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진짜 잘 모르겟어서 찾아본 '보수'주의
게시물ID : sisa_40984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목도리뭉치
추천 : 3
조회수 : 295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3/06/29 17:42:02


편하게 쓰려고 합니다

학생때 내가 학교서 배운 진보와 보수는 

적어도 지금 내가 살고있는 한국사회에서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거 같아서 

우리가(혹은 저 혼자...ㅠㅠ) 계념적으로 알고있던 보수의 정의를 다시한번 생각해 보려 합니다

대부분 우리가 쉽게 찾을수 있는 출처 예) 네이버 백과사전 등 에서 그 정의를 찾아보고 

거기에대한 현상황을 생각해보도록 합시다 ㅎ



1. 사전적 의미로써의 보수주의

http://terms.naver.com/entry.nhn?cid=483&docId=727362&mobile&categoryId=483(21세기 정치학대사전, 2010.1.5, 한국사전연구사)

위의 링크는 네이버 백과사전입니다 보수주의는 영어로는 Conservatism, 한자로는 保守主義 라고 쓰는군요

그리고 가장 첫줄에 이렇게 적혀있습니다

진보주의에 대립되는 개념으로, 일반적으로는 급격한 개혁을 피하고 현재의 체제를 중시하는 사상을 말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보수주의 [Conservatism, 保守主義] (21세기 정치학대사전, 2010.1.5, 한국사전연구사)

흠... 

급격한 개혁을 피하고 현 체제를 중시하는 사상이라고 적혀있네요

그리고 조금 더 내려가서 중간쯤 보면 

이른바 자명시(自明視)되어 있는 무엇인가를 전제로 하고 있다. 이 합리적인 사고나 행동이 전제될 수밖에 없는 그것 자체는 합리적인 근거를 가질 수 없는 무엇인가가 그것이 보수주의를 보수(保守)해야 할 무엇인가인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보수주의 [Conservatism, 保守主義] (21세기 정치학대사전, 2010.1.5, 한국사전연구사)

라고 적혀있습니다. 

그러므로 행동하는 보수주의라는것은 합리적인 사고에의해 자명시되는 무엇인가를 지켜내기위한 행동이라고 할수있겟네요

좀더 내려가서 읽어보면 이 합리적인것을 어떻게 판단하는가? 라는것을 필두로 

두가지로 나뉜다고 적혀있습니다


하나는합리적인 사고나 행동의 전제는 신앙으로서 주어진다는 견해이고

두번째는  개개인의 사고나 행위의 합리성으로는 환원될 수 없는 관습 또는 전통에 있어서 주어진다는 견해가 있다.


결국 인간 개인의 합리성에대해서는 의문이 들게 되니 그 행동의 전제를 신앙 혹은 전통(관습)을 기준으로 두고 행동하는방식이라고 보여집니다


2. 철학적 관점에서의 보수주의


이 두번째 링크는 네이버에서 보수주의를 검색했을시 나오는 또다른 링크입니다 이건 출처가 두산백과네요

철학적인 관점에서의 보수주의에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일단 카테고리가 철학이네요 ㅎ

진보주의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주로 이데올로기적인 근대 정치사상의 특정 조류를 가리킨다. 사회심리학적 의미에서 인간의 어떤 심리적 태도 또는 성향(性向)을 가리키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보수주의 [conservatism, 保守主義] (두산백과)


일단 두산백과의 정의는 이렇게 됩니다 

여기서는 보수주의를 심리적 보수주의와 자연적 보수주의의 두가지 분류로 나누어 놓았습니다 

1번에서 나누는 방법이랑은 조금 상반되는부분이 있는거 같네요 ;; 

심리적인 보수주의는 정치적인 스텐스를 말한다기 보다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보수적인 아버지할때 의 그 보수주의를 

말하는것이네요 

이러한 보수주의가 왜 나오게 되는지 자세히 설명되있습니다

미지의 것을 두려워하고 변화를 싫어하여 자기가 익숙한 것에 집착하는 점에서, 변화를 좋아하고 낡은 것을 버리고 싶어하는 진보주의와 대립된다. 즉, 한쪽은 현상을 고집하는 데 반하여 다른 한쪽은 현상의 변화를 요구하는 심리 태도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보수주의 [conservatism, 保守主義] (두산백과)


미지의 것을 두려워하고 변화를 싫어하여 자기가 익숙한 것에 집착하는심리 태도이다.라고 간단히 말할수 있겟네요


이번 링크에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부분은 이부분 입니다


심리적 태도로서의 보수주의와 진보주의는 서로 대립되는 것이지만, 상호간의 작용에 의하여 사회생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사실상 이러한 심리적 태도는 여러 농도로 존재하고 있어 반동주의와 급진주의의 양극 사이에 보수주의와 진보주의가 스펙트럼의 빛과 같이 제각기의 뉘앙스를 가지고 끼여들어 있다. 반동주의·급진주의는 모두 현상의 과격한 변화를 바라는 심리적 태도이지만 전자는 '뒤쪽을 바라보는 변화'를, 후자는 '앞쪽을 바라보는 변화'를 바라고 있다. 보수주의가 반동주의에 접근하는 것은, 미지의 것보다는 익숙한 것으로 향하려는 '뒤쪽을 바라보는 변화'를 택하는 경향을 가졌기 때문이다. 심리적 보수주의가 현상을 고집하려는 것은 안정을 바라기 때문이며, 그것은 A.B.울프가 말하였듯이 '안전제일주의'를 본질로 하는 것이다. 예컨대, '돌다리도 두드려 보고 건너라'는 것과 같다.

[네이버 지식백과] 보수주의 [conservatism, 保守主義] (두산백과)


대부분의 사람들은 보수와 진보는 나누어져있는 영역이라고 생각하는대 그게 아니였다는겁니다

보수주의는 위에 써있는것처럼 안전제일주의를 본질로하지만 또다른면에서는 진보적일수 있다는것이겟죠


링크를 조금 더 읽어 내려보면

이데올로기적 보수주의라는것이 나오게 됩니다

근대 이게 골떄리는게 작금의 상황과 너무 딱 맞아떨어지는 설명이 있네요

근대 정치사상의 특정 조류로서의 보수주의는 앞에서 말한 심리적 태도를 기반으로 하여 생겼다. 즉, 역사의 어떤 단계에서 각자가 가진 보수주의적인 심리적 태도가 표면에 떠올라, 특정한 사상적 조류를 응집(凝集)시키는 중심이 되어 이데올로기로서의 보수주의가 생긴 것이다. 각자의 보수주의적 심리태도는 각각 특정된 개인적 또는 계급적 이익과 무관하게 부상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러한 이익이 동기가 되어 부상한다. 그것은 '소유의 안전을 바라는 욕망'에 뿌리를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이데올로기로서의 보수주의가 생긴 다른 이유는, 인간의 또 하나의 심리적 태도인 진보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이데올로기로서의 진보주의의 성립에 대응하기 위해서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보수주의 [conservatism, 保守主義] (두산백과)



계급적 이익과 자신의 소유의 안전을 바라는 욕망이라...
 보수주의는 원래 어떤 특정적인 역사적 상황에 대한 응답으로서 나온 것이므로, 그 본래의 모습은 방어적인 것이다. 그것은 사회구조의 현상유지를 위하여 현체제에 대한 도전에 방어의 태세를 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수주의가 이데올로기라는 면에서 문제되는 것은, 현제도가 어떠한 제도이건 그 제도 자체를 정당화하려는 점에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보수주의 [conservatism, 保守主義] (두산백과)


줄쳐저 있는부분을 보시면 알겟지만 이데올로기적 보수주의의 문제점입니다

작금의 상황과 너무나도 잘 맞아 떨어지는군요...



어쪳든 

마지막으로 위의 링크가 정의하는 보수주의란 

보수주의의 내용을 간단히 정식화(定式化)할 수는 없지만, 형식적으로 보면 세 가지 원리, 즉 ① 현재에 대한 변화를 부정하는 '보존의 원리' ② 과거의 것을 현대에 이용하려는 '역행의 원리' ③ 현재의 것에서 유기적으로 생기는 '진보의 원리'를 결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보수주의 [conservatism, 保守主義] (두산백과)




3. 글을 마치며

저는 학교때 진보와 보수에대해 배울때 

둘다 현실의 문제를 풀어내기위한 도구지만

진보는 문제를 풀어내어 유토피아로의 걸음을 하는것을 목표로하며

보수는 아이와 여자를 수호하겟다는 기사들의 기사도와같이 현실의 문제를 인지하고 느리더라도 지켜가면서 풀어나가는것이라 

배웠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의 보수는 기사도는 커녕 이데올로기로 점철되어 있네요 

두서없는 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