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재업/케네스김] SIPRI 2013 YEARBOOK.
게시물ID : sisa_39884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empathy
추천 : 0/2
조회수 : 181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06/06 23:03:10

[케네스김] SIPRI 2013 YEARBOOK. 

 

http://blog.naver.com/smartguy68/150169338083(블로그 게시글 스크랩 불가, 링크 주소로 대신합니다. - 케네스김 팬fan) 

 

 

 

 

 프리뷰preview 목차 정리  :

 

- SIPRI, 2013 군비, 군축, 국제안보에 관한 연례보고서 출간

- 아랍의 봄에 잇따른 무장 충돌

- 동아시아와 동남아의 허약한 평화The Fragile peace in East and South East Asia

- 군사비 MILITARY EXPENDITURE

- 세계 100대 군수 회사 The SIPRI Top 100 arms-producing and military services companies

- 핵 무기 현황

- 무기 수출입

 

 

 

떡밥 :

 

- 후세인의 독재에 의해 "의제된 평화"가 유지된 이라크와, 오늘날 한 달에만 1000명 가까이 사망하는 이라크와, 어떤 이라크가 나았다고 판단할 수 있을까? 참 어려운 일이다. 비록 독재지만 그래도 유혈사태 없이 목숨이라도 부지하고 지냈던 후세인 시절이 좋았다고 할 수 있나? 아니면 독재자는 죽었지만, 독재에 의해 억눌려 있던 욕망과 이해관계를 조정할 정치적 역량을 발휘하지 못한 채 한 달에 1000명 가까운 목숨이 죽어가는 지금의 이라크가 좋은가? 이게 해방과정에서 불가피하게 겪어야만 하는 통과의례라고, 간단하게 치부하고 넘길 수 있는 일인가? 미국은 이런 방법 외에는 없었나? 민족적 역량이 부족한 이라크를 비난해야 할 일인가? 의문이 꼬리를 문다. ('아랍의 봄에 잇따른 무장 충돌')

 

- 근대 동아시아는 일본, 중국, 필리핀, 태국 기타 아세안 국가, 한국, 북한, 대만, 러시아, 베트남, 미국까지 동아시아 안보와 영토 분쟁에 직간접으로 개입하고 있다. 미국의 "Privot to Asia정책"과 중국의 "굴기정책"이 맞물려 아시아는 안보취약 지역이 돼 가고 있다. 첨부 그림 하단, 2003~2007에 비해 2008~2012년에 아시아로의 무기 유입은 급증했다(41%→47%). 한창 불안한 중동은 무기유입이 오히려 줄었다.(22%→17%). ('동아시아와 동남아의 허약한 평화The Fragile peace in East and South East Asia')

 

- SIPRI 발표에 따르면, 세계 최고의 대량살상무기 수출국가는 바로 미국이다. 그 다음 러시아. 북한은 명함도 못 내민다. 이 두 나라가 세계 무기 수출의 56%를 차지한다. 세계 최고의 무기 수입국은 인도, 중국, 파키스탄, 한국, 싱가폴 등 아시아 5개국이다. 세계 무기수입의 무려 1/3(33%)을, 이들 5개국이 차지하고 있다. ('무기 수출입') 

 

  

[아래는 반복 게재 링크, Skip 하실 분은 skip.]


[논지 이해를 돕는 게시글 링크]

 

2013/04/02 [한미 FTA] 1876년 한일 FTA조약(강화도조약)의 불평등성과 한미FTA 불평등성

2013/04/01 [한미 FTA] 한미 FTA 공동위원회의 역사성과 위헌성

2013/04/09 [국제정치, 남북관계] 한반도 위기는 외교적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2013/03/26 [국제정치, 남북관계] 용산기지 이전비용- 노빠정부의 새빨간 거짓말

2013/02/23 [국제정치, 남북관계] 우리는 평화롭게 살 권리가 있다

2013/02/28 [정치] DJ를 승계하는 "선명 신당"만이 국민의 희망이다

2013/01/26 [국제정치, 남북관계] DJ없는 한반도, 어디로 가는가

2012/12/23 [정치] 쇄신의 기준은 "참여정부 5대 실정"에 대한 사과이어야 한다

2013/01/07 [정치] 자유당보다 못한 노빠 민통당

2012/10/29 [정치] 정동영의 탁월한 정치개혁안

2012/10/26 [정치] 국가란 무엇인가

2012/05/17 [정치] 보수란 무엇인가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