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패션업계의 '열정페이' 관행이 논란이 되면서 우리 사회 곳곳의 청년 노동 착취 실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패션업계 만큼이나 청춘에게 희생을 요구하는 곳은 미용업계. 두 업계는 닮은 점이 많다. 도제식 직업훈련 시스템 아래 '배움'이라는 명목으로 청춘들에게 희생을 강요하고 있기 때문이다.
헤어 디자이너의 꿈을 안고 미용업계에 뛰어들었던 청춘들은 어떻게 생활하고 있을까. 현재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미용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미용업계 종사자 5명을 만나 직접 얘기를 들어봤다.
개인헤어숍에서 2년째 인턴중인 최지은(20·가명)씨는 하루에 50명 이상 샴푸작업을 하다가 샴푸독이 오른데다 파마약이 손에 닿아 파마독도 오른 상태다. 최 씨의 손가락은 피부가 벗겨져 하얗게 일어나고 손등과 팔은 빨갛게 부어오르고 진물이 나기까지 한다. 최지은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루 10시간 주 6일 근무… 월급은 70만원
일반적으로 헤어 디자이너가 되려면 헤어숍에 입사해 스태프(1~2년)과 인턴(2~3년) 등 약 5년의 수련 과정을 거친다. 스태프가 보조라면, 인턴은 견습생. 스태프는 바닥을 쓸고 샴푸를 하고 설거지를 하는 등 허드렛일을 하는데, 이 과정을 거쳐야만 인턴으로 '진급'할 수 있다. 인턴은 디자이너에게 머리를 손질하는 법을 배우고, 각종 실무를 하게 된다. 이들은 대개 하루 10시간, 주 6일씩 일하며 100만원 안팎의 월급을 받는다.
월급은 적지만 근무 강도는 높다. 서울 청담동에 있는 유명 뷰티숍에서 인턴으로 일하는 유하나(24·가명)씨. 연예인들의 스케줄에 맞춰 움직여야 하니 새벽 4시에 출근해 저녁 8시까지 일하는 날도 있다. 유씨의 월급은 한 달 70만원. 시급은 2,800원(평균 주6일, 하루 10시간 근무)에 불과하다. 턱없이 적은 월급은 지난해 최저시급인 5,210원의 절반을 겨우 넘는 수준이다. 유씨는 "일주일에 하루 쉬는데 그마저도 교육을 받다 보니 돈 쓸 일이 없더라"면서 "월급이 적어도 돈을 쓸 일이 없으니 불편함이 없었다"고 헛웃음을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