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5세훈이의 디자인서울.jpg
게시물ID : bestofbest_5509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네스티
추천 : 248
조회수 : 45129회
댓글수 : 0개
베오베 등록시간 : 2011/08/26 08:42:45
원본글 작성시간 : 2011/08/25 23:43:14


'디자인 서울' 탓에 지붕 없는 지하철역, 폭우 피해 키운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핵심추진사업인 '디자인 서울' 탓에 지하철역 출입구의 지붕이 사라지고 계단 턱이 낮아지면서 장마철 침수피해와 안전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다.

301.5mm의 물폭탄이 떨어졌던 지난 27일, 서울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안은 종아리까지 물이 차올랐다.

지하철역 출입구의 지붕이 사라진데다 계단의 턱 높이가 제한돼 역 안으로 빗물이 쏟아져 들어왔기 때문이었다.

조정희(64) 할머니는 "첨벙첨벙 발이 빠져서 바지를 걷어 올리고 역 안을 빠져나왔다"면서 "우리 같은 노인네들은 미끄러지기 쉬워 조마조마했다"고 말했다.

지하철 5~8호선은 694곳의 출입구 가운데 191곳(27.5%)에만, 반면 1~4호선은 출입구 696곳 가운데 533곳(76.5%)에 지붕이 설치돼 있다.

지하철 운영사인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 모두 폭우와 폭설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붕을 설치하고 싶지만 오 시장 취임 뒤인 지난 2008년 제정된 서울시 조례가 가로막고 있다.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라인' 조례는 "지하철 출입구의 지붕(캐노피)은 설치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단, 설치가 불가피한 경우에는 규모를 최소화하고 디자인을 간결하게 한다"고 돼있다.

서울시 디자인의 4대 원칙 가운데 첫째인 '비우는 서울 디자인'에 따른 것이다.

이로 인해 지하철 운영사들은 방수 등을 위해 1대당 5,000여만원이 더 비싼 야외용 에스컬레이터 30여대를 설치하기도 했다.

서울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야외용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해도 출입구에 지붕이 없다보니 예측할 수 없는 비가 올 때는 잦은 고장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결국 지하철 운영사들이 수차례 건의한 끝에 지난해 말 지하철 출입구 지붕에 대한 표준 설치 규격안을 서울시가 마련했지만 심의 절차가 까다로워 여전히 걸림돌이다.

여기에다 출입구의 계단 높이 등이 사실상 제한되고 있어 폭우가 쏟아질 때마다 입구에 모래주머니를 쌓아놓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서울시의 심의 과정에서 높은 계단 턱이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배려하지 못하고 있다며, 저지대에서조차 대안 없는 낮은 턱이나 경사로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지하철 운영사들이 탁월한 디자인 능력만 있다면 심의에 통과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하철 운영사들만 편하자는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사실상 문제의 원인을 지하철 운영사 측으로 넘겼다.

'비움의 디자인'을 하겠다는 서울시의 전시행정이 시민불편과 예산 낭비는 물론 사고 위험까지 키우는 것은 아닌가하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10803060315120&p=nocut







혈세 70억 들여 만든 광화문광장 도로, 비 온 후 해뜨니 '쩍쩍'

한국일보 | 입력 2011.07.22 02:49 | 누가 봤을까?

이번 장맛비로 주변 돌길 31군데 파손


"통행 많은 곳에 디자인만 신경썼나" 비난

"어이쿠, 이러다가 큰일 나겠네. 디자인서울 한답시고 대한민국에서 차가 제일 많이 다니는 곳에 멋만 부려놨다 이게 뭡니까?"

20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도로를 지나던 택시기사 김모(56)씨가 한 말이다. 돌길로 조성돼 있는 서울 광화문광장 도로 곳곳이 집중호우가 지난 뒤 돌 틈 사이가 벌어지거나 움푹 패여 운전과 횡단보도 보행에 적지 않은 장애가 됐다. 그 위로 덤프트럭과 서울시티투어 2층 버스가 지나갔다.

온난화로 매년 강우량이 증가하는 서울의 기후변화를 감안하면 이 돌길은 현실과 맞지 않는 전시행정의 표본이라는 지적이다. 지난 5월 집중호우 전후에도 광화문광장 돌길이 갈라져 시가 수시로 복구공사를 했다. 비가 와도 부슬비가 대부분인 유럽과 달리 집중호우가 잦은 홍콩이나 일본 등 아시아 국가의 도심에서는 이런 돌길을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유럽의 경우는 돌길이 역사 유적이라 불편한 점이 있어도 감수하는 측면이 있어 시가 고생을 사서하고 있는 것은 아이러니다. 더욱이 수백년된 유럽의 돌길은 대부분 돌의 높이가 광화문 광장의 판석보다 깊이 박혀있어 튼튼하고 강하다. 콘크리트로 돌 사이를 메운 경우도 거의 없는 이유다. 오세훈 시장은 광화문광장 돌길 공사 전인 2007년 5월 방문한 프랑스 파리 등 유럽의 돌길을 보고 광화문 광장 도로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플로팅 아일랜드 비오고 난후










1300억짜리 공원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