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이 나왔습니다.
저그전에는 써먹기 어렵다
오히려 플토전 올인으로 가능 빌드다.(맵이 작아야 가능 만발 세종 추천)
사실 저그를 잡기 위해서 연구해본빌드인데 의외로 플토전에 좋은점이 많았습니다.
일단 저그전의 경우 앞마당 멀티를 안먹고 올인인데 이걸 정찰을 안당하게 해야하는데 그게 사실 불가능이라서 (가능하다면 님버스정도 ? )
제가 멀티가 없다는 걸 안 저그 유저는 저글링 다수 생산 답이 없는 상태가 자주 나옵니다.
(저그가 방심에서 여왕만있어도 저글링이 없고 여왕 2기를 녹인후에도 저글링만 뽑아도 그 저글링에게 압도당하는걸보니 ...영)
그에 보완하기 위해서 벙커 2개를 상대기지에 짓도록 해봤습니다만 점막 외각이라 한계가 있더군요
저그전 승률을 65%를 40%로 까지 깍아가며 연구해봤지만 저그전에는 저글링다수에 답이 없고 요즘이상하게 트리플 가는 분들이 별로 없어서 이것도 영 ...
차라리 유령 기갑병 올인 빌드가 더 더 좋아보입니다. (사실 원래 이거 쓰다가 바퀴한테 막혀서 바꾼건데..)
본론으로 돌아와서 플토전에 유령올인빌드는 저그전보다는 양상이 더 팽팽하고 막강하게 먹힙니다.
유령올인빌드역시 멀티를 안먹는 전제로 갑니다. 배럭은 4배럭까지 올립니다. 가스는 원가스만 먹고요 미네랄 일꾼은 18~19기까지만 뽑습니다.
원래 이 빌드의 착안점은 광자화충전 하나 믿고 병력은 거의 뽑지도 않고 패스트 거신가는 노양심토스를 저격하려고 만든건데
플레에서 그런분은 잘 안보이더군요 -_
일단 사신한기로 정찰, 사신 1기 생산후 배럭은 반응로 답니다. 그리고 멀티를 먹을 자원 300정도가 모이면 배럭 2개를 동시에 올리고 그배럭완성이 될쯤에 기술실과 유령사관학교 동시에 올립니다.
첫번째 업그레이드는 충격탄 으로 합니다. 스팀팩은 몇번해봤는데 업그레이드 비용도 부담스럽고 시간이 너무길어서 올인시 업그레이드 보류합니다.
첫번째 기술실에는 불곰을 뽑고 마린을 모아줍니다. 첫번째 불곰 뽑고 바로 유령생산합니다. 유령은 1기이상 뽑지 않습니다.
유령을 제외한 불곰과 4~5 해병으로 첫번째 푸시를 갑니다. (멀티를 안먹었기 때문에 타이밍이 약간 빠릅니다)
광자화충전에너지가 100을 조금 넘은 상태에서 광자화충전을 쓰게 하는 되면 베스트입니다. (그렇게 되면 모선핵이 아니라 병력에 이엠피를 쓸 여유가 남습니다. )
첫번째 광자화충전을 기분좋게 빼먹었답면 스캔에너지를 한번 쓸 남겨두시고 이젠 2번째 올인에 병력을 구성합니다. 일꾼 5기 이상 동반하시고 가스 일꾼은 미네랄로 바꿉니다.
이때 병력 구성은 불곰 3 ~4 유령 1기 마린 5기 이상 정도로 되는데요 상대도 보통 방심하지 않으면 파수기 2기 질럿 소수 추적자 소수 불멸자 하나 광자화 충전으로 구성됩니다.
보통플토 모선핵은 상대가 의료선 때문에 입구 언덕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첫번째 이엠피는 모선핵을 노리면 좋지만 못노린다면 상대병력이 모여있는 곳에 이엠피를 쏩니다. 그리고 두번째 이엠피를 모선핵에 쏘고 맞추면 그 유령역활은 끝입니다. (만발의 경우 맵이 가까워서 2차 러쉬 올때 마나가 100이 안됩니다만 다른맵은 아슬아슬하네요 )
여기까지 오면 플레 실력이면 대부분 뚤리더군요
그리고 이 빌드의 장점이 하나 더있다면 그건 프로토스 노 멀티 올인성 빌드에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 입니다.
상대도 노 멀티 올인 빌드라면 적당히 막아주고 운영으로 넘어가는것이 베스트입니다.
다크템플러의 경우 -> 이엠피 은폐효과 제거 가능 및 다템 쉴드 60 체력 40 이기때문에 사실상 카운터도 가능합니다. 스캔을 아낀다는 점도 있고요
예언자 -> 이엠피 맞으면 침묵합니다 (.....)
불멸자 파수가 이하 생략
사실 유령이 저그전과 달리 플토전에서 이엠피 두방작렬하면 날라가는 체력이 싸이오닉스톰급이죠 (이건 피해도 의미도 없고 )
자극제가 없어도 테란병력이 괜찮게 싸울수있습니다.
결정적으로 상대가 이런 빌드는 거의 본적이 업기 때문에 대응이 썩 좋지는 않습니다.
이상 유령 연구 빌드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