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지방분권의시대, 재정자립도가아닌, 재정자주도를 키워야합니다.
게시물ID : sisa_39855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창동공화국
추천 : 0
조회수 : 571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06/05 23:38:47

재정자립도와 재정자주도의 차이

 

재정자립도란 지방자치단체의 일반회계 세입중 자체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을 말한다. 지방자치단체의 수입은 중앙정부 등에 의한 의존수입과 자체수입으로 나누어지는데 자체수입은 통상 지방세와 지방세외수입의 합계를 말한다.

 

재정자립도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자립수준을 측정하는 지표 역할을 한다. 재정자립도가 높다는 것은 해당 지자체의 경제활동이 활발하고 소득이 높다는 징표이다. 또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국가는 지자체의 원할한 운영을 위하여 지방교부세율 인상, 지방세원 확대, 국고보조금 차등보조율 제도 운영 등을 통해 지방재정의 부족분을 메꾼다.

 

한편, 재정자립도는 특별회계 수입을 제외하고 일반회계 수입만을 반영하고 있어 실질적인 지방재정의 자립수준을 과소평가 할 수 있으며, 세입만을 보고 세출은 고려하지 않으며, 사실상 의존재원인 지방채 수입이 자체 수입에 포함되어 있어 정확한 재정자립 수준을 파악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재정자주도란 지방자치단체 일반회계 세입중에서 자체수입과 자주재원을 합한 비율을 말한다. 재정자주도가 높을수록 지방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예산의 폭이 넓어진다.

 

자체수입은 앞서 얘기했듯이 지방세와 세외수입으로 구성되고, 자주재원은 국비중 지방교부세와 재정보전금, 조정교부금 등으로 구성된다.

 

재정자주도는 재정자립도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지방자치단체들은 재정자립도와 함께 재원활용능력을 표시하는 지표로 재정자주도를 사용한다.

 

2013년 전라남도의 전체 예산은 5조6,247억원이고, 재정자립도는 16.3%, 재정자주도는 36,6%로 두가지 모두 전국 최하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수도권과 동남권 지방자치단체에 비해 경제적 기반과 활동이 약하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 국세와 지방세의 비율은 대략 8:2 정도다. 이와 같은 국세와 지방세의 심한 불균형은 지방재정을 만성적인 적자로 만들고 있으며, 중앙정부에 대한 지방의 의존성을 높이는 결과가 되어 결과적으로 지방자치를 반쪽짜리 자치로 전락시키고 있다.

 

명실상부한 지방자치가 되기 위해서는 지방의 자주재원을 늘려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세의 지방세 이양, 지방교부세율 조정, 새로운 지방세목 신설 등이 과감히 진행되어야 한다.



출처: 전남도의원강성휘 블로그


참고자료




재정자립도 창원>마산 (둘다 전국 평균 이상) 소득 및 경제활동이 활발함.




재정자주도 마산>창원(둘다 전국 평균 이상)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사용할수있는 예산규모

클릭하면 커집니다. (자료출처 : 재정고 : 지방재정통계)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