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독일개표방식입니다..우리 방식과 비교해주세요
게시물ID : humorbest_59299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Suiden
추천 : 119
조회수 : 7348회
댓글수 : 16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2/12/23 18:02:03
원본글 작성시간 : 2012/12/23 12:01:17

독일사회의 전반적인 이야기라는 블로그에서 옮겨왔습니다.

 

 

 

부정선거의혹 제기로..민주당이나.. 문재인 후보님께.. 부담을 드리는것이 아닌가 많은 분들이 우려하시는 맘은 이해 합니다..

 

의혹제기라기보다는..   새누리 지자자든 민주지지자든  정확한 결과를 보고 싶다는 당연한 국민의 요구라는거죠..

 

 

분명히 말하지만.. 재개표 요구가 아닌..  선거법 수정을 통한... 개표 방식의 변경입니다...

 

 

 

 

 

수개표보다... 오류나 부정개입이 많은 방식이 지금의 방식이라는 겁니다..

 

 

미국이나  유럽 조차.. (물론 유럽 다 확인해 본건 아님..ㅡㅡ;;)   자동개표기사용 개표를 하지 않는다는것이죠..

 

 

개표의 신속성과 개표과정에 대한 생동감있는 전달을 위해 자동개표기 방식을 고집한다면...

 

아래와 같은 독일 방식은 어떤가요..

 

 

자동시스템 못지 않게.. 신속하면서.. 각 지역에서 보고되는 투표율과 투표수로.. 집계되는 화면.. 정말... 박진감 넘치지 않을까요...

 

 

 

또한 그것 못지 않게...  독일 방식은.. 무효표나..오류.. 부정선거의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것이죠..

 

 

 

 

 

 

 

 

독일사회의 전반적인 이야기라는 블로그에서 옮겨왔습니다.

 

 

 

 

 

 

 

 

 

1. 독일의 투표날은 언제나 일요일

 

누구에게나 투표할 권리가 있다. 그 권리는 어떠한 방해를 받아서도, 해서도 안 된다.

 

그래서 독일의 모든 선거는 일요일에 하게 되어 있다.

 

한 동네에 여러 곳의 선거구가 있어서(필자 사는 거리에만 두 곳) 멀리 가지 않아도 되고, 사람이 몰리지도 않는다.

 

 

 

2. 개표는 바로 그곳에서

오후 6시 선관위 담당 책임자가 정식으로 투표 마감을 알리면 투표장 문이 잠긴다.

 

그리고 그곳에서 바로 개표가 이루어진다. 방법은 당연히 수작업으로!!

 

투표 용지는 후보별로 모아서 직접 세고, 투표 인원과 용지 수가 맞는지 확인한다.

 

만약 일치하지 않으면, 일치할 때까지 2, 3차 수작업으로 세어 확인한다.

 

개표가 끝난 투표 용지는 후보자별로 선관위 띠지로 묶고, 다시 그 묶음들을 하나로 묶는다.

 

이 모든 것은 포토콜에 작성된다.

 

개표 결과는 선관위 담당 책임자가 중앙 선관위에 전화로 전달하고,

 

담당 책임자가 개표가 끝난 투표 용지가 든 상자를 중앙 선관위로 옮긴다.

 

중앙 선관위에서 재차 수작업으로 검토하여 포토콜의 내용과 일치하는가를 확인한다.

 

투표 장소에서 바로 개표하니 운반사고가 일어날 수 없고,

 

이중 삼중으로 확인하니 개표 조작도 어렵다.

 

만일 어떤 이유든 부정행위가 발견되면 10년 이상 감옥생활을 해야 할 정도로 무겁게 처벌한다.

 

 

 

 

 

 

3. 무효표는 없다.

혹시 투표 용지에 잉크라도 묻어서 무효표가 되면 어떻게 하나 신경쓸 필요가 없다.

 

독일에서는 잉크 묻은 도장을 쓰지 않는다. 투표장에서 제공하는 볼펜으로 선택한 후보 이름 옆에 X표만 하면 된다.

 

심지어 투표 용지에 욕을 쓰고 낙서를 해도 무효표가 아니다.

 

누구를 선택했는지 정확하게 구분이 되지 않을 때만 무효표가 된다.

 

수작업 개표라 가능한 일이다.

 

만약 무효표가 나오면 포토콜에 왜 무효표인지 정확하게 기재해야 한다.

 

 

 

 

 

4. 완전 밀봉된 견고한 투표함을 사용한다.

 

 

투표 용지 투입구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밀봉되어 있고,

 

자물쇠가 달려 있는 아주 견고한 철제 혹은 플라스틱 함을 사용한다.

 

절대로 투표함은 선관위 책임자만 열 수 있다.

 

운반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개표하는 데도 철저하게 밀봉된 견고한 투표함을 사용한다.

 

한치의 부정도 용납할 수 없기 때문이다.

 

 

 

 

5. 투표 용지는 20년간 보관한다.

개표가 끝난 투표 용지는 중앙 선관위에 모아 20년간 보관한다.

 

우린 아마..선거소송이 제기 되기 전까지..니까...  30일..이죠..아마..  30일이후 폐기 가능..ㅡㅡ;;;

 

 

 

 





 

미권스 펌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본인삭제]아스★
2012-12-23 18:08:32추천 36
댓글 0개 ▲
2012-12-23 12:04:13추천 8/55
문후보가 이미 결과에 승복했고 당선자와 통화도 했다는데 ..이러는 거 별로라고 생각 ..
댓글 0개 ▲
2012-12-23 12:14:37추천 5
일베.충이 쓴 댓글은 무시하시길.
댓글 0개 ▲
[본인삭제]jsa
2012-12-23 12:19:23추천 21
댓글 0개 ▲
2012-12-23 13:02:00추천 4
베오베로 가세요~~~~
댓글 0개 ▲
2012-12-23 18:07:30추천 0
3번5번 맘에드네
댓글 0개 ▲
2012-12-23 18:09:36추천 18
그래요 방식의 변경이 필요합니다.
댓글 0개 ▲
2012-12-23 18:14:50추천 3/16
1. 투표소에서 문을 잠그고 바로 투표함을 열어 개표하는 것과, 투표함을 그대로 개표장으로 옮겨서 개표하는 것 중에 부정이 개입될 여지가 많은 쪽은 어느 쪽인가요?

2. 수작업과 기계분류 중에서 의도적 개입이 일어나기 쉬운 쪽은 어느쪽인가요?

그리고 마치 우리나라 투표함은 자물쇠도 없고 밀봉되지도 않았다는 것처럼 들리는군요.
댓글 0개 ▲
2012-12-23 18:16:13추천 8
30일... 시간끌면 그냥 묻히는 기간...
댓글 0개 ▲
2012-12-23 18:17:24추천 0
세금내는 국민으로 부당한건 바꾸자고하는거 아닌가요 더 종흔게있다면 보고배워야죠
댓글 0개 ▲
[본인삭제]아스★
2012-12-23 18:21:16추천 0
댓글 0개 ▲
2012-12-23 18:22:11추천 0
겨우30일........
댓글 0개 ▲
2012-12-23 18:36:35추천 8
부러워..
댓글 0개 ▲
2012-12-23 18:37:14추천 4
부러운 선진국 독일
댓글 0개 ▲
2012-12-23 18:54:12추천 0
와 근데 그걸 수작업으로 언제 하냐 ㄷㄷ.....
댓글 0개 ▲
2012-12-23 18:56:53추천 0
세상 어느 나라의 투표 방식을 가져온다 하더라도 투표를 집행하고 관리하는 쪽을 의심하기 시작하면 이런 삽질은 절대로 끝나지 않습니다.
얼마 전에 UN에서 우리나라 선거를 관리하게 하자는 글이 인기를 얻은 적이 있었죠. 어엿한 주권과 정치 체제를 가진 나라의 국민들이 \"우리 정부가 너무 병신같으니 대신 와서 관리해주세요.\" 라고 말하고 있고, 또 그런 말이 큰 호응을 얻었다는 것도 웃긴 일이지만, 그래서 정작 유엔이 와서 선거관리를 주도했다고 칩시다. 그 유엔은 100% 의심스럽지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까?

결국 모든 체계는 인간들이 만든 것이고, 인간이 집행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정이 존재할 가능성은 언제 어디서나 항시 존재할 수 밖에 없습니다.
총 투표인 숫자와 총 표의 숫자가 맞지 않는다거나 하는 일이 있다면 그것에 대한 시말을 확인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공표하라는 요구 같은 것은 당연한 겁니다. 투표 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면 그 부분에 대해 개선을 요구하는 것도 당연한 겁니다. 하지만 현재 난립하는 무책임한 요구들은 정도가 지나칠 뿐더러 어느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