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자 집적도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반도체 산업의 기술개발은
극자외선 리소그래피같은 차세대 집적기술의 개발이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단시간에 현재수준(14 nm)을 훌쩍 뛰어넘기는 어려울거라 생각되고,
스마트폰 시장의 거품이 빠지고 새 산업, 기술, 제품, 패러다임이 필요해지는 시기가 곧 오게되지 않을까 생각되는데요.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산업을 이끌어 나갈 다음 기술이나 제품, 패러다임은 과연 무엇이 될까요?
대한민국이 가지고 있는 유니크한 경쟁력이나 자원을 바탕으로 생각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