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무섭도록 닮은 '삼풍' 회장과 박 대통령
게시물ID : sisa_60072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아크테릭
추천 : 7
조회수 : 2149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5/07/02 00:20:59
기사 관련 사진
 영화 <논픽션 다이어리>의 한 장면. 삼풍백화점 참사를 담은 모습.
하루 평균 4만 명이 드나들던 백화점이 무너졌다. 1995년 6월 29일 목요일 오후 5시 57분,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삼풍백화점이 붕괴했다.

붕괴의 조짐은 두 달 전부터 감지됐다. 1995년 4월 삼풍백화점 A동(북관) 5층 천장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한 달 후인 5월 균열은 더욱 심해졌다. 심상치 않은 징후가 나타나자 삼풍백화점 측은 기본적인 안전검사를 실시했고, 그 결과는 건물 붕괴의 위험성이 있다는 것이었다. 이쯤 되면 건물을 폐쇄하고 정밀한 안전진단과 후속 대책을 세우는 것이 상식적인 조치였다. 그러나 탐욕에 눈이 먼 이준 삼풍백화점 회장은 이를 무시하고 오직 돈벌이에만 몰두했다.

사고 하루 전인 6월 28일 삼풍백화점 A동 옥상에 펀칭 현상이 일어났다. 무게를 이기지 못한 옥상 바닥이 기둥과 분리되면서 천천히 내려앉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운명의 6월 29일이 밝았다. 아침 8시 붕괴 조짐은 곳곳에서 발견됐다. 5층 식당가 천장에서 물이 쏟아지는가 하면, 바닥이 주저앉으면서 식탁이 기울어지고 주방조리대가 넘어졌다. 불길한 징후들을 보고 받은 회장 이준과 이한상 사장은 균열이 발생한 현장을 통제하고 고객들에게 이 사실이 알려지지 않도록 숨기기에 바빴다.

오후 2시, 이준 회장을 비롯한 임원 11명이 참석한 대책회의가 열렸다. 이영철 시설부장이 백화점 영업을 중단하고 보수공사를 해야 한다고 진언했으나 묵살됐다. 백화점은 정상영업을 하고 날이 어두워지면 보수공사를 한다는 결정이 내려졌다. 회의를 마친 이한상 사장은 5층으로 올라가 문제의 현장을 손님들이 보지 못하도록 칸막이를 치라고 다그쳤다. 참사를 막을 마지막 골든타임은 그렇게 속절없이 흘러갔다.

오후 5시40분, 현장을 점검하던 이영철 시설부장이 대책회의장에 전화를 걸어 "붕괴가 진행되는 것 같다"고 보고했다. 이준과 이한상을 비롯한 경영진은 안내방송도 하지 않은 채 황급히 백화점을 빠져 나갔다. 건물을 빠져나간 이들이 무전기로 내린 마지막 지시는 '빨리 물건을 밖으로 옮기라'였다.

오후 5시 57분, 삼풍백화점 A동 옥상이 요란한 파열음을 내면서 무너지기 시작했다. 지은 지 만 6년이 되지 않은 지상 5층, 지하 4층 건물이 폭삭 주저앉는 데 걸린 시간은 20초에 불과했다.

건물 붕괴로 강풍이 일면서 먼지와 파편이 허공으로 튀었다. 사고의 현장은 아비규환이었다. 건물 잔해 더미 속에서 구조를 요청하는 사람들, 먼지를 뒤집어 쓴 피투성이 부상자들의 비명과 신음소리로 사고 현장은 가득 찼다. 사람들의 생사가 엇갈리는 참사의 순간 건물 잔해를 뒤적이며 백화점 상품을 훔치는 사람도 목격됐다.

20년 전 그날, 참사의 현장은 지옥이었다. 당시 사고로 502명이 죽었고, 6명이 실종됐으며 937명이 다쳤다.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는 한국전쟁 이래 가장 많은 인명피해(1445명)가 난 기록적인 참사였다.

비리와 부실이 낳은 예고된 참사
 
기사 관련 사진
▲ 삼풍백화점이 있던 자리에 신축된 주상복합 아파트 아크로비스타 서울 서초동 삼풍백화점 자리에는 주상복합아파트인 아크로비스타가 2004년 완공되었다.
생략....
 

탐욕에 눈 먼 악마들

"여보쇼. 무너진다는 것은 다시 말해서 손님들에게도 피해가 가지만, 우리 회사의 재산도 망가지는 거야!"
붕괴 사고 이틀 후인 7월 1일 서초경찰서에 출두한 이준 삼풍백화점 회장은 기자들을 향해 이렇게 말했다. 그 순간 일제의 밀정이었고, 중앙정보부 창설 멤버로 돈의 단맛에 중독된 그의 이력이 얼굴을 스쳤다.

국민들의 분노와 질타가 쏟아지는 가운데 붕괴 사고의 책임을 물어 25명이 구속됐다. 이들의 혐의는 업무상과실치사, 업무상횡령, 뇌물공여 및 뇌물수수, 허위공문서작성 등 다양했다. 회장 이준에게는 업무상 과실치사, 뇌물공여 등의 혐의가 적용됐다.

해가 바뀐 1996년 8월 23일 피고인들에 대한 대법원의 확정 판결이 내려졌다. 이준 삼풍그룹 회장은 업무상과실치사상죄가 적용돼 징역 7년6월이 확정됐다. 2심에서 징역 7년형을 받은 사장 이한상은 상고를 포기하여 이미 형이 확정된 상태였다.

뇌물을 받고 삼풍백화점의 설계변경을 승인해준 전 이충우 서초구청장과 황철민에게는 뇌물수수가 적용됐다. 이충우에게는 징역 10개월에 추징금 3백만 원이, 황철민에게는 징역 10개월에 추징금 2백만 원이 선고됐다.

삼풍 참사는 국민들에게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연속적인 대형 참사에 국민들의 공포와 불안감은 커졌다. 이런 가운데 김영삼 정부는 1980~1990년대 초반에 지어진 건물들에 대한 안전 진단을 실시했다. 진단 결과 안전한 건물은 2%에 불과했고, 나머지 대부분의 건물은 보완공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준 삼풍백화점 회장이 7년6월의 형기를 마치고 출소한 때는 2003년 4월이었다. 당뇨와 고혈압, 신장병으로 투병하던 그는 출소 후 6개월이 지난 2003년 10월 사망했다. 탐욕에 눈이 멀어 돈벌이에 혈안이 되었던 그의 삶은 그렇게 끝났다.

이준의 둘째 아들 이한상은 2002년 10월 출소 후 선교사가 되어 몽골에서 선교활동을 하고 있다(그는 2009년 목사 안수를 받았다). 이한상은 출소 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삼풍 사고가 영적인 전쟁의 한 사건"이라면서 "저와 함께 고난을 받으신 많은 분들의 고난과 헌신이 귀하게 쓰여 하나님 이루시는 일에 진보가 있다면 감사할 뿐"이라고 했다. 수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넣고도 진정어린 반성과 사과가 없는 그의 넋두리는 악마의 주술과도 같았다.

코스프레 되는 참사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로부터 20년이 지났다. 삼풍 참사 이후에도 크고 작은 재난사고가 이어졌다. 여전히 부패와 비리는 지속되고 있고, 투명사회는 멀고 아득하다. 역설적이게도 대한민국은 사람보다는 돈이 먼저인 사회라는 사실을 각종 참사가 반증한다.

이윤을 위해서라면 국민의 안전과 생명은 쉽게 무시된다. 이런 상황에서 참사는 현재 진행형이다. 400명이 넘는 승객이 타고 있는 배가 침몰하고 있는데도 정부는 구조작업은 하지 않고 수수방관했다. 세월호 참사로부터 1년이 더 지났지만 진실은 아무 것도 밝혀진 게 없다. 정부가 하는 일이라곤 잊으라는 강요와 공안탄압뿐이다.

메르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른 것도 국민의 안전과 생명보다는 병원의 이익과 명예를 앞세운 결과다. 대통령의 무능력은 하늘을 찌르고 정부의 기능은 마비됐다. 국민들의 안전과 일상이 파괴되고 있는데도 집권 여당은 메르스 사태를 자신들이 진정시켰다고 혹세무민하는 펼침막을 내걸고 있다.

초동대처에 실패해 메르스를 확산시키고도 사회불안 조장하는 유언비어 운운하면서 유포자를 엄중 처벌하겠다는 겁박에는 신속하다. 지지율이 떨어지자 대통령은 학교와 가뭄으로 타들어가는 논을 찾아 민생행보 연출에 안간힘이다.

서울 서초구 양재동 시민의숲에 가면 삼풍백화점 붕괴로 유명을 달리한 희생자들을 기리는 '삼풍참사위령비'를 만날 수 있다.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한 위령비는 돈의 논리로 인해 사고의 현장이 아닌 이곳에 1998년 6월 27일 세워졌다.

기사 관련 사진
▲ 삼풍참사위령비 앞에서 코스프레 중인 젊은이들 삼풍참사위령비 주변은 만화나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코스프레하는 젊은이들이 즐겨 찾는 장소이다. 위령비 앞 주말의 풍경은 참사가 코스프레되는 대한민국의 현실과 닮았다.
ⓒ 전상봉

평소 주말이면 삼풍참사위령비 주위는 소란스럽다. 만화나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코스프레하는 젊은이들이 즐겨 찾기 때문이다. 위령비 앞 주말의 풍경은 참사가 코스프레되는 대한민국의 현실과 닮았다. 위령비 옆면에는 4연으로 구성된 추모시 '기원(祈願)'가 새겨져 있다.

우리들 손과 손으로
갓 일군 화전의 잿가루와도 같이
죽음으로 갈라놓은 암흑의 공백을 새기름으로 불사뤄
이제는 쓰린 어제와 오늘이 밝은 내일이기를
경건한 기원으로 합장한다,
우리들의 손과 손으로

코스프레되는 참사의 고리를 끊고, 삼풍 참사의 '쓰린 어제'가 '오늘이 밝은 내일이'되려면 참사의 기억을 잊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연대 통해 세월호의 진실을 밝히고,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앞세우는 정부를 세워야 한다.

기사 관련 사진
▲ 삼풍참사위령비 서울 서초구 양재동 시민의숲에 위치한 삼풍참사위령비. 삼풍 참사 3주기를 앞둔 1998년 6월 27일 이곳에 세워졌다
 
20년전 삼풍백화점 참사와 지금의 세월호 참사 그리고 메르스사태가
변한게 없이 너무 판박이 처럼 닮았다는게 작금의 아픈 현실입니다........ㅠㅠ

출처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22442&PAGE_CD=N0001&CMPT_CD=M0083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