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JTBC 손석희 앵커의 촌철살인같은 오늘 앵커브리핑 감동적입니다.
게시물ID : sisa_60266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shiningowls
추천 : 14
조회수 : 1125회
댓글수 : 54개
등록시간 : 2015/07/14 23:01:08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963150&pDate=20150714

(모바일로도 재생가능) 광고 1편 분량인 단 3분짜리인데 위 링크 꼭 봐주세요.
동영상 보는 것이 아래 요약 글 읽는 것보다 쉽고, 많은 것을 느끼게 해줍니다.
 
 
 

 "부재의 반추 : Reflecting Absence"
뉴욕 시내 한복판. 911테러로 두 개의 빌딩이 무너진 바로 그 자리에 만들어진 거대한 두 개의 연못.
미국은 가장 값비싼 지역, 가장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그곳을 기억의 공간으로 조성.
시민들은 그 결정에 동의.

지금 우리의 모습은 어떤지요?

서울 강변북로 구석진 곳에 세워진 성수대교 참사 위령비.

삼풍 참사의 추모 공간도 "시민의 휴식공간이다" "인근 집값이 떨어진다" 각자의 셈법에 따른 거센 논란으로
결국 양재시민의 숲 뒤편 으슥한 곳으로 옮겨짐.

제주로 수학여행 떠난 아이들이 돌아오지 못한 지 1년을 훌쩍 넘겨. 봄이 가고 여름이 왔습니다.
가족들의 부러진 일상 또한 계속되고 있지요.
오늘은 가족들이 광화문에 천막을 펼친지 꼭 1년째 되는 날입니다.

일부 시민들은 편치 않은 시선을 보냅니다.

"산 사람은 살아야지" 혹은 "내가 좀 살아야겠으니" 자리를 비워달라 혹은 옮겨달라는 겁니다.

가족들은 그럴 수가 없습니다.

제가 '이제 세월호 얘기가 지겨우십니까?'라고 여쭤봤던 것이 작년 10월 16일. 세월호 참사 6개월째가 되던 날이었습니다.

솔직히 또 세월호 얘기를 꺼내는 것이 마음 한구석에서 두렵기도 합니다.
아이들 수백명이 바다에 묻혔어도 정파로 나뉘어서 싸우고, 해괴한 이념논쟁까지 끼어들었던 기억이 있으니까요.

그러나 다시 꺼냅니다.

0원. 출범한 지 반 년이 넘은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에 지금까지 집행된 예산입니다.
실종자들을 그대로 품고 있는 세월호는 지금도 바다 깊이 가라앉아 있습니다.

가족들이 잡을 수 있는 마지막 끈은 지금 남은 이곳 광화문. 기억의 공간 하나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가장 으슥한 곳에. 잊기 위해. 혹은 잊혀지게 하기 위해.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