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4대강의 문제점
게시물ID : sisa_41439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도루왕대호
추천 : 1
조회수 : 832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3/07/14 20:20:19
 
4대강 사업의 단점.

홍수는 주로 4대강 지역에서 발생하는게 아니라 산간과 도시 곳곳에서 일어나므로 4대강을 정비한다고 해서 홍수예방이 되지 않음
건설직 일자리는 대부분 일용직 알바생 등이 대부분으로 일자리 창출에 도움 안됨
보와 콘크리트 설치로 수질 오염이 더 악화됨
22조원 투자는 막대한 예산으로 낭비라는 지적
4대강을 정비한다고 해서 관광지가 크게 늘어나는 것이 아님
보를 설치하여 물을 막아두므로 고인물이 썩게됨




4대강사업이 이대로 추진될경우 우리에게 끼치는 영향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에 각종 단체에서 반대를 하기도 합니다.

4대강 사업 반대 운동은 주로 환경단체와, 진보성향의 시민단체 그리고 불교와, 천주교를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010년 6월 1일 문수 스님은 4대강을 반대하며 몸에 불을 질러 소신공양을 하였으며, 불교 최대 종파인 조계종도 4대강 사업 반대입장을 밝혔다. 천주교는 정의구현사제단이 반대에 적극적이며,[50] 천주교연대도 4대강을 반대하는 시국 미사를 열기도 하였다. 기독교와 원불교도 '종교환경회의'를 구성하여 4대강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환경단체들은 처음 논의가 시작될때부터 꾸준히 반대 입장을 밝혀왔다. 이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2009년 12월, 한나라당은 3조 5천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국회 상임위에서 기습적으로 통과시키기도 했다.
2010년 5월, 미시경제학의 저자로도 유명한 이준구 서울대학교 경제학 교수는 4대강 사업의 대표적인 반대론자로 자신의 홈페이지에 110여쪽에 달하는 장문의 글에서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시민으로서, 지식인으로서, 그리고 경제학자로서의 모든 양심을 걸고 4대강사업에 반대하고 있다"며 4대강 사업의 비합리성을 주장했다.
2010년 7월 8일 조계종 승려 13,000여명 가운데 1/3 가량의 스님 4,000여명이 4대강 사업 반대 서명에 동참했다. 이는 조계종 사상 유례가 없는 일로 기록된다. 성웅 직지사 주지는 "편협한 이기심, 개발이익에 대한 욕망으로 우리의 문화유산과 정신을 묻어가면서, 어떻게 국민통합을 이뤄질수 있겠는가"라며 4대강 사업의 중단을 촉구했다.
 
에 대해 주요한 핵심을 말씀드리자면 "고인 물은 썩는다"인데요.

보를 이용해서 물을 가둬놓는게 4대강의 핵심입니다.

홍수가 나면 보를 열어서 물을 내보내 홍수를 예방하겠다는건데요.

하지만 보를 설치하면 수질이 악화되면서도 홍수 예방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괴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홍수는 주로 산간지역에서 일어나는데도 불구하고 을 파겠다는 이야기니까요. 
(결국 문제는 A인데 B를 해결하겠다 이런 동문서답이 되는겁니다)다음 보도를 보시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8&aid=0002048428

이렇게 과학적 근거로 홍수예방에 근거가 없다는 내용이 나오다보니
4대강 모형 실험을 조작하다가 적발되기도하죠. 다음 보도를 보시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32&aid=0002070234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과 교수로도 유명한 '이준구' 교수님이 있습니다. 

이분께서는 4대강에 관심이 많으신 분인데 4대강에 대해서 면밀히 살펴보고 분석해본 결과 4대강은 결코 하지 말아야 할 사업이라고 조하셨습니다.

관련 뉴스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47&aid=0001968787

 
현정부가 가열차게 진행하고 계신 '사대 사업'에 대해
일괄요약 정리정돈해 보기로하자.
우리 아이들이, 그리고 어쩌면 우리의 노후를 보내야 할 곳이니
현 정부보다 내가 모른대서야 말이 안된다.
 
아래 글은 독일에 살고 있는 공학박사 임혜지씨의 글을 요약 정리한 것임.
먼저, 한반도 대운하란 한, 금, 낙동, 영산을 서로 연결해서 우리나라 방방곡곡을 수로로 연결해서
저렴한 배로 사람과 물자를 이동하겠다는 것이다.
그리고 정부가 얘기하는 바로 그런 라인 운하와 비교해보자.
 
국민이 극심하게 반대하자 민자로 유치하려던 대운하를 포기하고
100% 국민의 세금으로 사대 사업이란 걸 하신단다.
사대 사업이란 운하로 연결하려 했던 4개의 을 뱃길로 개조한 뒤 연결만 하지 않는 것이다.
(사대 사업 공사내용이 그러하다. 수심 6m로 바닥을 파고, 16개의 보를 설치)
 
근데 국민의 70%가 의심하고 불안해 하는 이유가 뭘까?
첫째, 경제성이 없어서다.
독일의 운하의 경우 시속 10km로 다니는데 이 속도로 다니려면 서울-부산 3일이상 걸린다.
(참고로 자전거 시속15km, 내가 걸어가면 시속4km..-_-)
즉, 서울로 주문한 물건 부산에서 택배받는데 4일이 걸린단 소리다. (당일배송 기본빵인 세상에!!!)
그리고 한국은 베네치아가 아니다. 집앞까지 물길이 들어오는 것이 아니므로,
까지 트럭으로 싫어 나르고 다시 에서 배송지까지 트럭이 동원된다.
800km이하의 거리는 트럭과 배를 둘다 사용하는 것보다 트럭만으로 이동하는 것이 싸게 먹힌다.
서울-부산 400km밖에 안되는 우리나라에선 어떻게 짱돌을 굴려도 선박운송은 수지타산이 안 맞는다.
 
그래서 정부는 관광차원에서 사람을 나르겠다고 한다.
독일에도 물론 크루즈가 있다. (근데 유럽여행가서 독일 크루즈 타는 사람 봤는가?)
우리의 사대은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피오르드 해안이 아니다.
크루즈 유람은 성행할 가능성 무한 제로에 가깝다.
게다가 우리국민 중에 자전거보다 느린 배를 타고 서울-부산을 여행할 사람이 몇명이나 될까?
 
둘째, 자연환경적인 불리함이다.
초딩생만 되어도 배우게 되는 우리의 지리,
우리나라는 70%가 산으로 이루어진 산악국가다.
을 연결해서 물길을 만들려면 산을 뚫어야 한다.
또한, 산악지형이다보니 경사가 가팔라서 배가 다닐 수 없으므로
중간에 보를 설치하여 배를 띄우거나 내릴 수 있게 물을 가두는 층층계 이 된다.
운하를 가진 독일은 한없이 평지에 가까운 지형을 가진 나라이며,
우리와 유사한 산악지형을 가진 스위스에는 운하가 없다.
 
그리고 한국엔 장마가 있다.
일년중 물이 가장 많을 때와 가장 적을때의 비율이
독일의 라인은 14배인데, 낙동은 260배다.
이런 조건에서 배가 다니려면 가뭄을 대비하기 위해 보의 높이와 크기가 댐수준이 되어야 한다.
(즉, 댐이 16개 더 생긴다는 소리다.)
 
셋째, 생태계의 파괴와 환경재앙이다.
산을 뚫고 을 파고 콘크리트로 둑을 쌓으며 댐수준의 보를 16개나 설치하는데
어느만큼 자연이 파괴될지 상상이 가능한가?
 
독일의 라인 운하 건설 후 100년에 한번 정도 규모의 홍수가
3년 정도마다 한번씩 발생하고 있다.
구불구불 흐르며 작은 범람으로 기세를 잃어야 하는데
물길이 반듯하고 수심이 깊어지니 무서운 속도로 하류까지 물이 밀려내려오는 것이다.
(장마가 없는 독일도 이러한데 장마철이 되면 억수창대로 비가 퍼붓는 한국은 어쩔려고?)
그런데 재미난 것은 현정부의 사대 사업을 하는 목적 중 하나가 홍수 예방이다.
 
또 하나의 후유증은 토지가 마르고 지하수가 고갈되는 것이다.
수심이 깊고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구불구불을 직선으로 펴니까)
물살이 세져서 바닥의 자갈이 튕길 정도가 되고 바닥이 파인다.
바닥이 파이면 의 수면이 낮아지고 따라서 지하수의 수면도 낮아진다.
지하수 수면이 낮아지면 나무가 마르게 되고 서서히 숲이 말라죽어 가게 된다.
라인 유역의 지하수면은 평균 8m가 낮아졌으며
바닥이 패이는 현상이 심한 곳은 30년전부터 매일같이
엄청난 양의 자갈을 바닥에 쏟아 붓는 방법으로 해결하고 있다. (해마다 몇십억을 들이는 극약처방이다.)
 
홍수를 막고 물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사대을 정비한다는데
홍수는 이미 얘기했고,
그럼 과연 수질은 개선될까?
독일은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한다.
즉, 라인물은 식수로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물을 정화해 수돗물로 사용하고 있다.
위로 배가 다니는데 수질이 개선된다는게 말이되는 소리며,
설사 배가 안다닌다고 해도 바닥을 파고 16개나 되는 보를 만들어 물을 가두는데
과연 자연스럽게 흐르는 물보다 깨끗할 수 있다는걸 어떻게 믿으란 소린지.....
 
마지막으로,
독일이 생태계 변화, 환경 재앙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떻게 하고 있는지 아시는지?
에 세운 둑을 헐고 자연스러운 범람지와 습지를 되살리는
재자연화 공사를 진행중에 있다.
2km구간을 되돌리는 데 20년이 걸렸다.
(우리가 지금 하고 있는 사대은 무려 634km다.)
 
독일이 뮌헨에서 2km구간의 이자르 재자연화 공사를 준비하는데 10년간 조사하고,
공사에만도 10년이 걸렸다.
되돌리는 것은 그만큼 어려우며 매우 많은 인력과 노력을 들여야 한다.
(그러니 99% 진행되었어도 1%라도 막는 것이 나중에 두고두고 피해를 줄이는 길이다.)
 
우리는 634km의 사대 구간 환경조사에 4달,
문화재 조사에 2달,
공사는 2년 안에 마무리 짓는다고 한다.
자아~~~ 자랑스러운가?
아니다. 조사는 제대로 된 것인지, 공사는 멀쩡하게 진행되는 건지 불안할 뿐이다.
 
국회의 예산 심의도 받지 않은 채 국민의 세금 100%로
사대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현정부에 대해
국가재정법, 하천법, 환경영향평가법, 문화재보호법을 위반했다고
국민소송을 재기했다.
십시일반의 마음으로 소송비용 모금에 동참해도 좋고
그저 이런 상황을 제대로 알고 있는 것만으로도 좋다.
 
아이폰으로 가지고 놀 어플리케이션도 많고,
블로그와 미니홈피 꾸미기에도 바쁘고,
막판 스키와 드라마 보느라 하루하루 얼마나 바쁜지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우리 시간을 좀 더 들여 이정도 상식은 가지고 있자.
당장 내가 살고 내 아이가 살아갈 곳이지 않은가????
 
 
 
-2만 농민 내쫓은 '4대강'...일자리 고작 1만 개-
 
4대강 사업 공사 현장에서 만들어진 일자리가 1만개 남짓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일자리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질 나쁜’ 단기 일자리만 채워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4대강 현장에 직접 투입돼 일하는 인원이 지난 13일 현재 1만364명으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공사현장에서 일하는 시공업체와 감리업체 직원 2554명, 노무인력(장비 4369명, 기능 3441명)을 일평균 투입 기준으로 산출한 것이다.
이번 조사는 국토부 사업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농수산식품부와 환경부 사업은 제외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1만여개 일자리는 직접 투입 인원만 계산한 것으로 본사 인원, 수문 제작 등 현장 밖에서 일하는 인원과 자재 생산·운반 등 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일자리는 포함하지 않은 수치”라며 “모든 공구에서 공사가 본격화하는 하반기에는 일평균 3만명까지 현장인력이 투입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는 정부가 애초 4대강 사업 개시 전에 발표한 일자리 기대치와 크게 차이가 나, 결국 정부가 4대강 사업의 일자리 효과를 ‘뻥튀기’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6월 마스터플랜에서 한국은행의 취업유발계수를 적용해 22조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4대강 사업에서 직간접으로 만들어지는 일자리를 34만개로 추산했다. 국토부 사업에선 올해 일평균 9만2050개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됐다. 여기에는 현장 밖의 간접적인 일자리까지 포함되지만, 이를 고려하더라도 실제 만들어진 일자리 수와 격차가 너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유원일 창조한국당 의원이 지난달 한국수자원공사가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7개 공사 구간에서 정부가 계산한 방식을 그대로 적용해 취업유발계수를 구해봤더니 만들어지는 일자리는 3만2417개에 이르렀으나, 실제 공사 구간에서 일하는 인력은 2120명에 그쳤다.
더구나 4대강 사업 추진 과정에서 정부가 국공유지인 하천둔치에서 농사를 전면 금지해 2만4000여명의 농민들이 일터를 잃게 됐고, 골재업체에서 일해온 노동자 약 700명도 실직 상태에서 있어 4대강 사업의 간접적인 ‘일자리 죽이기 효과’도 만만치 않다.
-정혁준 기자-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