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마약의 역사 (45) 아편 반대 운동
게시물ID : history_508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Lemonade
추천 : 0
조회수 : 943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2/07/21 21:49:32

지난 글 : 마약의 역사 (44) 마약 먹는 섬


http://todayhumor.co.kr/board/view.php?kind=&ask_time=&search_table_name=&table=history&no=5074&page=1&keyfield=&keyword=&mn=&nk=&ouscrap_keyword=&ouscrap_no=&s_no=5074&member_kind= 



1880년부터 아편 가격이 서서히 하락하기 시작했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우선 중국에서 국내산 아편이 증가한 것이 하나였고, 중국이 일반 무역을 더욱 개방하면서 대부분의 외국 무역상사가 사업을 다각화한 것이 또 다른 이유였다. 


특히 중국산 아편의 증가는 1890년대 인도 아편의 경쟁력을 상실케 했으며 심지어 엄청난 양의 아편을 교역하던 자딘 메티슨마저 1872년 아편 교역을 중단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메티슨이 엄청난 수익을 보장해 주는 아편 사업을 포기한 데는 영국 내에서 아편에 대한 비판이 점점 고조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메티슨은 이 같은 사회 분위기를 비아냥댔다. “그 성인(聖人)들은 호들갑을 떨면서 정의를 부르짖었고, 이제까지 자신들을 편안히 먹여살린 것이 무엇인지 잊은 듯 했다.”

 

1870년대 인도에서는 아편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인도에서도 중국과 마찬가지로 아편 중독자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아편과 관련된 일을 하는 노동자들은 아편을 훔쳐먹고 중독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1881년 인도의 봄베이(인도 마하라슈트라 주의 주도이자 인도 최대의 도시. 현재의 뭄바이) 주 정부는 아편이 노동자들을 타락시킨다는 이유로 봄베이에서 양귀비 재배를 금지했다. 봄베이 주 정부는 양귀비 재배를 시작한 후 범죄와 부패가 구자라트(파키스탄 펀자브 주에 자리한 도시)에서 급증한 것을 증거로 제시했다. 


아편을 반대하는 운동이 특정한 나라에서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아편의 폐해를 경험한 국가라면 아편에 반대하는 것이 당연했고, 소수였지만 식견있는 사람들은 한결같이 아편 반대를 주장했다.

 

아편 교역은 기본적으로 공급과 수요의 원리 그리고 만일 내가 손대지 않는다 해도 다른 누군가가 할 것이라는 전제 아래 발전했다. 하지만 아편이 남기는 반인륜적인 결과에 비해 인간의 도덕적 양심은 수십 년간 미미하게 발전했을 뿐이다. 


소수의 양식 있는 사람들과 비평가들이 아편전쟁이 일어나기 이전부터 아편을 반대했지만 그것은 일시적이었고 아무런 영향력도 발휘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식있는 사람들 중에서 샤프츠버리 백작은 오랜 세월 동안 아편을 반대하는 일에 관여했다. 그리고 애쉴리 경은 1843년 아편 교역과 독점권이 기독교 왕국의 영예와 의무와는 완전히 모순된 것이라고 의회 발의를 했고, 14년 뒤에 이 문제를 다시 상원에 제기했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어떤 사람들은 오히려 그를 비난했고 아편에 대한 긍정적인 면만을 이야기했다. 제임스 존스턴 목사 또한 아편 교역이 유익한 면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인도에서는 무서운 저주로, 중국에서는 치명상을 안겨줄 흉기로 나타나며 영국의 이름을 더럽히는 해악이라고 단언했다.

 

1874년 아편 반대 집회가 런던에서 열렸다. 집회의 중심인물 중 한 사람이었던 응 아초이는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

 

인간의 육체와 정신을 파괴하는 아편 거래를 철폐하는 것이 필연적이라는 데 이론이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중국의 전 국민이 아편으로 타락했다. 음주,도박,간통,아편, 이 네 가지 악습 중에서 아편 흡연이 가장 나쁘다는 말이 있다.

 

1874년 영국에서는 샤프츠버리를 회장으로 하는 아편 교역 반대 단체가 창립되었다. 이 단체가 열정적으로 활동했던 10년간 자금 지원은 퀘이커교(1647년 영국인 G. 폭스가 창시한 신교의 교파)의 신도들에 의해 이루어졌고, 배후에는 저명한 퀘이커교도이자 신망 높은 변호사인 조셉 그룬디 알렉산더가 있었다. 결연하고 침착한 논리로 변론에 임했던 그는 아편 무역상들조차 존경해 마지않은 무서운 상대였다.

 

이 단체는 진보적인 중산층의 가치관에 도덕적 박애주의를 내세우면서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 특히 1868년에는 독약과 제약업에 관한 법령과 아편에 대한 별도의 규정이 필요함을 주장했다. 


또한 아편을 반대하는 서적,팸플릿, 그리고 <중국의 친구>라는 잡지를 발행했으며, 영국 각처에 사무실을 개설하여 대중집회를 열고 기금을 모금했다. 아울러 하원의원들에게 지속적으로 아편 반대운동을 펼쳤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1882년 한 해에 489개의 청원서를 의회에 제출하기도 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