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현 상황과 대비되는 이야기 한편
게시물ID : sisa_50032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illyasviel
추천 : 4
조회수 : 572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4/04/17 12:37:40
1852 년, 영국해군의 자랑스러운 수송선 '버큰헤이드 호'가 사병들과 그 가족들을 태우고 항해중, 아프리카 남단 케이프타운으로부터 약 65km 떨어진 곳에서 암초에 부딪쳤습니다. 

새벽 2시, 그 배엔 130여 명의 부녀자를 포함해 630여 명의 승객이 타고 있었습니다.

놀라서 잠을 깬 승객들은 커다란 공포 속으로 휘말려갔습니다. 


완전히 허리가 끊긴 배에는 3척의 구명정이 있었지만 1척당 60 명, 전부 합해야 180 명밖에 탈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더구나 그곳은 사나운 상어떼가 우글거리는 곳,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풍랑은 더욱 심해져 승객들의 죽음을 앞둔 공포심은 더 높아지고 있었습니다.

 
이때 사령관 시드니 세튼 대령은 전 병사들에게 갑판 위로 집합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병사들은 명령에 따라 훈련시처럼 민첩하게 집합하여 부동자세를 취했습니다.


그동안 한쪽에서는 횃불을 밝히고 부녀자들을 3척의 구명정으로 옮겨 태웠으나, 마지막 구명정이 떠날 때까지 갑판 위의 사병들은 마치 열병식을 하는 것처럼 미동도 없이 서 있었습니다.


구명정에서 '버큰헤이드 호'를 바라보고 있던 부녀자들은 갑판 위에 의연한 자세로 서 있는 그 병사들을 향해 흐느꼈습니다. 

잠시 후 배가 가라앉으면서 갑판위에 서 있던 세튼 대령과 병사들의 머리가 모두 물 속으로 잠기고... 
그렇게 그들은 사라져 갔습니다. 
겨우 판자에 매달려 목숨을 건진 한 장교는 그 당시의 상황을 이렇게 되뇌이며 울먹였습니다.


"모든 병사들의 의연한 태도는 최선의 훈련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기대효과를 훨씬 넘어서는 것이었다. 누구나 명령대로 움직였고 누구 하나 불평 한 마디 없었다. 

그 명령이 곧 죽음이라는 것을 잘 알았으면서도 마치 승선명령이라도 되는 것처럼 이에 따랐다."


'여자와 어린이 먼저'라는 훌륭한 전통이 세워진 것은 바로 이 사건 이후부터였습니다.


그 후 영국인들은 항해 중 재난을 당했을 때 서로 상대방의 귀에 대고 이렇게 속삭인다고 합니다.


"버큰헤이드 호를 기억하라."






원래 이게 맞는 건데...
선장이란 놈은 먼저 탈출이나 하고 있고
승무원도 젊은 승무원이 가장 책임감 있고... 
나이를 거꾸로 먹었나 ㅡ.ㅡ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