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마약의 역사 (31) 유럽과의 아편 교역
게시물ID : history_499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Lemonade
추천 : 2
조회수 : 1102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2/07/10 09:13:44
지난 글 : 마약의 역사 (30) 먹는 아편에서 피우는 아편으로 (파란 글자를 클릭하시면 됩니다.)아랍인들은 인도와 인도차이나 해안을 거쳐 중국과 교통하였고, 대부분 항구 주변에서 교역했다. 반면 유럽인으로서 최초로 중국에 도착한 마르코 폴로 일행은 13세기 티베트 북쪽의 대상로를 여행하면서 중국에 들어오게 되었다. 

이후 이 육로는 유럽인들이 아랍과 중국을 오가는 중요한 교통로가 되었다. 그러나 15세기에 접어들면서 아랍인들에 의해 육상로의 안전이 위협받게 되자 유럽인들은 새로운 교역 상대를 찾아 세계 각지로 진출하였다. 

그러던 중 중국으로 향하는 항로를 찾게 되었다. 새롭게 발견된 항로를 따라 중국에 가장 먼저 들어온 사람들은 바로 포르투갈인이었다. 이들은 1514년에 교역의 거점 확보에 실패했지만, 지속적인 시도를 통해 1557년 주장강(珠江)(중국 화남 지방 최대의 강. 전체 길이가 2129킬로미터로 둥장강,베이장강,시장강 등 세 강으로 크게 나뉜다.) 어귀의 서쪽 해안에 독점적인 교역기지 설립 허가를 받는 데 성공했다. 

이곳이 바로 마카오다


.

마르코 폴로

마카오의 모습

이후 유럽인들은 계속해서 중국에 진출하여 여러 가지 물품을 교역했다. 이들이 교역한 물품 중에는 아편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17세기 초 인도 서쪽 바다에 자리한 고아(Goa)의 포르투갈인 거주지역에서 최초의 아편이 유입됐다. 포르투갈인들이 중국으로 들여온 아편은 말와 아편으로 원산지는 인도 중서부의 마라타(Marata)였다. 그러나 이 교역은 새로운 강자로 등장한 네덜란드가 자리를 잇게 되었다. 네덜란드 인들은 생아편을 인도로부터 자바로 들여왔고, 중국으로 재수출했으며, 그 뒤 18세기에는 영국인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며 아편의 역사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기 시작했다


.

인도의 마라타17세기 후반, 강희제(康熙帝,청나라의 4대 황제, 재위 1661~1722)는 황실에 도착한 예수회 선교사들에게 조금씩 마음이 끌렸다. 비록 서양에서 온 사람들이라 신용할 수 없었지만 (중국인은 모든 세계가 잔신의 제국에 포함되는 것으로 믿었다.)황제는 그들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것이라 판단하고, 급기야 1685년에 캔톤(Canton, 지금의 광저우) 항을 무역업자들에게 개방했다. 대신 엄격한 규정들을 발표해 제국의 안전을 구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

강희제


근대 초기 광저우의 모습


1880년 광저우의 모습을 그린 그림

1세기 반 동안 중국과의 교역은 8개 규정에 의해 엄격히 관리되었다. 그 중에 가장 중요한 조항은 어떠한 전함이나 무기도 주장강으로 들어올 수 없으며, 상선들 역시 강 아래쪽 약 10해리에 자리한 왐포아(중국 남동부에 돌출한 주룽반도(九龍半島)에 속한 한 지역) 섬 가까이 접근할 수 없다고 규정한 것이었다.

그러다 보니 식수나 음식물 등은 삼판(sampan, 중국 및 동남 아시아에서 쓰이는 작은 배. 갑판이 없고 바닥이 낮고 평평한 목조선으로 길이는 3~4미터 정도이다. 대부분 노를 써서 움직인다.)을 통해 겨우겨우 조달되는 실정이었다. 이로 인해 외국 상선의 선원들은 대부분 풍토병인 말라리아로 고생하고 있었다. 게다가 모든 사회적,상업적 접촉은 독점적인 교역권을 가진 8~12개의 중국 상인들의 카르텔인 공행(公行)을 통해 이루어졌다


.


베트남에서 사용중인 삼판공행 상인들은 외국과의 교역을 관할하는 관리를 매수하여 교역 독점권을 얻었으며, 외국 상인들에게 공행 운영허가서를 발부하여 막대한 이익을 올렸다. 공행이 발행하는 운영허가증 한 개의 비용은 의무적인 뇌물을 제외하고 약 5만 파운드에 달했다. 

공행 상인들은 교역독점권을 잃지 않기 위해 담당관리에서부터 현지 태수와 성장(省長)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액수의 뇌물을 주었다. 뇌물을 통해 교역을 독점했던 공행 상인들은 극도의 사치 속에서 생활했다.


당시 공행중 가장 컸던 오호관의 주인 오병감의 모습. 그의 전재산은 청 조정 1년 수입의 절반에 달했다고 함

외국 상인들의 교역과 관련된 8개 규정에 대한 불만에도 불구하고 18세기 내내 교역량은 크게 늘어났다. 이들이 공행들의 횡포와 엄격한 규정 속에서도 중국과 끊임없이 교역을 시도했던 이유는 일단 중국 관청의 승인을 받으면 엄청난 이익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중국의 수출품은 차, 설탕, 비단, 자개, 종이, 계피, 동, 백반, 금, 은, 칠기, 대황근(大黃根, 약재로 이용되던 식물의 뿌리), 대나무, 자기, 그리고 각종 오일 등이었으며 수입품은 면, 철, 주석과 납, 홍옥수(紅玉髓, 보석의 원석)와 다이아몬드, 후추, 빈랑나무의 열매, 진주, 회중시계, 탁상시계, 산호, 호박 목걸이, 제비 둥지, 수프용 상어 지느러미, 물고기, 쌀 등이었다. 그리고 아편이 포함되었다.

홍옥수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