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개인 저장용 금장 이상 찍을 분들을 위한 팁
게시물ID : humorbest_58590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JewelBox
추천 : 30
조회수 : 4647회
댓글수 : 1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2/12/15 14:54:53
원본글 작성시간 : 2012/12/15 10:03:06

1. 적이 분명히 내 원콤인 딸피인데 집에 가지않고 계속 막타 주위에서 어슬렁어슬렁 거린다.

 

-> 주변에 정글이나, 미드가 있거나 본인이 힐을 들고 있을 확률 100%

 

예외 ) 심해

 

 

2. 적 정글이 자르반이나 리신, 샤코, 쉔일때는 삼거리와 부시 사이가 아니라 부쉬 안에다가 와딩을 할것!

 

-> 블루사이드 봇이나, 퍼플사이드 탑의 경우. 가끔씩 와드 위치가 확인되면 미드에서도 부쉬갱각을 잡는 정글러가 있음

 

 

 

3. 적 5명이 바론 주변에 모두 있다면 유리해도 바론을 가지마라.

 

-> 특히 적 정글이 녹턴, 초가스일때 스스로 엄청난 하이 리스크를 안고 한타를 해주겠소! 하는 말과 다름 없음.

    적이 녹턴, 초가스인데 바론을 한다면, 정글러가 동 실력이라면 절.대.로. 바론 강타싸움에서 이길 수 없음.

    레이팅이 올라갈 수록 그 한타로 게임이 1분만에 뒤집힐 확률은 50%에 수렴함

 

 

=============================이하는 서폿 팁 =======================

 

4. 무조건 게임 시작부터 용지역+삼거리지역이 밝혀져있어야한다는 생각을 버려라

 

-> 방송에서 보고 1분경에 적 유령지역이나 레드지역, 탑지역에 와딩을 하는 분들이 많음. 그건 좋은데 그 와딩을 하는 이유가 적 정글러의 동선과 첫 인베동선을 보기 위해서임. 예를 들어 2분 2~30초가 되었는데도 적 유령지역에 적 정글러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봇에 와딩이 필수임. 그러나 적 정글러가 유령에서 사냥하는게 보이는데 당당하게 걸어가서 삼거리 와딩.. 더이상은 naver

   

 

5. 적 서폿이 레오나, 타릭, 블크 등 cc가 있는 근접챔프라면 cc가 빠진 직후부터 딜교환을 하라.

 

-> 이 때 적 cc의 쿨타임을 알 고 있는것은 당연..

 

 

6. 적 정글이 샤코 ,녹턴, 자르반 등등 선랜턴을 가는 공속정글이라면 4분경 이후부터 용앞 핑와는 항상 유지하라.

 

-> 솔용 방지

 

 

7. 봇에서 소규모 싸움이 일어날 때 cc를 아껴라.

 

-> 알리가 무서워보인다고 qw다 빠진 알리에게 cc를 넣거나,  e빠진 타릭에게 탈진을 넣거나.. 이러지 말자

 

 

8. '거리 재기' 라는 건 적 챔프의 '플래시' 또한 계산에 넣은 것이다.

 

-> 블랭 플래시 q에 끌려가놓고 '거리재기 했어요 ㅡㅡ 플래시 썼는데 이걸 어떻게 피해요' 이러지 말자.

    보는 서폿 가슴 터진다.

 

9. 이즈r 케잉q  시비르q  모두 관통시 데미지가 감소된다.

 

-> 딸피 아군이 죽는걸 멀뚱멀뚱 보고있지 말자

 

 

10. 막타를 안먹는다고 서폿이 쉬운 포지션이 아니다.

 

-> 적 카서스 궁 쿨타임, 와드 쿨타임, 적 원딜 플래시 쿨타임, 적 탑 텔포 쿨타임  다 재주자.

    노말은 즐기면 되지만 랭겜은 이겨야 즐길 수 있다.

 

11. 105개의 챔프를 한번씩 다 해봐야 하는 이유는 스킬의 거리감각과 스킬연계를 익히기 위함이다.

 

-> 예를 들어 내가 알리라면 r->e->q를 넣으려하는 바루스에게   r이 빠진 직후 w를 쓰고 e를 쓸 타이밍에 쿵을 찍는다.

   그냥 대포동보다 훨씬 스킬연계방해가 효율적이며, 수치적으로 감소되는 것의 2배 이상의 데미지감소효과가 있다.

   

    이는 조금 더 넓게 보자면 상대와 아군의 가장 잘큰챔프를 파악하는 능력인데, 매라신이 아군 원딜 지키기를 포기하고 프로겐의 다이애나를

    집중마크했던 것도 같은 맥락이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