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블랙박스: 별로 안자세하지만 긴 설치 방법과 샘플 영상(DIY)
게시물ID : car_2627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지하경제
추천 : 5
조회수 : 6365회
댓글수 : 8개
등록시간 : 2013/05/11 18:30:56

전방 : 아이나비 FXD700 영상 입니다. 전방 솔라글래스(70%)+틴팅35%

 


 

후방 : 현대엠앤소프트 R700 틴팅 15% 상당히 어둡습니다.

 

 


 

전후방 다 틴팅이 좀 어두운 편이고 후방은 특히 어두워서 상대적으로 화질이 떨어집니다.

전방은 2채널 블박인데 후방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1채널만 장착했으며 후방은 원래 1채널로 독립적인 블랙박스가 두개 달려 있습니다.

둘다 풀HD이며 30프레임으로 작동중이며 후방 R700의 경우 60프레임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야간 촬영시 후방은 조명이 없고 틴팅이 짙어서 비교적 화질이 떨어집니다.

전원은 차량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20암페어 인산철 보조 배터리를 사용했으며 보조 배터리가 비교적 작은 편이라 운전석 아래 설치 했습니다.

보조 배터리는 ACC 상태에서 충전이 되고 주차중에는 차량배터리와 분리되고 별도 설치한 스위치에 따라서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 합니다.

 

별도 스위치는 총4개를 장착했는데 전후방 블박용으로 2개를 사용중이고 2개는 나중에 전장품 장착을 위해 미리 설치해뒀습니다.

스위치 작동 방식은 On 상태에서는 주행, 주차시 모두 작동을 하며, Off 상태에서는 주행중에만 작동을 하고 시동을 끄면 전원이 차단 됩니다.

 

지하 주차장 이용시 전방만 On상태로 사용중이고 야외 주차시에는 둘다 On 상태로 합니다.

 


*별로 안자세한 설치 방법

 

사진과 같이 적당한 위치에 블랙박스를 부착합니다. 빨간선이 전원선이 지나갈 자리인데 블랙박스위에 붙은 플라스틱 부품과 유리사이에 틈이 있으며 유리와 천정 사이에도 틈이 있기 때문에 리무버나 안쓰는 카드 등으로 밀어 넣으시면 됩니다. 딱 맞을 때도 있지만 공간이 조금 넓을 경우 두께가 있는 양면 테입을 선에 살짝 감아서 넣으면 고정이 잘 됩니다.

 

 

운전선 좌전방에 있는 a필러 입니다.

문과 접촉하는 부분의 고무를 분리하고 리무버를 틈에 넣어서 힘주어서 벌리면 쉽게 분리가 됩니다.

화살표의 흰 부분은 커튼 에어백인데 에어백의 전개 방향을 무시하고 설치 할 경우 에어백 작동시에 에어백 작동이 방해되거나 선이 뜯기면서 심각한 상해나 파손이 발생 할 수 있으니 배선에 주의해야 합니다.

 

사진과 같이 필러를 뜯어내고 에어백 전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에어백 뒤쪽으로 돌려서 배선을 해줍니다.

공간이 좁은 편이므로 선의 아래쪽(퓨즈박스쪽으로 갈 부분)에 두꺼운 부품(저전압차단기나 별도 퓨즈)이 있을 경우 블박과 전원선을 연결하기 전에 제일 먼저 이 부분을 배선 하시고 작업하셔야합니다.

 

 

 

사진의 붉은 선 방향으로 배선을 해줍니다.

a필러를 통과한 배선을 고무부분 안쪽으로 넣어서 숨겨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아래사진에 스티커가 붙어 있는 패널을 리무버로 뜯어서 퓨즈함으로 배선을 넣어 주시면 됩니다. 저 부분이 비교적 잘 안뜯기는데 리무버를 틈에 넣고 과감하게 벌려줘야 합니다. 플라스틱 부품에 기스가 남을 수 있습니다. 퓨즈함 앞에 보이는 작은 버튼들이 전원 제어하는 스위치 입니다.

 

 

후방 블박 설치 입니다. 블박 아랫부분의 플라스틱 부품을 탈거 합니다. 차종에 따라서 그냥 힘으로 뺄수도 있고 나사를 풀어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간에 있는 호스로 배선을 통과 시켜서 이후로는 하단의 고무 안쪽으로 배선을 합니다. 

 

상황에 따라서 트렁크부분 천정을 약간 내려야 선을 빼낼 수 있을 수도 있습니다. 천정을 고정하는 부품을 빼내면 천정이 약간 내려오는데 배선 후 원상 복구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고무와 차체 안쪽 틈에 방수와 고정을 위해서 검은 실리콘 같은 뭔가가 발라져 있을 수도 있는데...차량 내장제에 뭍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안지워집니다.

 

그리고 호스 부분으로 선을 통과 시킬때 손으로 조물락 거리면서 통과도 가능하시만 철사로된 옷걸이를 이용해서 한쪽끝에 선을 묶어서 호스안쪽으로 넣어서 통과 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배선시에 호스를 차체와 분리 후 작업을 해야하는데 작업 후에 차체에 다시 고정 시킬때 확실히 장착이 됐는지 주의해서 살펴야 합니다.

확실히 장착이 되지 않으면 빗물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서 차량 시트 하부에 고일 수 있으며 카센타에서 작업한 경우에도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 하셔야 합니다.

 

 

 

이미지와 같이 내장 트림의 틈 사이로 배선을 해 줍니다. 분리 가능한 트림은 분리후 내부에 고정을 해주고 안될 경우 틈사이로 밀어 넣어 줍니다.

틈이 클 경우 전방과 같이 양면 테임을 선에 감아서 넣어주면 고정이 됩니다.

 

 

왼쪽의 뒷문 고무 안쪽으로 배선을 하고 중간에 보이는 플라스틱 트림은 뜯어서 안쪽으로 배선을 해줍니다. 이 트림의 경우 단단히 고정이 되있어서 힘주어 뜯어야 합니다. 무리하게 힘줘도 부서지진 않을것 같더군요.왼쪽의 차량 중간 기둥 부분은 분리가 힘들것 같아서 하단의 틈사이로 배선 했습니다. 앞좌석 옆 부분도 같은 방식으로 배선을 해서 퓨즈함까지 배선을 합니다.

 

 

 

퓨즈함 커버에 구멍을 뚫어서 메탈 스위치를 달았습니다.내부에 LED가 들어서 불도 들어옵니다. 구멍 뚫기전에 뒷편이 붙어 있던 퓨즈배선도는 구멍 안뚫리게 뜯어서 다른 위치로 이동해주셔야 나중에 퓨즈위치 확인 가능합니다. 전 아래쪽으로 붙였습니다.

퓨즈함 내부 배선은 배터리와 두개의 블박을 멀티 스위치로 제어하기 위해서 좀 복잡해졌습니다.

추후 퓨즈박스 내부 사용할 일을 고려해서 스위치 뒷편 배선은 길게 해놨습니다.

 

 

20A 인산철 보조 배터리 입니다.차량 뒷자석에 올려놨는데 크기는 가늠도실 겁니다. 높이가 낮아서 운전선 하부에 위치 시켰습니다.

운전석이 통풍, 온열, 전동 시트라서 비교적 공간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넉넉하게 들어갑니다.

설치시에 배터리 하부에 벨크로 까끌한 부분을 부착후 시트 아래로 밀어 넣으면 까끌한 벨크로가 바닥 시트를 잡아줘서 고정이 됩니다.

전방 블박이 주차녹화 48시간 제한이 있는데 장시간 주차 결과 48시간 주차 종료시에 배터리 전압이 12.5볼트 였습니다.

시간제한이 없다면 상당히 오랜 시간 녹화 가능 할것 같으며  보조 배터리를 탈거할때 시거잭 하나만 뽑고 그냥 꺼내면 되기 때문에 캠핑시에 유용히 사용 가능할것 같습니다.

 

 

전방적인 배선 구조입니다. 전방은 전원, 접지, ACC가 있어서 배선이 3개이고 후방은 전원, 접지만 있어서 2개입니다.

 

 

 

추가로 작업한 도어 램프 입니다. 50cm짜리 LED Bar를 사용 했으면 50cm에 약 5천원 정도 합니다.

문짝 내부 트림 뜯어서 문 열때 켜지는 붉은 등의 배선에 연결하면 문을 열때만 켜집니다.

차량별로 배선이 다르니 각 차량 동호회의 문의 하시면 다이 방법은 쉽게 알 수 있을것 같습니다.

 


이까지....길지만 별로 자세하진 않은 전후방 블랙박스 + 보조 배터리 + 멀티 스위치 + 도어 램프 다이 내용 입니다.

저도 차를 뜯고 이런 작업한건 처음입니다. 작업전에 미리 이리저리 정보 알아보고 준비해서 작업 했는데 배선의 경우 기기 연결부 외에는 전혀 배선이 보이지 않고 내부에 들어간 배선도 케이블타이와 수축튜브를 이용해서 깜끔히 작업 됐답니다. 다이 생각 하시는 분들은 참고해서 다이 해보세요.

하지만 영 자신이 없다 싶으면 무리하지 마시고 카센타 가는 것이 답인것 같습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