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저축보험을 가지고 무슨 말도 안되는 논쟁들을 하고 있는 건지
게시물ID : economy_556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돈도라
추천 : 8
조회수 : 2483회
댓글수 : 15개
등록시간 : 2014/02/04 19:17:23
오랜만에 들어온 경게가... 잘못된 정보로 인해 논쟁으로 가고 그 가운데 논리는 말도 안되는 논리로 논쟁하고 있고... 물론 제 기준에 말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Fact를 제시하기 이전에... 논리가 참 이상합니다.
 
-가입하는 사람에게 중간에 찾으면 과세가 될 수 있고, 중도해지하면 원금을 못 찾을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시키고 그래도 가입하시 겠냐고 의사를 물어봅니다.
-그래도 가입을 하겠다고 하여 저축보험을 가입시켰습니다.
-그런데 중도에 해지하여 은행이자보다 못하다고 한다면, 이것은 중간에 해약한 사람의 잘못입니까? 그 상품을 권해서 판 사람의 잘못입니까?
 
잘잘못을 논할려고 하면... 중도에 해지하면 은행이자보다 못할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시키지 알고 장점만 부각해서 판 사람이 있을 경우 그런 경우가 잘못인거지, 적법절차 대로 상품을 판 사람에게 중도에 해지하여 발생한 손실에 대해 잘못을 논한다면... 이게 이치에 맞는 일인가요???
 
이것은 차로 치면... 차의 결함이 아니라 운전자의 운전미숙으로 인하여 사고가 발생했는데, 차를 판 직원에게 사고에 책임이나 부도덕 하다고 모는 경우와 무엇인 다른건가요???
 
 
여기서 부터는 Fact를 제시해 봅니다.
 
이것은 제가 예전에 가입한 모 양로보험입니다. 예전에는 최저보증 이율이 4% 였는데 지금은 3.5%로 떨어져있습니다.
현재것으로 뽑은 것이고 현재 공시이율이 4%가 조금 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0년 동안 불입하는 10년 납이고, 10년 후 수령하는 만기 10년짜리 보험입니다. 납입금액은 월100만원입니다. 어차피 율은 바뀌지 않으니까 상관없습니다.
양로보험.png
 
맨 오른쪽에 있는 것이 현 공시이율대로 굴러 갈 경우 만기에 제가 받는 돈입니다. 16% 정도 됩니다. 맨 왼쪽은 것은 가입하자말자 금리가 폭락해서 최저보증이율 3.5% 굴러갈 경우 나오는 환급금액입니다.
 
보시는대로... 넣은지 4년이나 5년이 지나서야 내가 넣은 원금이 됩니다. 바꾸어 말하면 4~5년까지는 사업비조차도 쉽게 말해 수수료조차도 커버를 하지못하는 상황인겁니다. 이 보험이 사업비가 5% 정도 됩니다. 100만원에서 4%가 붙는것이 아니라 95만원에서 4%가 붙으니 제대로 커버를 하지못하는 것이지요.
 
만약에 5년안에 이 사람이 해지를 한다면 무슨 이런 쓰레기 같은 상품이 다있냐고, 내 이자나 내돈 보험사에서 다 먹었다고 충분히 욕할수 있는 상황이기는 합니다만, 이것이 보험사의 잘못인건가요??? 이 것을 욕한다면... 보험의 구조에 대해 설명을 충분히 듣지 못했거나, 자신이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는 것을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상황을 비교해서 은행으로 비교해보지요.
여기 숫자 잘 하시는 분들 있으신것 같으니 계산해보셔도 됩니다.
 
은행연합회 적금금리.png
10년짜리도 없지만 제일 만기가 긴 60개월짜리 금리가 제일높은 곳이 3.3%정도 평균 3.1%정도됩니다.
 
이자율은 은행금리는 3.1% 단리인것 아시지요? 3% 연복리 보다 분명히 적지만 3% 연복리로 많이 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간은 10년으로 월납 100만원 적금넣는 다고 할 경우 엑셀로 계산 때려보면
 
세전 137,566,552원 나옵니다. 종합과세 이런거 빼고 일단 이자소득세 15.4% 과세가 되니.
원금 1.2억 제할 경우 이자액은 17,566,552원이 됩니다. 여기에 세금은 2,705,249원이니
 
실제 세후 수령액은 134,861,303원이 나옵니다.
 
보험의 공시이율 금리로 굴러 갈 경우 139,485,737원이 됩니다. 보험이 462만원이 더 많습니다.
 
당연히 장기로 갈 경우 보험의 차익이 더 큽니다. 비과세라는 매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보험 만드는 애들 짱구 아닙니다. 돈이 안되면 당연히 상품 나올 수 없습니다.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중간에 깰 경우 손해가 발생하는 것은 보험의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만기까지 넣지 못하는 사람이 문제인것이 상품이 쓰레이기 인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왜 보험을 해약하지요?? 중도인출을 통해 70% 이상 인출이 가능한데, 목돈이 필요한 경우라면 중도인출을 이용하세요. 해약하지말고
 
그리고 위의 경우 월납 100만원할 사람 같은 경우는 35만원 보험을 가입하고 추가납입을 통해 65만원을 넣을 경우 수수료가 3분의 1로 줄어드니 더욱더 차이가 발생합니다.
 
월납100만원 가입할 사람일 경우 추가납입을 활용하라는 말을 하지 않고 그냥 100만원 다 가입시킨다고 하면 그런 사람이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는 사람이라고 욕할수 있는 거지, 비교 대상이 아닌 상품을 끌고와 비교하는 자체가 논점에 맞지 않내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