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런 폴섬의 소설「모레」에는 냉동된 히틀러의 머리를 젊은 청년의 몸에 이식해
나치의 부활을 꿈꾸는 조직에 관한 내용이 나온다.
이 소설은 죽은 사람의 머리를 산 사람의 몸에 이식한다는 발상으로 화제가 되었다.
또 몇년 전에는 개에게 물려 얼굴 일부를 잃은 여성이 죽은 사람의 얼굴을 이식받는데 성공하기도 했다.
실제로 신체 일부를 다른 사람의 것으로 맞바꾸는 실험은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 왔다.
1997년 7월 28일 모스크바 국립공과대학에서 생명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아이반 코로노브는
논문을 쓰려고 국립도서관 컴퓨터로 관련 자료들을 열람하다
자신이 조회한 전문적인 의학 단어가 얼마전 비밀이 해제된
소련 국가보안위원회의 생명공학 관련 파일에 있는 것을 발견했다.
자료의 이름은 '알라스토르',
고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복수의 신을 의미한다.
자료를 대충 뒤적이고 있는데 서류 뒤쪽에서 사진 1장이 떨어졌다.
원래 셰퍼드의 몸에 보다 작은 종류의 개의 머리가 하나 더 달린 모습이었는데
2개의 머리가 모두 살아 있는 것처럼 보였다.
놀란 그는 서류를 제대로 살펴보기 시작했다.
그 속에는 사진 몇 장이 더 붙어 있었다.
모두 현실에서 보기 힘든 괴상한 사진들이었다.
머리가 2개 달린 원숭이, 개의 머리를 가진 고양이 등등.
그리고 목에 선명하게 꿰맨 자국이 남아 있는 한 노인이 의료진의 부축을 받으며 물을 마시고 있는 사진도 있었다.
자료에는 이들이 모두 사망한 뒤 다른 생명체의 몸통에 머리를 이식해 살아난 생명체라고 쓰여 있었다.
정신없이 자료를 읽어나가던 코로노브는 이 모든것이 나치의 생체실험에서 시작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그렇다면 나치의 생체실험 자료가 어떻게 소련으로 넘어가 그곳에서 계속된 것일까?
1945년 1원 27일, 폴란드의 독일군 방어선을 돌파한 소련군은
아우슈비츠지방에서 대규모 수용소를 발견했다.
항복한 독일군들을 상대로 어떤 목적의 수용소 인지를 추궁했지만
그들은 입을 꾹 다문 채 침국만 지키고 있었다.
수용소에 갇혀 있던 사람들에게 직접 물어본 결과
그곳이 유태인들과 나치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학살하는 장소라는 걸 알게 되었다.
소련군은 수용소를 조사하다 이상한 실험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미 실험실은 증거를 인멸하기 위해 폴파한 상태여서 실험도구와 재료들은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었다.
그러나 금고 안에 보관되어 있던 문서들은 무사했다.
이 문서는 맹겔레의 생체실험에 관한 내용이 적혀 있었다.
맹켈레는 1943년 아우슈비츠수용소에 부임한 뒤
이 곳에 갇힌 사람들에게 생체실험을 해 '죽음의 천사'라는 별명이 붙은 인물이다.
그는 특히 쌍둥이 연구에 관심이 많았다.
쌍둥이들 중 한명의 신체를 잘라 다른 쌍둥이에게 이식하거나,
쌍둥이들의 혈액을 서로 바꿔 넣어보기도 하고,
또 쌍둥이들끼리 강제로 성교를 하게 해 쌍둥이가 태어나는가를 알아보기도 했다.
그는 수백쌍의 쌍둥이들을 실험에 이용했고,
실험이 끝난 후에는 증거를 인멸하기 위해 모두 살해한 후 시체는 소각했다.
소련군이 아우슈비트에서 발견한 서류가 바로 멜겔레가 기록한 생체실험 자료들이었던 것이다.
이 자료들을 계속 연구한 결과 소련은 생명공학 부분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다.
도서관에서 이러한 자료를 발견한 코로노브는
작은 개의 머리가 이식된 세퍼드의 사진을 디지털카메라로 찍어 생명공학관련 싸이트 게시판에 올렸다.
이 사진을 본 네티즌들은 이메일과 게시판을 통해 많은 질문을 했다.
그러나 그날 이후 그는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고 그가 찾은 자료 역시 사라져 버렸다.
1954년 2월 3일 옛 소련 모스코바 외곽에 위치한 생물학 연구소에서는
과거에 철저한 비밀에 가려져 사람들의 접근이 일체 금지된 비밀 연구소 소장 데미코프가
독재자 스탈린이 죽자
미국과 유럽의 기자들을 초청해 과학 기술의 우수성을 선전할 목적으로 상상을 초월하는 기이한 의술을 공개했다.
<블라드미르 데미코프 박사>
데미코프가 기자들 앞에 데리고 나온 동물은 작은 강아지가 어깨 위에 달려있는 매스티프 개인데
기자들은 강아지가 몸이 반으로 잘린 뒤 상반신이 매스티프의 목에 이식돼
두 마리의 개들이 한 몸통을 각기 사용하고 있다는 설명을 듣고 크게 놀라고 말았다.
데미코프의 조교들이 우유를 가지고 나오자
이를 각기 맛있게 먹은 개들은 머리가 두개였지만
음식을 먹으면 배가 같이 불렀는데
두 개들은 정신이 멀쩡한 것 처럼 보였고 작은 개는 다른 사람들이 만지려고 하면
사납게 으르렁대며 손을 물려는 자세를 취했다.
데미코프는 매스티프 개가 처음에 당황하여 목에 달려있는 강아지를 털어내려는 듯 머리를 흔들었으나
곧 적응하고 잘 지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키메라犬을 데리고 다니는 데미코프 박사>
이들의 혁명적 의술은 2차대전 후 냉전으로 인해 세계에 알려지지 않았으나
미소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미국 정부는 뛰어나고 야심찬 뇌수술 전문의 로버트 화이트 박사에게
데미코프의 의술을 뛰어넘을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을 발명하도록 적극 지원했다.
그 후 화이트 박사는 클리브랜드주 오하이오에 있는 병원에
특별 연구소를 설립하고
각종 동물들을 실험하기 시작했는데
그는 1966년 데미코프 박사의 연구소로 초청돼
그들이 어떻게 죽은 개들을 되살리고 머리가 잘린 개가
몸 없이 단순한 기계로 계속 살 수 있으며,
그리고 몸의 상체나 머리 부분 이식에 성공할 수 있는지
생체 대체 접합술 등 이식 관련 노하우를 전수받았다.
미국으로 돌아온 뒤 3년간 연구에 몰두한 화이트 박사는
신장과 달리 두뇌와 심장, 폐 등 몸의 다른 부위는 거부 반응없이
이식 즉시 신체에 잘 적응되는 것을 확인했는데
그는 두마리의 원숭이를 데려다 머리를 자른 뒤 한 마리의 원숭이 머리를
다른 원숭이의 몸에 이식하는 수술을 시도해 성공했다.
<데미코프 박사가 만든 것으로 확인된 키메라犬>
당시 머리가 이식된 원숭이는 의식이 회복되자 화를 내며
연구원들이 입에 댄 손가락을 깨물려고 했는데
이같은 연구 결과를 일반에 공개한 화이트 박사는
데미코프나 그의 그동안 동물생체 실험과 이식수술 성공 사례를 전혀 모르는
각계 전문가들로부터 끔찍한 머리대체 수술에 대해 거센 항의와 비난을 받았다.
결국 연구비가 중단되고 살해 협박까지 받은 박사는
경찰에 자신과 가족들의 신변 보호를 요청한 뒤 관련 연구를 포기하고 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계속 후진들을 양성했는데
데미코프 박사는 1998년에 타계했고
화이트 박사는 40년간 케이스 웨스턴 리서브 대학교 의대 교수로 활동하다 최근 은퇴했다.
이같은 연구는 1940년대 이래 계속되고 있는데
현재 세계의 과학자들은 첨단 유전공학 기술 및 선진 의술을 사용해
신경을 되살리는 기술을 개발하여 머리가 잘려 새 몸에 이식되는 사람의 완전한 의식을 되살리고
신체 거부 반응 없이 자유자재로 정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출처 : 카카오피아 - WootOp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