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롤초보자를위한 팁! 이것만은 알고하자!.TXT
게시물ID : lol_57226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겜빗게이밍
추천 : 5
조회수 : 690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4/11/23 23:10:02
◆ 탱커(Tanker)

상대 팀이 자신을 공격하게끔 유도 하여
아군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챔피언을 탱커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높은 방어력과 강력한 슬로우, 도발, 넉백 등의 스킬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딜러(Dealer)

상대 팀에게 타격을 주는 것을
주된 역할로 수행하는 모든 챔피언을 딜러라고 합니다.

 

◆딜탱, 근접 AD딜러(Melee DPS, Fighter)

탱커에 버금가는 방어력과 지속적인 근접 딜링
능력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챔피언을 딜탱이라고 합니다.

탱커들과는 달리 슬로우, 넉백, 도발 등의 스킬이 없거나 미약 합니다.



◆ AP딜러(AP dealer)

스킬에 의존하는 딜러들 중에 AP를 높여서
스킬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챔피언을 AP딜러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순간 화력은 높지만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 동안엔 약한 모습을 보입니다.




◆ 원거리 AD딜러(Range AD)

원거리에서 기본 공격에 의존하여 상대방에게
꾸준히 대미지를 입히는 챔피언을 원거리 AD딜러라고 합니다.

딜탱과는 달리 방어력이 낮지만 공격 사정거리가
멀어서 팀원간 교전시 안정적이고 높은 화력을 낼 수 있습니다.




◆ 누커(Nuker)

강력한 스킬을 연계하여 상대방을 순식간에
제거
할 수 있는 챔피언들을 누커라고 부릅니다.

많은 AP챔피언들이 누커에 속하며
소수의 AD챔피언들 중에도 누커가 존재합니다.

Pantheon(판테온)Talon(탈론)대표적인 AD누커인 판테온탈론




◆ 서포터(Supporter)

팀원들이 보다 수월하게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챔피언을 서포터라고 합니다.




◆ 베이비시터(Babysitter)

아기를 돌보듯이 아군을 키워주는 챔피언을 베이비시터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초반엔 약하지만
후반에 강해지는 유형의 챔피언을 키우기 위해
서포터가 곁에서 베이비시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니시에이터(Initiator)

이니시에이터는 적절한 순간이 왔을때
팀원간 교전을 이끌어내는 챔피언을 지칭합니다.

한타 유발자로도 불리우며 일반적으로
강한 광역 스킬 혹은 상대팀을 끌어오는 스킬 등을 보유하고 있는 챔피언이 이런 역할을 수행합니다.
 

◆ 정글러(Jungler)

팀원의 빠른 성장을 돕고 각 라인의 전황을 컨트롤하기 위하여
라인이 아닌 정글에서 사냥을 통해 성장하는 챔피언을 정글러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정글은 캐리형 딜러가 돌지만
경우에 따라 몇몇 탱커들이 도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글과 관련된 용어
 
 
 

◆ 정글링(Jungling)

정글러가 정글을 돌면서 자신이 담당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뜻합니다.




◆ 크립(Creep)

맵의 라인이 아닌 정글 안에 위치한 중립형 몬스터를 지칭하며
크립들 중에는 잡기는 다소 어려우나 사냥시 버프를 주는 것들도 존재합니다.

크립을 일정 기간 동안 잡지 않을 경우 성장하여 추가 경험치를 줍니다.


◆ 레드(Red)

크립들이 주는 버프 중에 장로 리자드가 주는 버프를 지칭합니다.
일반적으로 AD챔피언들이 선호하며 타격시 슬로우지속 대미지를 입힙니다.



◆ 블루(Blue)

크립들이 주는 버프들 중에 고대 골렘이 주는 버프를 지칭합니다.
마나회복량을 대폭 늘려주고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을 상당량 감소시켜 줍니다.



◆ 리쉬(Leash)

정글러가 초반에 강한 크립을 수월하게 잡기 위해
라인에 서는 챔피언이 해당 크립을 한 대 때려 주는 것을 뜻합니다.

라인 챔피언이 리쉬를 해주면 크립이 먼저 때린 대상을 공격하기 위해
쫒아가는데 이 시간동안엔 정글러를 공격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크립을
잡을 수 있습니다.




◆ 드래곤(Dragon)

잡으면 팀원 전원에게 골드를 주는 크립으로
지속적으로 잡아주면 팀원의 전체적인 성장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초 중반부에 일어나는
팀파이트는 드래곤을 사이에 두고 이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바론(Baron)

초 중반에 상대하기 무척 어렵지만 일단 잡기만 하면 HP, MP, AP등
많은 능력치를 대폭 올려주는 버프와 팀원 전체에게 골드와 경험치를 주는 크립 입니다.

후반부에 전황 굳히기 혹은 뒤집기에
자주 쓰이기 때문에 바론 주변에서 교전이 자주 일어나기도 합니다.

 
 
행동 및 스킬과 관련된 용어
 
 


◆ CC기

Crowd Control의 약자로 군중제어 스킬이라고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군중제어 스킬은 크게 세 종류로 나뉩니다.

움직임의 제한 - 느려짐(Slow 이동속도를 느려지게 하는 것), 덫(Snare 이동은 불가능하지만 주문시전이 가능)등

행동의 제한 - 장님(Blind 공격이 빗나가는 것), 침묵(Silence 주문시전 불가), 공중에 뜸(Airborne 공중에 뜨는 것)
제압(Suppresses 행동불가)등

행동의 강요 - 도발(Taunt 억지로 공격하게 하는 것), 공포(Fear 도망가게 하는 것)등

◆ 팀파이트(Team Fight)

개인 대 개인의 교전이 아닌 양 팀간의 단체 교전을 뜻합니다.
한타 싸움이라고도 하며 초 중반엔 드래곤 근처에서 그리고 후반부엔 바론 주변에서
자주 일어납니다.




◆ CS(Creep score)

크립 혹은 미니언을 제거해서 골드를 얻는다는 Creep score의 줄임 말입니다.
미니언 막타를 먹는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 푸쉬(Push)

상대팀 미니언을 빠르게 제거하여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미니언간
교전점의 위치를 상대 진영 방향으로 밀어내는 행위를 푸쉬라고 합니다.

또한 궁극적으로 해당 라인에 위치한 상대팀의 타워와
억제기를 제거하여 팀 승리를 유도하는 행위도 푸쉬의 영역에 포함됩니다.




◆ 파밍(Farming)

캐리형 챔피언들이 후반의 팀 캐리를 위하여
라인에 서서 안정적으로 돈과 경험치를 모으는 것을 지칭합니다.

장기적으로 골드와 경험치를 모으는 것이
흡사 농사와 같다고 하여 파밍이라고 부릅니다.

경우에 따라 캐리가 아닌 챔피언도
부족한 스펙을 채우기 위해 라인에서 파밍을 하기도 합니다.




◆ 와딩(Warding)

와드는 일정한 지역에 설치하여 지속시간동안
해당 구역의 시야를 밝혀주는 아이템을 지칭합니다.

이런 와드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플레이를 와딩이라고 합니다.
◆ 백도어(Back door)

상대편이 아군 진영을 공격하고 있을 때.
몰래 라인의 타워를 미는 행위를 지칭합니다. 상황에 따라 훌륭한 역습이 되기도 합니다.




◆ 다이브(Dive)

참전. 전선으로 뛰어든다는 표현 입니다.
이니시에이터가 팀파이트를 유도하는 경우에 자주 쓰입니다.

응용된 용어로는 체력이 많이 떨어진 상대팀 챔피언을
제거하기 위하여 타워로 달려드는 것을 지칭하는 타워다이브가 있습니다.




◆ 갱크(Gank)

갱킹은 불리한 입장의 상대를 공격한다는
신조어로 LOL 상 에선 습격한다는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 페이스체크(Face check)

와드나 기타 스킬을 활용하여 숲 안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챔피언을 직접 숲 안으로 집어 넣어 정찰하는 행위를 지칭합니다.

운이 나쁘면 숨어있던 상대 팀에게 꼼짝 없이
당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상황에 맞춰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카운터 정글링(Counter jungling)

궁극적으로 상대팀 정글러의 성장을 방해하기 위해
하는 모든 종류의 행동을 카운터 정글링이라고 합니다.




◆ 퍼스트 블러드(First blood)

국내에선 선취점이라고 하여 게임 내 최초 킬을 의미 합니다.

퍼스트 블러드 달성시 100골드를 추가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챔피언들보다 금전적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 피딩(Feeding)

자주 죽는 것을 가리켜 마치 상대 팀에게
밥상을 차려 주는 것과 같다고 조롱하는 것을 피딩이라고 합니다.

* 계속해서 피딩을 하는 사람을 피더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트롤링(Trolling)

고의적으로 상식 밖의 행동을 하는 것을 트롤링이라고 합니다.

신발로 인벤토리를 꽉 채우거나 기력을 쓰는 챔피언이 마나 물약을
잔뜩 사는 행위 또는 무작정 상대팀 타워로 계속 달려들어 죽는 것 등을 가장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 킬스틸(Kill steal)

고의적으로 아군이 다 잡아 놓은 상대의
막타를 쳐서 계속 킬을 가져가는 행위를 지칭합니다.




◆ AFK

Away From Keyboard. 자리비움을 뜻합니다.




◆ 디나이(Deny)

상대팀의 챔피언이 미니언을 통해서 경험치를
얻을 수 없게
경험치 획득 가능 범위 밖으로멀리 밀어내는 것을 뜻합니다.
 
 
 
 
밑에 오늘롤 처음하셨다는 '커플'이 있다길레..
출처:http://www.inven.co.kr/webzine/news/?site=lol&news=79178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