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5.18 민주화운동 (민주항쟁)
게시물ID : sisa_39101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바람따라
추천 : 7
조회수 : 560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05/18 00:02:03


 > 세계기록유산 >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은 광주 민주화 운동의 발발과 진압, 그리고 이후의 진상 규명과 보상 등의 과정과 관련해 정부, 국회, 시민, 단체 그리고 미국 정부 등에서 생산한 방대한 자료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물이다.

우리나라의 민주화는 물론 필리핀, 태국, 베트남 등 아시아 여러 나라의 민주화운동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민주화 과정에서 실시한 진상규명 및 피해자 대상 보상 사례도 여러 나라에 좋은 선례가 되었다는 점이 높이 평가 받았다. 세계의 학자들은 5·18 민주화운동을 ‘전환기의 정의(transitional justice)’라는 과거 청산에서 가장 모범이 되는 사례라고 말한다. 남미나 남아공 등지에서 발생한 국가폭력과 반인륜적 범죄행위에 대해 과거청산작업이 단편적으로 이루어진 반면, 광주에서는 ‘진상 규명’, ‘책임자 처벌’, ‘명예 회복’, ‘피해 보상’, ‘기념사업’의 5대 원칙이 모두 관철되었다.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은 3종류로 대별된다.

첫째, 공공 기관이 생산한 문서이다. 여기에는 중앙 정부의 행정 문서, 군 사법기관의 수사·재판 기록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들은 당시 국가 체제의 성격을 드러내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사건 당시와 그 후 현장 공무원들에 의해 기록된 상황일지 등의 자료 등이 있으며, 이후 피해자들에 대한 각종 보상 관련 서류 등이 포함되는데 이것들을 통해 당시의 피해 상황을 어느 정도 짐작해 볼 수 있다.

둘째, 5·18 민주화운동 기간에 단체들이 작성한 문건과 개인이 작성한 일기, 기자들이 작성한 취재수첩 등이다. 각종 성명서, 선언문, 대자보, 일기장과 취재수첩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사진 기자들과 외국 특파원들이 촬영한 사진들은 외부와의 통신이 단절된 상황에서 광주의 상황을 생생하게 전해주고 있다. 또한 피해자들에 대한 구술 증언 테이프 등도 포함된다.

셋째, 1980년 5.18 민주화운동이 종료된 후 군사정부 하에서 진상규명과 관련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국회와 법원 등에서 생산된 자료와 주한미국대사관이 미국 국무성과 국방부 사이에 오고 간 전문이다.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은 다음과 같이 총 9주제로 구분되어 있고, 기록문서철 4,271권, 858,900여 페이지, 네거티브 필름 2,017 컷, 사진 1,733점 등이다.

(1)국가기관이 생산한 5·18민주화운동 자료(국가기록원, 광주광역시 소장)
(2)군사법기관재판자료,김대중내란음모사건자료(육군본부 소장)
(3)시민들이 생산한 성명서, 선언문, 취재수첩, 일기(광주광역시 소장)
(4)흑백필름, 사진(광주광역시, 5·18기념재단 소장)
(5)시민들의 기록과 증언(5.18기념재단 소장)
(6)피해자들의 병원치료기록(광주광역시 소장)
(7)국회의 5·18광주민주화운동 진상규명회의록(국회도서관 소장)
(8)국가의 피해자 보상자료(광주광역시 소장)
(9)미국의 5·18 관련 비밀해제 문서(미국 국무성, 국방부 소장)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은 2011년 5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출처: http://www.unesco.or.kr/heritage/mow/kormow_gwangju.asp

* 5.18 관련 간단한 자료

5.18 민주화 운동 당시 한국을 바라보는 해외언론 반응


5·18당시 발포거부 전남도경국장 안병하 
http://todayhumor.com/?humorbest_678511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