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관심병사는 관심병사라고 부르면안된다,
게시물ID : sisa_53280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창동공화국
추천 : 0
조회수 : 350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4/06/25 20:27:32
관심병사의 본질적인 문제는 무엇일까?

나는 사실, 관심병사는 "군"의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관심병사"라는것이 왜 생겨났으며 앞으로 어떻게 대처해야하냐라는 간단한 질문속에도 이 문제의 본질은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가 
녹아있기때문에 쉽게 해결될수있는문제는 결코 아니라고본다.

우선 나는 관심병사라는 말 자체부터가 잘못되었다.
관심병사는 어디에든있고 또 없다. 관심병사는 누구나 될수있고
혹은 피해자 역으로 가해자도 될수도있다. 
그렇기때문에 나는 이 본질적인 문제는 단순히 "군"의 구습에의한 문제에 지나지않는다, 군만 바꾸면 그런것은 생기지않는다라고 말에 동의할수없다.

여러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 본질적문제를 고찰해본결과
나는 관심병사라는 문제가 청소년기의 학교폭력의 연장선상에 있다라는것을 알수있었다. 청소년기의 학교, 
그리고 사회에 나오기전의 과도기적 단계인 군대라는곳에서 무언의 학교폭력이 연장되어 이루어지고있다.
단지 참고서와 교과서 대신에 총과 수류탄을 들었을뿐이고 그 파괴력 또한 커진 몸집이나마 더 커졌다.

아마 군에서파악하는것보다 정밀적으로 심리를 검사해본다면 "관심병사"라고 분류할수있는 범위는 더 커질것이다.
나는 장병의 대다수가 "관심병사"가 될수있다라고 생각한다. 
아니, "관심병사"라고 불리어지는 이런 아이들은 군대가아니라 사회에있어서도 총포류만 들지않았을뿐이지 어떤 방식이든지
문제를 방생하고 사고를 일으킨다. 그리고 이런것은 군이아니라 사회에 있는 20대라면 그 누구나 예비 후보이다.

결론적으로 이 사회적문제발생의 원인을꼽자면, 가족으로부터의 사회성이 붕괴되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학교도 군대도 일종의 사회적공간이다. 사람이 숨을쉬며 생활하는 공간이고 이곳에서 다른사람과 부대끼면서 사회성을 키우며 배운다.
하지만 사회성을 키우는 제일 첫번째 공간은 어디일까? 바로 "가족"이다.

사회라는범위를 생각해본다면

제일 작은 범위의 가족, 
두번째로는 친가친척
세번째로는 이웃, 친구 
네번째로는 직장, 소속의 동료 
다섯번째로는 지역 고장 고향
여섯번쨰로는 조국 국가

이렇게 되지않을까 본다. 나와 가족으로하여금 시작된 연결고리가 국가라는 사회적조직으로 이어진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가족이라는 사회구성원이 붕괴되기시작하면서 단계별로 구성원이 파괴되고있다.
이는 가족과 있는 시간이 사라지기때문에, 이웃이 누군지, 그리고 자신의 지역에 무슨일이 벌어지고있는지도
그러한 커뮤니티가 사라지고있기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사라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은
나는 교육문제를 꼽으려한다.

당장 우리나라의 교육은 교육이아니다.
나는 입시를 부정하려는것이아니다. 입시는 필요로하다. 
입시를 통한 경쟁력 또한 있다. 장점도 있다. 노력한자가 쟁취한다라는 자본주의의 가장 기초적인 이론을 배울수있다. 
다만 입시 "위주"의 교육은 불필요하다.
특히 가족이 가르치지않는 교육은 더욱더 불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교육의 대부분은 부모들이 학원과 학교에 아이들은 위탁한채 돈을주고 자신의 의무를 다했다라고 
자화자찬하며 평가한다. 그리고 좋은대학과 빠르게 취업을 할수있게 도와주는것이 부모 역활의 끝이라고 본다.
그러면서 대화는 아이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대화, 아이들이 무슨일이 벌어지고있는지 모를 대화를 한다
그러면 대화가 두절된다. 커뮤니티가 끊어진다.

아이들은 그러면서 어른들이 하고있는 행동을 보며, 친구들과 끼리끼리 모여 사회라는것을 구성한다.
학교에서, 학원에서 어디든 그러나
그것이 제대로된 사회인지 아닌지에대한 판단능력이 없다. 가르쳐줄사람또한 없다. 어른들은 가르쳐주지않기때문이다.
그러면서 잘못된 사회를 형성하고 잘못된 커뮤니티를 익힌다.
그것이 학교폭력으로 이어진다.
또 군대에서도 반복된다. 군대에서 사고가없었다할지언정 사회는 이미 혼탁해져있을것이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