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6연승해서 기쁜 은빛심해가쓰는 서포터 팁
게시물ID : lol_30557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으엉엉
추천 : 3
조회수 : 537회
댓글수 : 8개
등록시간 : 2013/08/05 00:54:31
11.JPG


이 글은 서포터를 배우려하는 분을 위해 쓰는 글입니다. 잘하시는 분들은 한번 비웃어주시고 가면됩니다.

부끄럽게도 게임이 전반으로 빨리끝나 와드갯수가 적네요 ㅠㅠ
두번째 쓰레쉬로는 버스를 탔습니다.

==================================

1. 처음 배울때는 와드를 최대한 많이깔아보자.
와드를 많이박다보면 넘겨박아지는 위치나 효율적인 위치를 알게됩니다. 나중에 잘하게되면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갯수의 와딩을 할 수 있을거같아요. 저도 아직 모자랍니다만...
예를들면 초반에 탑3랩갱을가고 미드에서 열심히 싸우고있는데 위쪽 삼거리나 용앞에 와딩을 궂이 할 필요가 없다던가...
많이 깔다보면 어느시간때 어느위치에 와드를 박을까가 보일거라 생각합니다.
실력이 부족한사람에게 와드는 적의 동선을 밝혀주고 잘하는 사람에게는 와드는 확신을 준다고 생각해요.

2. 적중에 텔포가 있는 경우 반드시 우리쪽부쉬의 와드를 지워주자
서포터의 인벤에는 핑와하나는 무조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봇에서 라인을 신나게 미는데 우리부쉬와드에서 적이 텔포를 탄다면? 대부분의 경우에 더블킬을 내주게 됩니다. 도망치기도 힘들어요. 다 지울수 있으면 좋지만 최소 라인을 밀때 우리쪽 부쉬의 와드는 지워주는게 좋습니다. 트페가 궁을 타고 온다고요? 벤하세요

3. 와딩하다가 많이 잘려보자.
저도아직 잘리는 경우가 많지만 연습중입니다. 라인전이 끝난 경우 여기저기 와드를 박으러 다닐텐데요 몇번 죽다보면 아 저기 적이 있을수도 있겠구나라는 감이 옵니다. 무리하게 와딩이 될 필요는 없습니다. 넘겨박기로 충분히 시야를 넓혀나갈 수 있어요. 저번에 어떤분이 봇듀를 간다고 하길래 서폿을 양보했더니 봇라인전이 망하고 우리베이스까지 밀린상태에서 무리하게 와딩하다가 잘려죽으면서 시야싸움이 중요하다느니 왜 나를 안지킨다느니 하더군요. 무리한 와딩은 피하세요. 적이 있을거 같은 부쉬에 와드박으러 갈 필요는 없습니다. 쓰레쉬같은경우는 그냥 랜턴한번 던져봐요.

4.혹시나 여러명이서 정글로 적을 추노한다면 따라가면서 부쉬에 와드를 꼼꼼히 박자.
높은확률로 와딩된 위치에서 전투가 벌어집니다. 다른예로 우리쪽 본진까지 밀렸고 적들이 집에갔다면 우리쪽 정글에 와딩을 빠르게 해줍시다.
전투가 벌어질거같은 정글에 미리 와딩이 되어있다면 전투에 큰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꼭 옆에 미니언뭉친거 먹으로가는놈들이 있거든요.

5. 용,바론젠타임은 항상 체크하자
버프몹 5분, 용 6분, 바론 7분입니다. 젠1분전에 아군에게 말해주고 가능한만큼 주변에 와딩도해줍니다. 전투가 벌어질 확률도 높고 적이 체크하지 못한다면 쉽게 가져갈 수도 있습니다.

6. 다른 라인도 서보자.
탑을 해본다면 탑라이너의 하산타임이라던지, 탑라인을 보면서 정글이 저기있겠구나 하는 예상이 가능합니다.
미드를 해본다면 언제 로밍올지, 경로가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원딜을 해본다면 지금 원딜이 뭘 원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정글을 해본다면 정글러의 동선과 어떻게 갱호응을 해야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7. 라인전이 끝난다면 오라클을 사자
시야싸움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시야확보가 잘 되어있다면 라인전이 좋지못하여 5:5한다에 지는상황도 잘라먹기식으로 점점 유리하게 굳혀져 나갈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서포터의 기량은 챔피언 컨트롤보다는 시야및 운영이라고 생각해요. 컨은 하다보면 늘지만 다른건 생각하며 하지않는한은 안늡니다. 저같은 하위티어에서 적 서포터가 와딩안하고 템을 올린다면 오라클 없이 와드를 많이사 맵핵을 만들어 주는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적이 와딩을 안하기때문에 오라클이 필요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오라클은 와드를 지우는 용도 이외에도 이곳을 적은 볼 수 없다는 확신도 줍니다.

8.템보다는 와드 핑와가 우선이다.
라인전 단계에서 집에갔는데 애매하게 500원이 있다. 이런경우 시야석 하위템을 사고 와드를 1개정도보다 못사는 것 보다는 와드 및 포션정도를 챙기고 돈이 좀 남는다면 완두콩정도 가는것이 좋습니다. 와드 및 포션은 라인에 오래 서 있을 수 있는 기본입니다. 그리고 와드는 경제적으로 씁시다. 필요없는 타이밍에 필요없는 시야를 밝힐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원딜이 원한다면 그냥 박아줍니다.

9.나와 원딜이 죽을 각을 알자.
킬각 잡는것 보다 아 이러면 죽겠는데라는 타이밍 및 자리를 아는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미드가 안보이는 상황에서 무리한 푸쉬라던지 적 하드cc및 궁이 있는상황을 잘 판단해봅시다. 확실한 딜교 및 킬각을 제외하고는 몸을 사리는것부터 배워보아요. 원딜이 죽을거같은데 신나게 들어간다면 빠르게 판단을 해줍시다. 어짜피 죽을원딜 버릴것인가. 아니면 내가 들어간다면 두명이 죽더라도 원딜에게 1킬은 줄수있을까 등등...

10. 한타시 탈진은 잘큰 평타기반챔프에게 걸어주자.
적원딜이 잘컷다면 원딜에게... 특히 베인, 잘큰 적 나서스라던가 탈진하나가 한타를 유리하게 만들어 줍니다. 또는 자신에게 하드cc기가 있고 적에게 카타나 누누같은 끊을수 있는 궁이있다면 아껴줍니다. 서포터는 챔피언 개인의 힘이 템이 없는 만큼 약하기 때문에 스킬을 효율적으로 쓰는것이 중요합니다. qwer사망 이런경우는 좋지않아요. 그냥 죽는경우보다는 낮지만.

11. 자주픽되는 서포터들은 한번씩 플레이해보자
자신에게 맞는 서포터를 찾을 수도 있고, 최소한 적 서포터의 스킬 및 효율을 알 수 있습니다. 쿨이라던가... 너무 기본인가

많이 생각했는데 막상 쓰려니 몇개안나오네요...

문득 떠오른 쓰레쉬 랜턴팁
아군이 쓰레쉬인상태에서 제가 랜턴을 받아봤는데 랜턴을 못봐 놓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랜턴은 스킬시전후 랜던이 하늘에서 내려오는 시간이 있습니다. 랜턴을 맞추려 하지 마세요. 직선으로 움직이는 아군에게 랜턴을 던지면 무조건 랜턴이 뒤에있게 됩니다. 랜턴을 직접 타보면 사정거리가 생각보다 깁니다. 멀리서 클릭해도 타져요. 랜턴을 이동경로 살짝 멀리던져주면 눈앞에 랜턴이있네? 라는 상황이 옵니다. 아군이 무빙하다가 랜턴이 타져서 뭐지? 이런경우도 자주봤구요. 어짜피 쉴드는 타면서 걸려집니다.
물론 한타때는 그냥 가운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