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정치에는 "지분" 싸움 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게시물ID : sisa_57938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게르만족
추천 : 1
조회수 : 503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5/03/03 09:42:27
‘광주마저…’ 새정치聯, 4월 보선 ‘전패’ 위기감
천정배, 광주 무소속 출마 검토

국민모임·정의당·옛 통진당도 무조건 출마 선언…1대多 구도

4월 보궐선거를 앞두고 새정치민주연합에 비상이 걸렸다. 야권 신당 그룹인 국민모임이 후보를 내겠다는 뜻을 확실히 하고 야권 표가 분열될 것이 분명해지면서 기존 야당 강세 지역인 3곳 전 지역에서 패배할 수 있다는 우려가 강하다.

당 중진이자 광주 서구을 지역 유력 후보군이던 천정배 전 법무부 장관이 새정치연합 후보로는 출마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뒤 탈당 후 무소속 후보로의 출마를 검토하면서 이런 분위기는 더욱 세졌다. 이번 선거가 문재인 대표 체제가 치르는 첫 선거인만큼 야권의 심장부인 광주에서 패배할 경우 새 지도부의 리더십에 큰 상처가 나는 것은 물론 호남 민심이 요동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천 전 장관은 2일 문화일보와의 통화에서 “각계각층 인사들로부터 의견도 듣고 신중하게 생각하고 있다”면서 “(출마 여부를) 금명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천 전 장관은 진보 정당 창당을 준비 중인 ‘국민모임’에는 합류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서울 분들은 불출마하라는 분들이 많고, 광주 분들은 출마하라는 말이 많다. 서울에서는 새정치연합이 야당이지만 광주에서 보기에는 독점 여당이지 않으냐”며 무소속 후보로의 출마 가능성을 열어뒀다. 

일각에서는 국민모임과 정의당이 4월 재·보선에서 ‘공동 대응’을 약속한 만큼 새정치연합을 제외한 진보 진영이 ‘범시민사회 단일 후보’로 천 전 장관을 내세우는 시나리오가 나오고 있다. 국민모임은 지난 1일 창당주비위원회 발족식에서 적극적으로 천 전 장관의 영입을 시도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남 지역 한 의원은 “호남 지역에서 재·보궐 선거는 정권 심판이 아니라 사실상 ‘여당’인 새정치연합에 대한 심판 성격이 강하다”며 “쉽지 않은 선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관악갑, 경기 성남 중원 등 나머지 수도권 지역 2곳에서의 승리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국민모임, 정의당, 옛 통합진보당 진영은 이미 각각 3곳 모두에 후보를 내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5030201070830128001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표가 나뉘어서 결국 모두 패배 가능성이 전혀 없지 않아있어요.
새정치민주연합에 있어서 연대없이 선거하면 손해인 싸움 이랄까요.
연대를 하게되면 소수정당의 지분 입지가 높아지고. 
연대 한다고,안한다고 당내 갈등도 생기기도 하죠.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연대없이 모두 새정치민주연합이 3곳에서 승리한다면
다른 소수정당의 입지도 완전히 사라지겠지만. 
새누리포함 당 4곳에서 제각기 표를 나눠먹기가 되어버린다면 힘든싸움이 될수있습니다.


K-90.jpg


정치하시는분들 내에서 나오는 이야기가. 정치는 "지분" 싸움 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새정치민주연합에는 계파가 10개가 넘죠.
당내에서 계파갈등이나 당내선거 등에서도, 서로 공격하는것도 진심 보다는 자신과 주변의 영역싸움이기도 하죠.
충분히 표현하고 연기를 해야 선거가 끝나고 나서도 "의식" 을 안할수가 없게되죠. 

혹은 당내가 아닌 소수정당과의 관계도 무조건 연대일거라 생각할수있지만. 
반대로 야권의 선거 패배로(파토놓기) 
새정치민주연합에 책임론이나 심판론이 나오겠금 해서 
결과적으로 소수정당 입지,연대 중요도등의 인식이 높아져 야권내에서 입김(지분)이 높아지죠.
역풍이 불수있다고 하지만. 
아무것도 없는 소수정당의 경우 역풍으로 인해 잃는것보다..얻는게 많고 
오히려 홍보효과를 누리기도 합니다.

소수정당인이 당선되면 가장 좋은 시나리오겠지만 야권패배로도 얻는것이 많다고 할수있죠.
야권이 3곳을 모두 가져 온다고 해도 의석수 과반에 영향을 주는것도 없기에..
내년 총선을 앞둔 소수정당에게 있어서 전국지지율을 벌려면, 
이번 재보궐 선거가 지분쌓기,홍보하기 판벌리기 딱 좋은 선거랄까요.

소수정당은 연대를 통해서 얻을건 얻고 양보할건 하고, 혹은 당이미지를 더 높일수있는지 없는지
합의를 하거나 연대로 통한 이익손실을 계산기를 두들겨 보게됩니다.

구체적으로 이야기 해봤자 역겹기만하고 구토를 불러올만한 이야기 이기도 한데..
배를 타는사람이나 병원에서 일하는사람들이 구토에 익숙해 하듯. 정치하는분들에겐 그런것이 익숙하다고 해야할까요..

어떻게 되었든 "진정성" 없다면 공염불에 그치게 되기에..

하필 문재인 당대표 체제일때 험난하기만 하군요. 계파갈등을 그나마 잠재웠지만..
소수정당 이라는 "산" 을 앞둔상황;

전국 총선도 아닌 4개 지역구 초미니 선거일뿐인데..
언론만 호들갑 떠들지만 않고 당내갈등만 없었으면 좋겠네요.
가장 중요한건 내년 "총선"을 타킷으로 둬야하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