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정글러가 승리를 위해 취해야하는 라인전 페이즈때 행동의 우선순의
게시물ID : lol_23892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서울호랭이
추천 : 3
조회수 : 731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3/05/22 16:12:49

바로 본론으로 들어갈게요

 

타워 철거 > 와딩 > 역갱 > 갱 > 라인관리 >= 버프컨트롤 > 카운터정글 >= 다이브갱

 

실력은 쥐뿔도 음스므로 음슴체 감.


아래는 상세설명

 

1. 역갱

정글러의 꽃, 역갱임. 초반에 역갱 딱 한번만 제대로 치면 게임을 끝낼수 있음. 왜? 라이너와 정글러가 둘다 말리기 때문.

다만 역갱은 주의해야 하는게, 2:2싸움의 상성여부, 다른 라인의 개입여부, 진입 타이밍 등등 변수가 너무 많아서 잘 생각하고 들어가야 함.

예를들어 아군이 리신, 빵테고 적군이 라이즈, 아무무인데 쌍버프 달고 첫 갱을 역갱을 친다면 게임이 끝남. 빵테가 1인분 한다는 가정하에.

여기서 솔랭에서는 육식 정글러를 하라는 이유가 생기는거임. 초반 2:2 싸움의 우위는 곧 소규모 전투에서의 우위를 말하는거고 소규모 전투가 유리하다면 후반 한타페이즈로 넘어가기 전에 소규모 전투를 엄청나게 많이 만들수 있음. 상대 버프몹 타이밍, 드래곤 타이밍 등등등에 광핑을 찍으며 아군 라이너를 불러 모으는거임..


 

2. 갱.

말린 라인을 풀어주고 유리한 라인을 굳혀주는 갱. 이것도 잘 생각해야 하는게, 부쉬에서 대기타는데 적 정글이 안보인다 싶으면 90% 적 정글도 역갱 대기 타고 있는거임. 미련하게 말린라인 풀어주겠다고 대기타다가 다 작살나는것보다는 눈치가 이상하다 싶으면 빨리 빠져서 정글몹이나 먹는게 답일수도.

 

3. 버프컨트롤

아군라이너에게 버프를 전달해주고 적의 버프몹을 카운터 치는것.

근데 다시 말하지만 역갱 > 갱 > 버프컨트롤 임.
버프몹 타이밍에 적 정글러 봇에 보였다고 빨리 지원안가고 신났다고 적 버프 치고 있다가는 블루버프를 두르고 적이 드래곤 잡는걸

구경하는 경우가 생김.

 

3. 라인관리.

사실 버프컨트롤보다는 라인관리가 더 중요한데 이건 상황에 따라 다름.

예를 들어 미드라인에 상대 미드라이너와 정글러가 보이는데 아군 7분 블루 젠 타이밍이다, 근데 적 미니언이 엄청나게 쌓여있고 아군 미드 타워의 체력이 반밖에 남지 않았다. 이때 블루 주겠다고 라이너와 함께 블루에서 골렘치고 있다가 타워가 날아가면 아군 정글에 박아야 하는 와드값만 천문학적인 숫자가 됨. 이때는 최대한 타워 피를 보존하는게 좋음.

다른 예로, 아군 라이너가 집에 가야되는데 적이 너무 라인을 푸쉬하고 지금 집에가면 너무 손해가 클때 정글러가 굳이 갱이 아니더라도 라이너와 함께 라인을 밀어주면 라이너가 손해 없이 집에 갈수 있음. '라인 땡겨서 잘 먹고 있네' 라고 생각하다가 다이브갱에 작살이 나는수가 있으니 잘 보고 한번씩 가주는게 좋음


5. 카운터정글

상대 정글러의 위치가 파악되었을때 상대 정글몹을 빼먹는걸 이야기하는데, 사실 카정은 큰 이득을 취하긴 힘들고 그냥 소소한 부산물정도의 이득이라고 생각하면 됨.

카정으로 이득을 보려면 적 정글러보다 확실히 강해서 스노우볼을 굴리려고 할때 적 정글에서 상주하면서 적 정글 몹을 몽땅 터는걸 추천.

카정의 순위가 낮은 이유는 적 정글에 있으면 적 라이너의 합류가 훨씬 빠름. 그리고 적 정글에 들어와있다면 그곳에는 반드시 와드가 있다고 생각하면 됨. 따라서 카정을 갈때는 항상 미니맵을 주시하면서 적 라이너의 움직임이 수상쩍다 하면 바로 도망가는걸 추천.

3렙 리신과 2렙 아무무가 만났어도 2렙 아무무가 플래쉬를 쓰고 도망갔다면 욕심부리지 말고 빠지게 좋음. 적 정글에서 객사하고 쌍버프가 제드나 이런애들한테 넘어가는순간 전라인이 다 디졌다고 보면 됨.


5. 다이브갱

다이브의 정석은 하나임.

(1) 아군 미니언이 많이 쌓인 상태에서 타워가 아군 미니언을 치기시작하고

(2) 적 라이너의 체력이 딸피는 아니지만 라이너의 다이브로는 죽을 각이 아닐때.

(3) 적 라이너가 집에 정말 가고 싶은데 지금 귀환하면 손해가 너무 커서 못가고 있을때

(4) 이게 가장 중요한데 적 정글러의 위치가 파악 되었을때

(5) 적 라이너를 포위하여 타워 어그로를 번갈아 끌어가며 다구리 치는것.

이런 상황이 아니라면 다이브 갱은 치지 말것.

특히나 적 정글러나 다른 라인의 라이너의 위치가 파악이 안된다면 적 정글러도 바보가 아닌이상 다이브 올걸 알고 있음. 적 정글러의 위치가 파악 되었어도 신속하게 치고 빠질것, 너무 시간을 끌면 안됨. 상대 정글러가 달려오고 있음.


다이브갱은 불리함을 뒤집는 방법이 아니고 유리함을 굳히는 방법임. 유리하다면 모험을 하지 않는것이 종국에는 승리할 확률이 높음. 하지만 다이브갱의 메리트는 정말 높은게, 상대 라이너가 쌓인 미니언을 몽땅 놓치고 운좋으면 타워도 날릴수 있다는것.


자 이제 제일 중요한 타워철거와 와딩에 대해 설명함.


lol은 무슨게임이다? 공성게임이다.

아무리 말려도 적 넥서스만 뽀개면 게임을 이기게 됨.


0. 타워철거.

사람들이 로밍형 챔피언을 굉장히 두려워 함. 트페나 쉔.

근데 브론즈 실버를 보면 트페보다 쉔을 더 무서워 함. 대체 왜.......???

쉔은 라인푸쉬력이 개똥망임. 쉔이 라인을 비우고 궁타고 날아가면 못해도 라인푸쉬력이 나쁜 쉔이 서있던 라인은 개판이 됨. 이때 지원을 가기 힘들다면 쉔이 있던 라인의 타워를 매우 쳐서 고속도로를 뚫어버리면 됨.

로밍형 챔프의 약점이 이거임. 템포를 빠르게 가져가면 됨. 최 후반가면 다시 힘들어지지만..

트페가 쉔보다 무서운점은 라인푸쉬력이 좋아서 라인을 밀어놓고 로밍을 가더라도 타워 철거가 용이하지 않다는건데 그래봤자 별수 있나. 지원을 못가는 상황이라면 타워를 밀면 됨.

하지만 가까이 있어서 지원을 갈수 있어보인다고 판단되면 밥숟갈 놓고 뛰어가야됨. 왜나하면 이 게임은 멘탈게임이거든. 아군 원딜이 깃창에 널뛰기 하면서 적 원딜과 서폿이 달려오는 상황에 '시바... 갱,...... ㅈ같네...'하는 순간 뒤에서 아군 정글러가 딱 튀어나와서 트리플킬 딱 먹어봐. 아군 라이너에겐 당신이 아이언맨이고 스파이더맨이 되는거임. 하기 싫던 게임도 하고싶게 만드는게 바로 정글러의 역할임.


0. 와딩.

정글러의 와딩은 팀의 운영을 책임지는 와딩임.

와딩도 역시 우선순위가 있는데

첫째가 적 정글루트에 하는 와딩임.

적 정글루트 = 라이너의 로밍루트 일 가능성이 높음. 적의 로밍도 파악하고 정글루트도 파악할수 있음.

둘째로 아군 라이너의 보조 와딩. 라이너가 와드가 꺼졌는데도 집에 못가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함. 이때 치명적인 위치에 와드를 꼭 해줘야함.

셋째가 적절한 타이밍에 핑와. 집에 갔는데 적 정글러가 아군 봇으로 오는 정황이 포착되었다, 하면 핑와를 하나 꼭 사서 역갱을 쳐보도록 함.

역갱이 성공하면 용앞에 핑와를 박아놓고 용을 가져갈수 있기 때문.



한줄요약

정글러는 라이너의 멘탈을 캐어하는 정신과 의사임.


이상.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