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사실 진짜로 자유도가 높다고 인정을 받으려면
게시물ID : humorbest_58410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내가안그랬슈
추천 : 22
조회수 : 6170회
댓글수 : 12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2/12/13 13:07:05
원본글 작성시간 : 2012/12/13 11:50:41

 

흔히들 범죄자 플레이, 혹은 비주류 플레이에 대한 보장과 더불어....

그런 일탈행동에 대한 강제적인 카운터는 지양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통상적으로 범죄행위, 그러니까 흔히 생각하는 도둑질이나 PK에 대한 대응을 플레이어가 직접 하는 구조가 되어야 하지,

이것이 전체적인 시스템 하에서 강제적인 처벌로 이어지는 건 '자유도'라는 개념에 상반되는 정책이지요.

물론 우리가 흔히 아는 자유도 높은 게임들의 경우에는 극단적인 카운터(하이시큐 지역에서 닥치고 터뜨리는 EVE)나 강력한 패널티(마음에 안 들어서 죽여도 할 말 없는 그레이 시스템의 UO)가 존재하긴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제한적인 지역에 적용되는 '안전장치'에 불과합니다. 그 외의 지역에서는 전혀 적용되지 않으며, 이 외의 지역에선 개별적인 징벌 시스템(현상금)이 적용됩니다.

 

요지는 이겁니다. 범법행위로 분류되는 행위에 대한 '강제적인 카운터가 광역적으로 지원될 때, 과연 그 게임은 자유도가 높다고 할 수 있는가?'

 

물론 항상 선한 플레이를 지향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대체 나쁜놈을 조지는 게 뭐가 어때서?'라고 생각할 여지가 있는 문제이긴 합니다. 하지만 규제는 창의적 행동을 제한하는 장애물입니다. 비록 그것이 악한 성향의 플레이라 할지라도,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규칙을 능동적으로 이용하는 창의적 플레이를 유발할 수 있다면 그 게임은 자유롭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필드에 락픽을 유도하는 상자를 놔두고, 그 상자를 따다 그레이가 되는 플레이어를 잡는 식의 노상강도 플레이나, 필드에 아무렇게나 뿌려둔 깡을 잡다 범죄자 판정을 받은 플레이어를 공격하는 행위와 같은 것이 바로 그 예제입니다. 간단한 규칙을 이용한 행위지만, 이것이 틀에 박힌 방식이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이런 플레이는 규칙을 이해하고 그 맹점을 파고드는 '창의성'이 발휘되어야만 가능하니까요.

 

범법 행위에 대한 강제적인 처벌이 '제약 없이' 이루어지는 것은 어떨까요? 물론 일반적인 사람들이야 편하고 좋을 것 같지만, 플레이에 대한 긴장감이 떨어지고 창의적인 발상이 제한된다는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어떤 수단을 써도 결국 처벌이 된다면, 결국 사람들은 그 행위를 포기하거나 그 행위를 감수하고 직설적인 움직임을 하거나 둘 중 하나일 뿐이지요.

 

범죄가 좋느냐 나쁘냐를 따지는 것이 요지가 아닙니다. 이런 행위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창의성이나 능동적인 행동이 사전에 차단되느냐를 고민해보자는 것이죠. 이건 양쪽에게 동시에 적용되는 문제입니다. 만일 범죄자에 대한 즉각적이고 강제적인 카운터가 존재한다면, 피해자가 될 가능성을 가진 이들은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않을 겁니다. 자신이 어떤 대처를 하지 않아도, 시스템이 '알아서' 처리해줄테니까요. 하지만 도둑질과 같은 행위에 대해 시스템이 제약적인 카운터, 상대방의 이름이나 범죄 경로 등의 제한된 정보를 제공한다면 플레이어는 이에 대해 스스로 해결을 해야 할 겁니다. 현상금을 거는 식의 단순한 대처에서부터, 자신의 소유물을 지키기 위해 지키거나, 도둑질을 유도하여 걸려들면 즉시 사망하는 함정같은 요소를 설치하는 식의 방어를 펼치게 될 겁니다.

 

사실상 게임 내에서 지원되는 기능은 단순한 도구입니다. 그 도구의 종류가 많다고 게임의 자유도가 높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글쎄요, 결국 도구를 쓰는 방법이 한정되어 있다면 그 게임은 한계에 도달하게 됩니다. 한 가지 방법으로만 할 수 밖에 없도록 시스템이 강압적인 외압을 불어넣는다면, 사람들은 '굳이' 머리를 쓸 필요성을 느끼지 않을테니까요.

 

이브나 울온이 그렇게 자유도가 높다고 말할 수 있는 건, 단순히 할 수 있는 일의 가짓수가 많기 때문에 그런 건 아니라고 봅니다. 그 도구를 '제 3의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기반이 있기에 그런 것이며, 한 가지 사건에 대해 다양한 도구를 '스스로 갖다 써야' 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시스템은 도구를 내어줄 뿐이지, 알아서 처리를 해주진 않으니까요.

 

p.s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