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긴글 주의, 본삭금] 지극히 현실적인 일반인의 차를 선택하는 기준
게시물ID : car_5180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Cislunar
추천 : 8
조회수 : 1192회
댓글수 : 11개
등록시간 : 2014/09/11 13:34:31
옵션
  • 본인삭제금지
30대 후반 흔유부징어의 차를 선택하는 기준을 나열해봅니다.

26세 중고차 구매부터 현재까지 3대의 차량 구매해봤음.
본인은 현재 09년 투싼ix를 신차구매 후 운행 중.
슬슬 차에 질리고 SUV 특유의 승차감에 불만족(투싼만의 종특인지 모르겠으나 뒤가 따로 놈)
약 2개월전 차를 바꾸고 싶다는 욕망 꿈틀!

와이프님은 중고차 싫다고 함.
그러나 집 넓히며(깨알 자랑) 총알이 부족해짐에 따라 현재 차량과 대차를 알아보기 시작함.
본인은 국산차의 차량 안전에 대하여 큰 두려움 없음.
간 튜닝이 아닌, 실제로 경험에 의해 안전장치가 잘 작동된다는 것을 몸소 체험했기 때문임.

그렇기에 차량의 급과 옵션 및 디자인을 고려하여 10년식 이상의 K7을 찾게됨.
같은 급과 디자인이라면 옵션이 선택에 상당한 역할을 함.
신형 계기판, 통풍시트, TCS, 전동시트, 선룹 등등 고려하다보니 
차량 찾기가 힘듬이라고 얘기하지만 실은 예산 부족(집 넓히느라 그랬다고 또 자랑) ㅠ
몇차례 실물 차량 보러 다니다가 무리해서 중고차 사느니 내년에 신차로 교체로 방향 전환.

신차 고려사항: 풍부한 옵션 및 안전장치, 승용차 선호, 2000cc 이상, 주행거리가 많지 않기에 가솔린도 무방, 예산 범위 취등록세 포함 3500만원 이하..

상기 고려사항을 기준으로 가능 차량 나열해보면,
1. 현기: 쏘나타, 그랜져2.4, 그랜져 디젤, K7 2.4, i40 > 맘에 드는 편의사양 고려하면 더 줄어듬
2. 쉐보레: 말리부, 말리부 디젤, 알페온 2.4 > 편의 사양 부족
3. 르삼: SM5, SM5 디젤, SM7 2.5 > 1.5 디젤 채용, 편의사양부족, SM7의 호불호 심한 리어 디자인
4. 유럽산: 없음ㅠ > 2000cc 아래로 내려가야 함 * 추천차량 있음 알려주심 감사
5. 미쿡산: 아는게 없음
6. 일본산: 도요타말곤 관심 밖, 현재의 캠리는 디자인 구림(개취)

상기의 이유로 그랜져 디젤을 눈여겨 보다가

도요타의 역습(이 될지 또는 현기나 도요타나가 될지 모르지만) 모델 캠리 2015년식이 눈에 들어옴.
아마도 올해 말에 국내 출시될 예정임. 가격대도 양호할 것(가솔린 2.5 기준 2800~3200만원 예상)으로 판단. 
편의사양만 괜찮게 나오길 기대하고 있음.

결국 편의사양만 무난하게 받쳐준다면 도요타 당첨!

====================================================================================================

2개월동안 차량 교체로 머리 좀 굴리다 선택된 답변 입니다.
여기서 예산만 +1000만원만 된다면 수입차 범주에도 포함되어 선택의 폭은 다양해집니다.
그러나 딱 max. 3500만원 가지고는 거의 대부분 이런 고민을 하리라 예상합니다.

결국엔 돈이네요 ㅋ

어쨌든 현기는 그동안 국내 소비자를 잘 구워삶은 덕분에 편의사양이라는 무기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제차 대비 가격경쟁력도 아직까진 유지하고 있구요.
그래서 캠리 고려 전 그랜져디젤이란 놈을 가시권에 들게 했구요. 2.2 R엔진이 꽤 괜찮은 놈이란걸 알고 있어서 계속 고민해야 할 것 같긴 합니다.
만약 캠리가 편의사양이 부족하다면 그랜져 디젤로 갈아탈수도 있겠네요.

차는 사야되고, 예산은 한정적인 대부분의 일반인들에게는 현기는 무시할 수 없는 선택지 입니다.
급 낮춰 외제차 사라고 얘기하는 분들도 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게 현실적으로 쉽지는 않습니다.
현기를 타는 것이 안전을 포기하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외제차와 현기차의 안전성은 압도적인 차이가 아니란걸 아실겁니다. 
거기다 신문기사 현기차 사고기사로 접한 것이 아닌 몸소 실제 현기를 경험한 사람들에게는 현기는 흉기다! 라는 얘기는 비현실적인 얘기입니다.
돈 몇푼때문에 안전성을 포기하는냐? 하는 분들 어느선까지 가격을 올려야 안심하고 차를 탈 수 있을까요? 

결국 선택의 끝은 캠리였지만 선택의 과정중에 현기가 차지하는 부분을 강조하고 싶었습니다.
막상 차량구매의 시점에 봉착하면 대다수의 분들이 같은 고민을 하실겁니다.

끝으로 결론이 없음으로 일부 문장에 음슴체를 썼음을 밝힙니다ㅋ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