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게시물ID : science_60698 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사닥호
추천 : 12
조회수 : 1223회
댓글수 : 51개
등록시간 : 2016/09/06 22:05:09
대용량 이미지입니다. 확인하시려면 클릭하세요. 크기 : 13.12 MB
출처 보완
2016-09-07 00:35:10
3
댓글 분란 또는 분쟁 때문에 전체 댓글이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
2016-09-07 00:01:32 추천 50
나왔다 공돌이! 나도 모르겠다. 물리물리열매 능력자를 소환한다!
2016-09-07 00:04:03 추천 47
일어서라 핫산 어째서 원리를 알지 못했지?
2016-09-07 00:35:02 추천 4/11
자석이니까 그런건데 굳이 공돌이 불러야 하나여? 잘 보시면 처음부터 한줄로 붙어있는걸 우겨넣어서 고대로 빠져나오는것같아요,
2016-09-07 03:21:03 추천 35
아니..저 한줄로된게 왜 하늘로 떠오르냐는거죠
2016-09-07 09:02:24 추천 1
줄이 부드럽고 유연한 줄이 아니에요.
2016-09-07 18:01:19 추천 11
섰네요.
2016-09-07 18:23:39 추천 1
관성 때문에 그런거 같은데
2016-09-07 18:30:02 추천 0
끝에 부분이 무거워서 딸려나오는거 아닐까요? 누가 당기고있다거나
2016-09-07 18:44:01 추천 21
컴공과 나왔습니다! 구글분수효과로 봤습니다!! 다시 들어가겠습니다… ㅜㅜ
2016-09-07 19:14:45 추천 0
자석은 아니겠지 자석이면 컵에 넣었을때 다 달라붙어서 한줄로 유지도 못 하는거 아닌가?
2016-09-07 20:25:59 추천 11
하여간 머글들은 어렵게 산다니까. 따라해봐. "윙-가르-디움 레비오사"
2016-09-08 23:53:15 추천 3
죄송한데 윙-가르-디움 레비오우사 입니다
2016-09-07 00:32:10 추천 0
나를 토해 베스트로!
베스트 게시판 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6-09-07 00:38:18 추천 5
줄 같은 것도 위로 들었다가 밑으로 확 잡아 당겨 내리면 순간적으로 더 위로 치솟잖아요. 제 생각인데, 컵 안에 쌓여있던 구슬들이 위쪽으로 잡아당겨지니, 위로 치솟아 올라가는 힘과 관성이 생겨서 치솟아 오르다가, 일정 지점에 도달해서 밑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더 강해지면 밑으로 휘는게 아닐까 싶어요. 그 지점이 저기 음의 2차함수 같이 생긴 구슬들 모양의 꼭지점?부분 이고... 경제과라 잘 모르지만 추측해보았습니당 꺄르륵
2016-09-07 00:39:25 추천 30
아마 자석도 아니고 목걸이처럼 가느다란 실같은거로 연결되어있는 구슬같은데, 그런건 유연하게 휘어지지 않고 어느정도 커브를 그리며 휘어지잖아요? 그러다보니 컵 위에서 180도 방향전환하는 과정에서 원형으로 휘어지면서 원심력이 생겨 내려가는 속도가 빨라질수록 원심력도 강해지게 되고, 그 힘이 중력과 반대방향이므로 점점 위로 올라가는거지요. 그래서 속도가 떨어지면 원심력도 저하되면서 다시 가라앉는거구요.
2016-09-07 00:45:19 추천 0
서로릉 연결하고 있는 줄은 바로 자기력선 아닐까요?
2016-09-07 01:16:38 추천 0
출처보완 동영산 보시면 구슬이 하나하나가 아니라 목걸이처럼 줄로 이어져있어요!
2016-09-07 08:56:15 추천 52
역싀 구슬분수다. 지금 보시믄 아시겠지마는 구슬분수의 매크니즘이 솽당히 조크든요? 보세요. 유옌하게 휘으질끄 같지마는 으느졍도로 카브를 구리며 휘어내쓰니까. 그릏키 때문에 속도가 빨라 질슈록 높이 올라가그등요? 긍데 만약에 쉬럼시레 똠이 있었으믄 닿아서 카브가 좀더 엣찌이께 떨어졌슐꺼라 이러케 생각을 합니다.
2016-09-07 11:25:00 추천 12
그래서 돔머그컵이 필요하다는거 맞죠?
2016-09-07 00:39:48 추천 14
군번줄같은데 실같이 쉽게 구부러지지않아서...ㅇㅇ
2016-09-07 00:42:24 추천 11
구슬이 꿰어져있는 형태의 줄이라 일정 반지름 이하로 확 꺽이지를 못해요 그래서 처음 떨어질때 실이 바로 컵 모서리에 바짝 붙어서 꺽이지 않고 위로 조금 들리면서 자유낙하가 시작하게 되는거죠 그럼 실이 최대한 꺽여서 반원을 만들어도 컵의 반지름보다 넓기때문에 실이 떨어지는 힘은 컵쪽에서는 위로 들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거지요
2016-09-07 00:43:23 추천 0/4
비슷한 예로 높은곳에 있는 물통에 물이담긴 호스를 넣고 호스의 반대끝은 물통보다 낮은 위치에 두고 호스의 물을 빼면 자기들끼리 잡아당기는 힘이 강해서 위의 구슬처럼 호스를타고 쭉빠져나가요 위의 자석또한 떨어지는 애들이 혼자만 떨어지기 싫어 잡아당기면서 같이 떨어지기 때문인듯 합니다. 통속에서는 따라올라가는 구슬과 가장 강하게 결합된 녀석을 제외하고 다른애들은 밀어내거나 함께올라가지 못할 만큼 약하게 당기고만 있을듯 합니다. 뭐라 알겠는데 말을 못하는 공동이라 ㅜㅜㅜ
2016-09-07 05:59:41 추천 5
호스는 다른 원리입니다
2016-09-07 18:13:11 추천 0
무슨말인지 느낌은 알 것같아요 장력같은거 말씀하시는거 같어요 근데 호수는 그게 아니라 압력차이 때문이에용
2016-09-07 00:48:17 추천 0
이랬는데 CG면 재밌겠다
2016-09-07 00:48:20 추천 4
안녕하세요, 이과생입니다. 안녕히 계세요.
2016-09-07 01:24:35 추천 6
난 썩었어.....
2016-09-07 02:28:12 추천 6
어..어디서요??
2016-09-07 18:02:05 추천 0
이걸 이해하는 내가 더 썩은거 같다
2016-09-07 18:11:00 추천 0
다들 그렇게 사는거죠. ㅎㅎ
2016-09-07 18:15:46 추천 1
??????
2016-09-07 18:19:15 추천 1
나도 썩었어... 구슬... 분수... 음란마귀 가득한 나란놈...
2016-09-07 18:20:50 추천 9
응꼬에 들어가는 그거처럼 생겼다고 왜 말을 못해!!?
2016-09-07 19:47:34 추천 1
한참 생각하다가 이해했어요. 휴.. 아직 그렇게 썩진 않았구나
2016-09-07 01:26:40 추천 0
구슬과 구슬 사이의 줄의 가동영역과 아래로 떨어지는 힘, 그리고 구슬의 무게 등이 영향을 미칠 것 같은데.... 나머진 알아서. 난 문과임.....
2016-09-07 01:28:49 추천 0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는데 구슬 무게가 점점 늘어나면서 컵안에 있던 구슬을 잡아 당기는 관성이 커지고 저 줄이 쉽게 구부러지지 않아서?
2016-09-07 01:43:44 추천 0
원심력 .....
2016-09-07 01:45:03 추천 0
첫 녀석이 떨어져서 바닥에 닫기 전까지 시간동안 뒷 녀석을 당기는데 컵 경사면이 있으니 그 힘이 위로 작용
2016-09-07 04:03:57 추천 0
인간지네의 구슬판. 구슬지네
2016-09-07 04:11:02 추천 0
10분뒤에 다시 올라오네요
2016-09-07 07:16:47 추천 1
저거 보통 악세서리나 열쇠고리에 쓰는 구슬체인입니다. 단지 길이가 엄청날 뿐 특별한 체인이 아닙니다.
2016-09-07 13:06:30 추천 0
역학적 에너지 관점에서 아주 간단하게 바라봅시다. 구슬 하나가 바닥에 닿고 그 에너지가 실로 전해져서 컵에서 새로 출발하는 구슬에 전달되는 상황이라고 해보죠. 고리로 연결된 구슬과 구슬의 간격이 꽤 길다고 가정을 하는 것입니다. 마찰로 인해 소실되는 에너지는 없다는것도 잊지 말고. 먼저 처음 구슬이 지면에 닿을때 총 역학적 에너지는 첫번째 구슬을 사람이 처음 당겼을때의 운동에너지 + 지면부터 컵출발위치까지의 높이 해당하는 포텐셜 에너지 ----- 1) = 지면에 닿을때 첫번째 구슬의 운동에너지 ------2) 입니다. 문제는 저 상황상 두번째 구슬도 컵에서 출발해서 지면에 닿을때 운동에너지가 위 2)식에서처럼 지면에 닿을때 첫번째 구슬의 운동에너지와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두번째 구슬은 첫번째 구슬을 처음 잡아당겼을때 운동에너지에 해당하는 만큼의 포텐셜에너지를 가진채 내려와야 하죠. 따라서 처음구슬이 그냥 잡아당겨져 떨어지는 것과 달리 두번째 구슬은 위로 조금 올라간다음 내려오는 것이 역학적 관점에서 맞게 되니다. 물론 실제는 조금 복잡하게 계산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역학적 에너지 관점에서 왜 구슬고리가 위로 올라가는지 이해를 하는데는 무리는 없을 것입니다. 컵속의 고리수위(?)가 구슬이 빠져나가면서 밑으로 내려가는만큼 낮아지면서 위로 올라가는 고리의 절대높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낮아지긴 하지만 고리수면(?)으로부터 올라가는 높이 자체는 변함이 없어야 하죠.
2016-09-07 14:33:26 추천 0
최초구슬이 땅에떨어질때까지 당겨지는 속도가 증가하면서 어느정도 비슷한높이를 유지하는것으로보임. 증가된속도도 위로올라가면서 운동에너지가 위치에너지로 전환되는 지점이 그높이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2016-09-07 15:57:08 추천 0
오늘은 이걸로
베오베 게시판 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6-09-07 18:00:59 추천 0
구슬... 분수... 하아 난 썩었어...
2016-09-07 18:09:09 추천 0
ㄷㄷㄷㄷㄷㄷ ㅜㅜㅜㅜㅜㅜ
2016-09-07 18:20:39 추천 18
대용량 이미지입니다. 확인하시려면 클릭하세요. 크기 : 5.55 MB
피리를 불어볼까~?
2016-09-07 20:54:23 추천 1
이건 또 뭔뎈ㅋㅋㅋㅋ
2016-09-07 18:39:01 추천 1
원심력과 비슷한 원리..유도선수들 줄로 파도만드는거랑 비슷......은 과알못
2016-09-07 20:53:55 추천 2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분수라는..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