원사). 김헌선, 1988, <사물놀이란 무엇인가> (서울:귀인사). 김현숙, 1987, [호남좌도에 관한 연구―-임실과 진안의 판굿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민속학회 편, 1994, <한국민속학의 이해> (서울:문학 아카데미). 민족굿회 편, 1987, <민족과 굿> (학민사). 민중예술위원회, <삶과멋> (공동체). 박인배, 1987, [공동체문화와 민중적 신명], <민족과 굿> (서울:학민사). 봉천놀이마당 편, 1994, <민속교육 자료집> (서울:우리교육). 서종대, 1994, [문화재보호와 전통문화정책], <굿> 7. 신기남, 1981, <어떻게 허먼 똑똑헌 제자 한놈 두고 죽을꼬> (뿌리깊은 나무). 신용하, 1984, [두레공동체와 농악의 사회사] <한국사회연구 제2집> (서울:한길사). 심우성 편저, 1975, <한국의 민속극> (서울:창작과 비평사). 양진성, 1993, [호남좌도 필봉굿 연구], <무크. 풍물>. 이보형·주강현, 1989, <노동과 굿> (학민사). 이상일, <굿, 그황홀한 연극> (강천). 정병호, 1986, <농악> (서울:열화당). 조흥윤·이보형, 1993, <서울 진오기굿> (서울:열화당). 주강현, 1987, [마을공동체와 마을굿·두레굿 연구], <민족과 굿> (서울:학민사). ―, 1992, <굿의 사회사> (웅진출판). ―, 1996, <우리문화의 수수께끼> (서울:한겨레신문사). 최길성, 1994, <한국 무속의 이해> (서울:예전사). 허 균, 1991,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 (서울:교보문고). 황루시 글, 김수남 사진, 1989, <팔도굿> (대원사). 황루시, 1989, <서울 당굿의 현황과 특징> (서울:열화당). ―, 1989, <서울당굿> (서울:열화당). ...기타 논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