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공정무역커피와 애국심가격
게시물ID : economy_518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새성
추천 : 12
조회수 : 973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3/12/28 17:11:18
먼저 이 내용은 제가 군대에 있을때 읽었던 <경제학 콘서트>라는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했음을 밝힘니다. 
naver_com_20131228_151845.jpg
  이 책을 보면 '공정무역 커피' 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오늘날 세계 인종, 성별, 나이를 떠나 모든 사람들이 즐겨 마시는 커피원두의 원가가 사실은 매우 낮다 는걸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실제로 원두를 생산하는 브라질, 베트남, 멕시코 등등 개발도상국의 사람들은 힘든 육체노동과 아동노동의 결과로 생산되고 있으며, 그들에게 실제로 지불되는 임금과 가격은 형편없이 낮다. 이는 유통중간에 개입하는 수많은 도소매상과 유통업자의 횡포에 기인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 하려고 나온것이 이른바 '공정무역 커피'다.
 
 '공정무역 커피'의 핵심은 실제 생산자에게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더 높은 가격에 원두를 구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운동은 커피 노동자들의 열악한 환경과 저임금에 대해 들었거나 알고 있던 사람들에게 큰 호응을 받았다. 스타벅스나 여러 커피 브랜드에서도 자신들은 '공정무역 커피' 원두를 쓴다고 광고하기 시작했고, 일반 마트에서도 '공정무역 커피' 가 들어 왔다. 그리고 일부 커피 노동자들은 기존의 원두가격의 두배, 세배의 보상을 받게 되었다.
 
  이상한점은 '공정무역 커피'의 가격이 일반 커피보다 더욱 비싸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자기가 지불한 '공정무역 커피'의 더 높은 가격만큼 실제 노동자들이 혜택을 볼 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실제로 원두가격을 두배 세배로 지불했어도 기존에 원두의 가격이 형편없이 낮았기 때문에 우리가 지불하는 '공정무역 커피' 가격만큼 오를 필요가 없다.
 
 
'공정무역 커피' 한잔 가격상승 = 500원
 
원두1kg  =  커피 100잔
 
원두1kg 원가 =  2000원
 
'공정무역 커피' 원두1kg 원가 =  4000원
 
  여기서 우리는  '공정무역 커피'에 마케팅 전략이 들어갔음을 알 수 있다. 상인들은 약삭 바르게도 똑같은 커피를 '공정무역 커피' 라는 프리미엄이 들어 가면 더 높은 가격을 주고 사는 사람들에게 '공정무역 커피'라는 가격 프리미엄을 붙인 것이다.
 
  이런 마케팅은 주위에서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가장 가까운것이 현기차와 삼성,엘지 TV 등이다. 대다수의 국민들은 비슷한 스펙의 현기차와 외제차가 있으면 현기차를 산다. 이러한 선택에는 국내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내수시장에서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이 이득을 보고 국내에 일자리를 창출하고 투자를 활성화 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다. 이른바 '애국심 가격'을 현기차에 더해서 사는 것이다.
  그러나 현기차는 이에 '내수용 차'라는 답을 주었다. 외국에서는 터져도 한국에서는 안터지는 에어백,  외국에서는 리콜해도 국내에서 리콜안함, 더 싼강판 사용, 차량 문에 들어있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사이드 임팩트바 적게 사용하기 등등
joins_com_20131228_163241.jpg
http://www.mule.co.kr/data/bbscontent.aspx?idx=3209105&page=1&sort=37
 
 
삼성과 LG TV도 마찬가지 해외에는 싸게 국내에는 비싸게 팔고 있다. 2배, 심한건 3배 가까이 비싸게 팔고 있다. 삼성과 LG는 해외에서는 부가세등 세금이 포함되지 않았고, 배송비, 설치비, HDMI 케이블등 몇가지가 빠졌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역시나 2배, 3배 가격을 메꿀만한 요인은 아니다.
 
tistory_com_20131228_165824.jpg
tistory_com_20131228_165836.jpg
http://bruprin.tistory.com/1157
 
'공정무역 커피'를 사면 원두 실제 생산자에게 더 많은 혜택이 가는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공정무역 커피'라는 프리미엄을 붙여 이득을 보는 사람이 있는것 역시 사실이다.
 
국내기업 제품을 '애국심 가격'을 붙여 사면 국내 기업이 돈을 버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국내 기업이 '애국심 가격'만큼  국민에게 정당한 상품과 대우를 하고 있는지는 의문이 든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