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아웃라이어'에 나오는 항공사고의 예
게시물ID : sisa_51005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임오유
추천 : 0
조회수 : 495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4/05/06 23:36:17
이 책에 (말콤 글래드웰 저) 

기장이 뱅기 몰고 부기장이 보조한 경우가 

부기장이 뱅기 몰고 기장이 보조한 경우보다 사고율이 더 높은 이유가 

부기장에서부터 기장으로 가는, 위험을 알리는 의사 전달 내용이 상하 관계에 매여있기 때문에 적확하게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라는 내용이 있슴. 

1997년 대한항공 괌추락 사고를 예로들면서....


그런데 곰곰 생각해보면 한국의 문화는 그때나 매한가지로 여전히 하급자가 상급자의 의견을 무시하기 힘듬. 

배도 회사에서 많이 실으라고 하면 걍 시킨대로해야 함. 정부기관도 마찬가지임. 말도 안되는 뻘짓 때문에 서류작업한다고 실무작업 손댈 겨를 없슴(특히 교육계가 그럼)

대통령은 이번 사고를 어떻게 진단하고 있을까요? 

주변 사람이 죄다 대통령 눈치나 살피는 환관으로 변해버렸는데....

이런 방식으로 과연 적폐를 해결 가능할까?  현장에서 자기 목소리 없이 윗선 눈치보게 만드는게 바로 사고의 한 요인이기도한데...

이번 사고 수습에서도 우왕좌왕하는 이유도 그 때문이고. 현장 이야기보다는, 아무것도 모르는 중앙의 지시를 기다리다가 시간 다 날림.

누가 적폐인지 모르겠는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