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서 'sw개발자'라는 직업으로 어언 15년여 일해온 사람으로서 금번 박근혜정권의 sw정규교과목 신설이란 정책을 보고 문제점을 느껴 한말씀 올립니다.
제가 처음 이 일을 시작할 때야 말로 이 직업은 소위 어깨에 힘 좀 줄 수 있는 직업이었죠.. 불과 3~4년만에 닷컴버블 꺼지고 인력이 남아돌기 시작했어요.. 근데 정부에선 여전이 sw인력부족설을 얘기 하더란 말입니다. 당시엔 그 이유를 몰랐어요.. 세월이 지나보니 그 이유를 알겠어요..
IT선진국에선 제 경력 되는 개발자들이 억대연봉을 받더군요.. 그러나 한국에선 정부지원무료과정 6개월짜리 들으면 누구나 개발자가 되요.. 그래서 기업은 sw인력 쓰기가 쉬워졌어요..
그러다 보니 정규직으로 쓰지도 않아요.. IT부서를 아웃소싱해서 자회사로 만들면 연봉을 낮게 정해도 되고 을 지위라 맘데로 부려먹을 수 있어요.. 게다가 그 인력의 50%를 프리랜서라고 하는 비정규직으로 써요..
문제는 나이 먹으면 몸값 높고 부려먹기 힘들다고 안써서 제 연차 되면 심각하게 치킨집 창업 고민해요.. 신입애들도 불쌍해요.. 솔직히 학원6개월 배우고 온 신삥 누가 써요.. 3년차로 경력 조작해서 '할수있다'는 자신감으로 최면 걸어서 공사판 같은 si업계 투입시켜요.. 지가 맨땅에 헤딩 하면서 철야를 하든 뭘 하든 살아남으면 계속 이바닥에서 일해요.. 여기서 낙오되면 다른 진로 찾는 구조예요..
그러고 나서 허구헌날 야근하며 성공이란 단꿈을 품고 독기로 버티다가 더이상 자기 위의 선배들이 없어지면 그제서야 깨달아요.. 개발자 만랩기술은 바로 치킨튀김신공이란걸..
이 프레임은 누가 짰을까요? 전경련과 재벌 등의 수꼴세력이죠.. 박근혜의 sw교과신설도 이 프레임에서 벗어나지 않아요..
대한민국에 은근 개발자 많아요.. 마땅한 대우 해주면 다시 올사람 많아요.. 박봉에 비정규직에 강압적인 무급야근과 하도급일용직 같은 처우에 시달리다 나이 먹어서 장가도 못가고 이바닥에 환멸 느끼고 떠난 사람 많아요..
근데 당장 이런걸 개선하진 않고 sw인력만 더 양성하겠다? 일단 나랑 결혼해 주면 행복하게 해주겠다는 말과 같죠.. 문제는 한 번 속지 두번 속냐는거..
sw인력이 그렇게 많이 필요하지가 않아요.. 요즘 기술이 좋아서 6개월 정도 툴사용 익히면 sw센스 있는 애들은 앱 뚝딱 만들어요.. 게임엔진도 좋아져서 게임도 뚝닥 만들어요.. 문제는 안드로이드나 ios, 엔진/플랫폼 같은 코어기술이죠.. 이 쪽은 소수정예가 필요한거지.. 사실 인해전술로 되는게 아녜요..
그런 쪽을 키우려면 먼저 정부주도하에 대기업들이 투자를 해서 세계 100대 안에 드는 sw기업들 육성하고 억대연봉 받는 스타급 개발자들도 양성을 해야 되요..
제 나름의 교육철학은 그래요.. 응용학문은 관심 있는 사람이 여분의 시간에 배우는 것이고 정규과정에선 기초학문을 배우면 된다고 봐요..
우리나라는 아이들을 지나치개 학교에 묶어두는데 차라리 여유시간을 좀 줘서 sw원하는 학생은 sw.. 로못이나 정비.. 기계나 건축.. 자기가 원하는 응용학문은 여분에 배우게 해야 된다고 봐요..
그리고 명박이때부터 국사를 선택과목으로 넣었다던데.. 자기 조상이나 뿌리가 없는 정체성 없는 아이들이 나중에 일본애들과 독도의 정통성 싸움 하면 어떻게 되겠어요.. 식민지 근대화론이나 가르치고 말야..
제가 약 10년 전에 회사에서 추억의 물방개 게임을 플래쉬로 만들라는 오다를 받았어요.. 저는 그때서야 왜 제가 학교다닐때 삼각함수를 배웠는지깨달았어요.. 부랴부랴 다시 삼각함수 공부해 가면서 만들었어요..
글고 이바닥에서 잔뼈가 굵었을 때 치킨집 안차리고 억대연봉 받으려면 영어나 일어 필요해요.. 외국으로 떠야 되니까... 결론은 역설적이게도 sw 잘하려면 오히려 수학이나 영어가 더 절실해요..
대공감이요. 현직 SAP 개발자입니다. 짜증나요...외국에선 좋은 직업 top 10안에 들어가고 온 세상이 IT로 창조되는 가운데 한국 개발자들은 값 싼 인력으로 고통당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영어 시작했어요 전 아직 20대 극초반입니다만 20대 중반즈음에 해외로 취업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열심히 회화를 배우고 있네요 -.- 교과목에 s/w넣어봤자 주입식 교육일텐데. 학생들이 public static void min(String args[]) 달달 외울 생각하니 끔찍하네요
매우 공감합니다. 지금 우리나라의 교육 구조상, 그리고 이 업계의 구조상 프로그래밍을 교과목으로 한다는건 정신나간 발상이죠. 국어나 수학처럼 아무나 노력하면 되는 그런 분야도 아니고 적성에 맞아야 이해도 되고 재미고 느끼고 하는건데 이런쪽이 안맞으면 아무리 해도 안됩니다. 그러면 결국 닥치고 외워버리는 암기과목이 되어버리겠죠. 그러면 원래의 취지와도 맞지 않게 되어버리고 학생들은 부담이 더 늘고 부모들은 거기에 또 사교육 들일 생각하면서 등골이 휘겠죠... 그렇게 열심히 공부해서 '나 개발자가 될거야' 라고 이 업계에 뛰어들면 시궁창같은 현실에 부딧히는겁니다.
저는 한국의 개발자들도.. 근성이 아니라 제대로 된 pm의 관리와 제대로 된 공수투입으로 즐겁게 일했으면 좋겠네요.. 40 넘었다고 안짤리고 안정적으로 일했음 좋겠네요.. 일 끝나면 칼퇴근도 해서 연애도 하고 결혼도 하고 자기개발도 하고 여가도 즐기고 건강을 위해 운동도 하고..
저도 SW 개발 15년 째... 이제야 퇴근했습니다.. 위에 다른 분들 말씀.. 다 공감합니다. 정말 지당하신 말씀들이십니다.
저는 주로 SW를 제품으로 개발하는 Vendor라고 하죠? 아무튼, 그런쪽으로 계속 일해오면서 여러 가지 전공의 사람들을 만났습니다. 이쪽으로 일하시는 분은 잘 아시겠지만, 특히 철학과/수학과 등 출신 분들이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은 잘 모르더라도 이해력과 논리적 사고가 뛰어나서인지 설계와 일정 관리 쪽에 탁월한 능력을 보이더군요. (뭐 다 그렇다는 건 아니고.. 그런 사람들이 많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결론은.... 지금 초중고생들이 SW를 배울 것이 아니라, 위에 어떤 분 말씀처럼 현재 하고 있는 학업에 충실하고 SW 개발은 직업 교육으로 학습하는 게 옳지 싶습니다.
아무튼 닭의 닭짓은 어디까지일지.... 부동산 경기 부양에 43조를 퍼부을거라던데... 제 비닐지갑은 두려움에 떱니다..ㅠ.ㅜ
말씀하신 의도는 충분히 이해갑니다만, 당장 앞으로 난립할 초증고용 컴학원과... 거기에 또 다시 허리띠를 졸라매야할 저희 박봉 월급쟁이들은 무슨 죄입니까? 일례로....요즘 네이버가 공교욱과 연계한 SW 교육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마치 이런 정책이 나올 걸 예상이라도 한 듯이...
아무튼... 잘 아시겠지만 정권은 이해집단의 요구를 반영할 수 밖에 없는 시스템이지 않습니까? 뭔가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ㅎㅎㅎ 이상 또 다른 음모론이었습니다 ^^;;
대공감. 아마도 지 애비가 광부,간호사들 해외로 보낸것처럼 개발자들을 해외로 보낼 속셈인지. 뉴스에 sw관련 시찰 함과동시에 정책을 딱. 생각이란건 하고 사는건지. 6개월 공부 하고 나면 그때부턴 쌩 노가다 시작인데 처음부터 그걸 가르치?주입시키려는 목적인가보네요. 그러면서 게임은 4대 악이라는데 전부다 악의축으로 키울 속셈인가.
그쪽업계 종사자는 아니지만ㅡ 저는 국민학교때 컴퓨터 학원을 다녔었는데 한메타자교사 하고 그다음에 gw-basic.. (지금 생각해보면 그거 말고 학원에서 딱히 가르칠게 없었다는 생각도 들고요) hello world말고는 기억나는게 없지만 그래도 논리적 사고를 키우는 방법으로 재밌었던거 같은데요. 과학상자도 마찬가지구요. 논리적 사고력을 키우는데 이거말고 뭐가 좋은게 있을까요?
아 그리고 이건 질문인데,학원 6개월이면 진짜 프로그래밍 가능한가요? 업무상 엑셀매크로정도 쓰는데 왜케 어려운지 ㅡㅡ
저는 좀 다르게 생각합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코딩교육이 아닌 컴퓨터 알고리즘을 가르치는 교육은 꼭 필요합니다. 이 판 노동현실이 개판인 거는 교육과는 분리해서 생각해야 할 일입니다. 제 생각과 비슷한 글이 있어서 링크합니다. http://ppss.kr/archives/2507
_Notepad // 네이버가 학교 하는건 자기 입맛에 맞는 인재들을 키우고(실제 업무에 맞게끔) 인재양성에 목적이 있지 음모론 관점으로 보시면 좀 그럴듯.. 비슷하게 삼성에서도 디자인 학교 SADI가 있고, 성대의 커리큘럼에 영향을 미치죠.. 저도 소프트웨어 전공자지만, 초중고등학교에 교육하는건 엄청나게 반대합니다. 저도 배우면서 욕하면서 했는데, 이게 수학의 센스에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이 같이 배우면 죽고싶을 정도로 자괴감 느껴져서..쩝. 대부분은 적성에 맞지 않을텐데, 이걸 강요하는건 정말 지나치네요. 글 읽는거 싫어하는 애한테 억지로 법전 공부하게 하는거랑 똑같을듯. 하지만 음모론적 관점이 지나친건 반대합니다. 정확한 예측을 하는데 방해가 될 뿐이기 때문이죠.
SW교육은 SW발전에 전혀 이익 없고요 SW를 학생때부터 관심 가지게 하려면 학생들에겐 무료로 호스팅 지원해 주고 거지같은 게임법 개정해서 진입시에 부담감만 낮춰주면 발전은 알아서 됩니다
알고리즘 같은 사고과정은 수학만 제대로 가르치면 충분히 대응되고요 정보처리기사 실기의 문제들이 수학인 이유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음악 미술도 암기과목인데 SW교육요? 알고리즘 그런것보다 100% 에니악 부터 외어야 하고 필기시험에서 오타유도 문제나 함수명 쓰라고 할꺼고 소팅 알고리즘은 가장 빠른 알고리즘을 물어보겠죠
글고 국내 sw산업을 살리려면... 먼저 sw저작권 개념을 확충해서 sw 하는 사람이 먹고살 수 있도록 해줘야 하고요.. 세계 100 대 sw업체들 벤치마킹해서 국내 그런 업체들 키워줘야 합니다. 그리고 sw는 3d 업종이란 인식 재고시켜서 야근 근절하고 전문직으로 롱런 할 수 있게 해줘야 합니다. 그래야 머리 좋은 아이들이 sw산업에 미래를 겁니다. 옛날에 닷컴전성시대에 그랬던 것처럼..
현재 컴공 박사과정생입니다. SW과목이라고해서 우리가 언어 다루듯이 하는것은 아니겠지요. 어린아이들의 논리력을 키우기위한, 알고리듬/문제해결 중심의 교육이 주된내용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글중에, 삼각함수를 왜배웠는지, 나중에 개발하시다가 아셨다고했죠? 같은 맥락으로 보면될꺼같네요. 실제 언어를 다루고 개발을 하는건 현재처럼 대학교 입학후 진행될꺼구요. 말씀하신 국사수업의 필요성은 백번 동감합니다.
또한 정부에서 생각하는 SW인력이 단순히 자바개발자를 말하는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말씀하신대로 앱을만들기위한 자바개발자는 6개월~1년이면 교육가능합니다. 이러한 개발자를 중고딩때부터 키우겠다는 의미는 아니라고생각됩니다. 오히려 SE라던지, 코어개발자라고 언급하신 OS/플랫폼 개발자를 의미하는 것이지요. 이러한 개발자역시 소수인력만있으면 된다고 하시는데, 그 소수라는게 얼마나 작은수를 의미하는건지는 모르겠지만, 현재까지 이러한 개발자가 매우 부족한건 사실입니다. 그런의미에서 SW인력이 없다고 하는거구요.
지금도 학원교육받고 오고 어떻게보면 인력이 남아돌죠. 힘도 없는 it. 의사나 변호사들은 실력 부족한 대량양성인력 만들자고 하면 난리 나는것 같던데 왜 소프트웨어는 단기 교육하고 투입해도 되나요? 제대로 된 개발자는 진짜 몇년동안 교육받고 해야되요. 우린 단순한 코더가 되고싶지 않단 말입니다. 진짜 제대로 된 신입도 있지만 전공도 아닌데 학원 몇달 교육받고 온 인원 어떻게 보면 머리속에 속성으로 찍어낸 지식밖에 없어요. 진짜 문법은 알고 몇가지 활용법은 아는데 응용법이나 타인의 코드를 보고 코드를 이해하거나 배운거 말고 다른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못짜요. 레퍼런스나 오버라이딩같은 기초적인거 물어봐도 답변을 못해요.
솔직히 학원에서 속성으로 3년 배우고 의사가 될수 있나요? 변호사가 될수 있나요? 의사라면 배운거 말고 다른 증상이 있는 것도 고치고 수술할 수 있어야 하지 않아요? 변호사도 판례에 없는 것 변호할 수 있어야 하지 않나요? 왜 소프트웨어만 가능할거라고 생각하나요. 정말 짜증나는 상황이죠.
수년동안 교육 받은 인력을 속성 교육 받은 사람들과 경쟁시켜서 임금을 낮추는 행위 노가다에서 외노자로 내국인 근로자 임금 낮추는거랑 비슷한느낌? 진짜 실력있는 사람이야 어느 업종을 가도 그정도 대우 받습니다. 어떤 직종이던간에 탑클래스는 대우 받죠. 소프트웨어가 평균임금이 여러 직종중에서 거의 바닥이죠...
어제? 저녁에 댓글 쓰고 많은 글 들이 올라 왔네요.. 전 비판적 환영 입장에서 댓글 썼습니다만 부정적이신분들 의견 충분히 공감하겠습니다..현재 중2 딸에게 초딩때부터 프로그래밍 개념이라도 익히도록 방과 후 학교나 사교육 시켜 봤습니다만 말씀하신데로 제대로 실패했음을 밝힙니다.. 쓸모 없는 자격증만 생겼죠.. 교과도입시 그리될 가능성크죠.. 교육방법이 문제인데 제 경험으로는 우선 만들고 싶은거 정해서 기획부터 해보도록 하고 실제 코딩은 그냥 제가 하면서 가끔 지겨보게만했더니 좀 흥미를 갖고 해보려 하더군요.. ..논의잘되서 좋은 정책 나오면 좋겠습니다.. 물론 이정권하에서 그게 잘되리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좋은 분 들이 많이 교육감으로 당선 되셨으니까 심도있게 논의됐으면 좋겠습니다
초보개발자고 반반 이네요. 학부생때만해도 가지고 있는 기술력이 창의성을 좀먹는다는 이야기로 봐선 안배우는게 낫지만 프로그래밍 자체는 교양으로 배우기 좋은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지 우리나라 현실상 단순암기과목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고요. 클럽활동 같은시간에 스크래치같은걸 놀이하듯 배우면 그래도 좋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