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사진을 배워봅시다 - 2차_노출과 사진을 만드는 3요소-1부
게시물ID : deca_2226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기달싸순™
추천 : 17
조회수 : 709회
댓글수 : 9개
등록시간 : 2013/08/08 00:40:31
강좌아닌 강좌에 앞서..
제 글은 사진을 처음 배우는 분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구성을 하였기에
전문적으로 깊게 들어가주시는건 혼자만 생각하시고, 잘못된 부분만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누가 저에게 사진이 뭐냐라고 물어본다면..
필름이나 메모리 카드에 빛을 담는거라고 이야기 합니다.
 
노출이란 무엇인가?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노출이  옷을 많이 벗어서 맨살이 얼마만큼 드러나는가 하는 것이지만(철컹철컹)
이번시간에 저희가 공부할 노출은 필름이나 ccd 에 빛을 적게 담느냐 많이 담느냐 적정하게 담느냐 를 말하는 겁니다.
 
노출에 관한 설명을 쓰기전에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왜냐면 노출을 설명하면 절대적으로 3총사가 출동해야 합니다.
 
3총사는 iso, 셔터스피드, 조리개 값  입니다.
 
iso 는 감도의 정도를 나타내고, 셔터스피드는 사진을 찍을때 철커덩 하는 셔터막이 닫히고 열리는 속도를 수치로 나타낸것이며
조리개 값은 렌즈에서 빛을 받아들이는 정도를 뜻합니다.
 
이 세가지는 유기적인 관계로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옛날 노출계가 없는 필름 카메라는 외장 노출계로 노출을 측정한뒤 다시 카메라에 세팅을 하고 사진을 찍었습니다.
그 외장 노출계는(다 그런건 아닙니다) iso 를 설정하고(고정) 빛의 절대값을 측정합니다.
그럼 절대값에 따른 조리개값 대비 셔터스피드 값이 나옵니다.
 
조리개 값은 전시간에 잠시 말씀드렸지만
F 라고 표시하며
1 / 1.4 / 2 / 2.8 / 4 / 5.6 / 8 / 11 / 16 / 22
보통 렌즈에 이정도 값 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 숫자간의 간격을 1스탑 이라고 합니다.
ex) 1.4 에서 2스탑을 조이면 2.8이 됩니다.
F 는 제가 확실하다고는 말씀드리기 어려우나 Fast 의 약자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최대 개방 조리개값이 낮을수록 1.8 / 1.4 / 1.2  정도값을 렌즈가 가지고 있으면
밝은렌즈라고 표현하는데 빠른 렌즈라고 표현하는게 맞습니다.
조리개를 개방할수록 얻을수 있는 빛이 많기 때문에 그만큼 셔터스피드를 빠르게 할수 있다는 거죠
 
셔터스피드는
S라고 표시하며
8 4 2 1 1/2 1/4 1/8 1/15 1/30 1/60 1/125 1/250 1/500 1/1000 
이것도 마찬가지로 숫자간의 간격을 1스탑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셔터스피드의 분모의 숫자가 자신이 들고있는 카메라에 화각에 2를 곱한 수치보다 커야지 흔들림 없는 사진을 찍을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ex)50mm 렌즈를 끼고 있다면 1/60s 는 되야지 안흔들리고 찍을수 있습니다.
물론 잘 찍는 분들은 1/30s 도 안흔들리고 찍는다고 합니다...
 
 
ㅇ ㅏ..역시 이쪽만 설명이 들어가면 매우 지루해지네요...ㅜㅜ
그래도 좀 이해를 하셔야지 자신이 원하는 사진을 찍을수가 있습니다.
 
iso 는 감도라고 합니다.
100 / 200 / 400 / 800 / 1600 / 3200 / 6400
여기도 마찬가지로 간격을 1스탑이라고 합니다.
 
이제 이 세가지를 연관지어서 생각을 해봅시다.
위에서 제가 잠시 언급했는데 iso 고정에 따른 빛의 절대값에 따라 조리개값 대비 셔터스피드 값이 나온다고 했는데
예를 들자면 iso 200에 f5.6 에 셔터스피드 1/60s 상황이라고 한다면
f5.6이기 때문에 심도가 깊은 상태입니다. 근데 전 여친을 찍을꺼라 조리개를 개방해서 심도가 얕은 사진을 찍고 싶습니다.
그래서 1.4로 최대 개방을 했습니다. 그러면 5.6 에서 1.4 로 4스탑을 개방했습니다. 수평으로 보면 왼쪽으로 4스탑을 간거죠
그러면 셔터 스피드도 4스탑의 이동이 일어납니다. 1/60s 에서 왼쪽으로 4스탑 이동합니다. 1/1000s 됩니다.
 
iso 200 일때 f5.6 에 1/1000s 랑 f1.4 에 1/60s 는 노출만 봤을때는 동일합니다.
다만 조리개 값에 따라서 심도가 깊냐 얕냐 그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근데 여기서 사진을 찍었더니 노출은 맞았는데 흔들린 사진이 찍혔습니다.
즉 셔터스피드가 부족하다는거죠.
이미 상황은 f5.6 에 1/60s 값은 더 많은 빛이 있기 전에는 변할수가 없는 값입니다.
필름에서는 사실상 굉장히 불편했지만 디지털로 넘어오면서 가장 진보된점은 iso 변화를 너무나 쉽게 줄수 있다는 겁니다.
필름은 필름에 따른 iso 가 정해졌기 때문에 상황마다 필름을 바꿔서 찍는다는건 엄청난 귀찮음이 동반됩니다.
하지만 디지털은 버튼과 다이얼로 쉽게 변화를 시킬수가 있죠...
 
iso 설명은 솔직히 좀 태클이 들어올꺼 같지만..
쉽게 예를 좀 들어서 설명을 하겠습니다.
빛의 절대값 만큼의 물감이 있습니다.
iso값이 낮으면 종이가 작은거고 높으면 종이가 크다고 생각했을때 
물감의 양은 정해져 있습니다. 작은종이에 정해진 물감을 바른다고 생각하면 진하고 물을 섞지 않고도 종이를 다 칠을 할수가 있습니다.
근데 iso 값을 크게 하면 정해진 물감의 양이 턱없이 부족하기때문에 물을 섞어서 칠해야지 다 칠해집니다.
그러면 물을 안섞었을때보다 진하고 또렷하게 칠을 못하고 물을 섞었기 때문에 흐릿하고 손실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물을 섞어서라도 큰 종이에 칠은 다 했습니다.
여기서 물을 섞어서 손실되는 부분은 노이즈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칠을 다 한다는 것은 사진을 찍는거라고 보시면 되고,
칠을 하는 시간을  셔터스피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면 위에서 말한
iso 100 , f5.6 에 1/60s 상황에서 사진이 흔들렸다면 iso 를 한스탑 올리면 200으로 놓으면 셔터스피드가 한스탑 빨라집니다 그러면 1/125s 가 됩니다.
 
이해가 좀 가시나요?
 
iso 를 낮추면 화질은 좋아지나 셔터스피드 확보가 힘들어지고, 높이면 화질은 나빠지고 셔터스피드 확보가 쉬워집니다.
 
 
쉽게쉽게 이해하시라고 쓴건데도 어려운 부분이 있을수도 있고
맞지 않는 이론도 있을수 있습니다.
근데 크게 틀리지 않는 이론은 고수분들께 이해를 바라며
잘못된 부분은 과감히 지적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부에서 또 만날께요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