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BGM] 가평 UFO를 아시나요?
게시물ID : mystery_537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파로마!!
추천 : 15
조회수 : 8492회
댓글수 : 17개
등록시간 : 2015/01/09 13:16:36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hZOdH


가평 UFO

Contents

1. 개요
2. 촬영경위
3. UFO에 대한 분석 결과들
4. 외계인의 비행선인가?
5. 의문점
6. 유사사례

gapyeongufo.jpg

문제의 UFO가 찍힌 사진

1. 개요 

1995년 9월 4일,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설곡리에서 문화일보 김선규 사진기자에 의해 포착된 UFO를 말한다. 주류 언론사 사진기자에 의해 UFO가 찍힌 것부터가 흔치 않은 사례라 발견 당시부터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사진 원본과 필름까지 모두 온전히 남아있었기 때문에 유례가 드물 정도로 철저한 검증이 이루어졌다.

2. 촬영경위 

본래는 시골마을의 가을 정취를 담은 정경을 촬영하기 위해 가평을 찾은 김선규 기자가 곡식을 터는 시골 노부부를 찍은 것이었다. 250분의 1초 간격으로 총 세 장의 사진을 연속적으로 찍었는데, 사진을 인화해 보니 당시 찍은 사진 중 두번째 사진의 오른쪽 구석에 알 수 없는 물체가 포착되었고, 그 형상이 UFO와 흡사하여 순식간에 화제로 떠올랐다.

자세한 정보는 김선규 기자의 개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홈페이지 주소가 ufokim.com 희한하게도 그 이후의 게시글에도 같은 기자가 찍은 UFO 사진이 여러 개 있다. 재미들리셨나보지 실제로 한 번 우연히 UFO 사진을 찍은 사람이 UFO 매니아가 되어 UFO 헌팅을 다니는 경우는 국내외 막론하고 왕왕 있는 일이다.

3. UFO에 대한 분석 결과들 

코닥 본사[1], 각종 UFO 연구단체 및 학술단체, 프랑스 국립 우주 연구센터[2] 등에서 검증했다.

코닥 본사에서의 조사에 따르면 사진에 어떠한 인위적 조작도 가해지지 않았다고 한다.
한국 UFO 연구협회에서는 사진 속 비행 물체가 직경 100m, 고도 4~5km, 초속 4km로 비행 중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프랑스 국립 우주 연구센터에서는 직경 450m짜리 물체가 고도 3,500m에서 초속 108km로 비행하는 모습이라는 결론을 내렸다.[3]

또한 사진에는 엄청난 속도로 비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찍힌 것으로 추정되는 잔상과 베이퍼 현상(증기가 위로 솟아올라 분출되는 현상)으로 보이는 것도 촬영되었다. 이런 것들을 종합한 결과 이 사진은 UFO가 엄청난 속도로 비행하다 급격히 선회하는 그 순간을 포착해 찍은 사진이라는 추측이 제기되었다.
그러니까 엄청나게 큰 비행물체가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비행하다 엄청나게 급커브를 튼 바로 그 3엄청의 순간 기막힌 우연으로 찍힌 사진이라는 것.

zxcv2.png
asdf12332.png

4. 외계인의 비행선인가? 

일단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사진에 담긴 것이 UFO가 맞다는 것이다. 단, 여기에서 UFO라는 것은 외계인이 타고 온 비행접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 그대로 무엇인지 확인 혹은 추정, 추측이 불가능한 날아다니거나 넓게는 공중에 떠 있는 물체를 말하는 것에 불과하다. UFO의 정의에 대해서는 해당항목 참고.

여하튼 한국 UFO 연구협회나 프랑스 국립 우주 연구센터에서 조사한 결과를 보면 물체의 크기, 고도, 속도를 언급하는데, 이것은 촬영된 세 장의 사진으로는 도저히 알 수가 없는 것이다.

  • 사진의 셔터간격 등으로 조사를 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이야기는 일정한 간격으로 찍힌 여러 장의 사진에 걸쳐서 물체가 찍힌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이다. 250분의 1초 간격으로 찍힌 사진 셋 중 가운데 하나에만 찍혔다면, 그 물체가 300분의 1초만에 사진에 찍힌 자리에에 나타났다 사라졌는지, 1000만분의 1초만에 나타났다 사라졌는지 알 수 없다.
  • 설령 저 사진이 여러 장의 사진에 걸쳐 찍혔다고 하더라도, 물체와의 거리나 물체의 실제 크기 중 어느 하나라도 알고 있어야 그것을 바탕으로 속도나 고도 등을 추측할 수 있다. 사진에 찍힌 물체가 100m인지, 450m인지, 심지어는 10cm나 1cm짜리인지도 알 수 없는 상황에서는 아무것도 알아낼 수 없다. 당장 사진을 분석한 한국 UFO 연구협회와 프랑스 국립 우주 연구센터에서 각각 내놓은 분석결과가 상이하다는 것만 봐도 한낱 사진 몇 장으론 제대로된 조사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상이한 조사결과들이 사실이라고 가정한다고 하더라도 문제가 발생한다. 바로 사진에 찍힌 물체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움직임을 보인다는 것이다. 특히 프랑스 국립 우주 연구센터의 결론에 따르면 450m짜리 물체[4]가 마하 300 정도로 비행했다는 소리가 되는데, 그런 거대물체가 고작 3~4km 고도에서 그런 속도로 비행하면 엄청난 소닉붐이 발생하여 지상이 쑥대밭이 되거나 적어도 사람들의 귀가 멀어버릴 정도의 굉음은 나야한다. 마하 2로 비행한 콩코드도 소닉붐과 소음 때문에 20km 이상의 고도에서만 초음속 비행을 해야했다. 물론 사진이 찍힐 당시에 소닉붐 같은 것이 관측된 바는 없다. 애초에 소닉붐이 일어났다면 사진기자와 노부부 모두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다.
  • 사진의 물체가 인류의 기술로는 흉내조차 낼 수 없는 고도의 기술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전제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소닉붐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고, 엄청난 속도와 방향전환이 가능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보통은 그런 크기와 속도에 급회전까지 하면서 대기중에서 비행하면서도 어떤 방법으로든 소닉붐을 일으키지 않는 물체가 사진에 찍혔다고 가정하기보다는 그런 물체가 아니라 다른 무언가라고 가정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오컴의 면도날 참고. 물론 그런 초고도문명의 우주선일 일말의 가능성은 있을 수 있고 오컴의 면도날이 진리인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보다 현상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는 다른 가설을 먼저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즉, 앞에서 이야기한 대로 사진에 찍힌 것은 그냥 '미확인 비행 물체'며, 외계인의 우주선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SBS의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도 가평 UFO에 대한 특집을 냈으며 노부부와 사진기자를 인터뷰하기도 했는데, 결론은 역시 알 수 없는 사진.

5. 의문점 

사진에 찍힌 UFO의 정체는 어떠한 물체가 날아가던 도중에 우연히 찍힌 것일 가능성이 높다. 그 외의 가능성이라면 특수한 발광현상 등이 사진에 포착되어 특정한 물체로 보이는 경우 정도가 있다. 문제는 그것의 정체가 대체 무엇인지 알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괜히 UFO가 아니다
가능성이 높은 경우라면 작은 물체가 순간적으로 지나가면서 찍힌 것일텐데, UFO가 작은 물체라면 사진상의 두 인물보다 훨씬 카메라에 근접해 있어야 하는 반면 사진의 초점은 두 인물에 맞춰져있어 선명하게 찍힐 수가 없다.
크립티드 중 하나인 로드도 보통은 날벌레의 잔상이 카메라에 찍힌 것으로 추정되지만, 벌레라고 하기에는 설명되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부분들이 있어 논란이 남아있다.

6. 유사사례 

조작이 아니라고 판명된 UFO 사진은 가평 UFO 사진 외에도 있다. 2013년에 네덜란드에서 위와 비슷한 사진이 비슷한 조건에서 촬영된 바가 있다. 전직 FBI 특수요원이 그 사진을 검사하였고 조작되지 않았다고 확인하였으나, 그는 그것이 외계문명의 초과학적 우주선이 아니라 곤충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었다. 자세한 내용은 이 포스트를 참고.
----













출처: 유튜브, 엔하위키 미러, 구글 이미지 검색, 브금저장소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