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본삭금] 논문 용어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영어, 실험통계 관련)
게시물ID : science_6082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litna
추천 : 0
조회수 : 569회
댓글수 : 6개
등록시간 : 2016/09/14 17:40:54
옵션
  • 창작글
  • 본인삭제금지

영어 논문을 보고있는데 잘 해석되지 않는 부분이 많아 질문드립니다...

특히 통계쪽은 생소한 용어들이 많아 잘 모르겠네요.



원문 

glu.png

Time to peak and iAUC were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Repeated-measures analyses from 0 to 180 min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P =0.31);
however, analysis of the curves from 0 to 120 min showed a significant dose effect (P = 0.03),
and post hoc adjustment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with 0 g and 1 g L-arabinose (P = 0.04).



일단 제가 번역한 건

peak에 이르기까지의 시간과 iAUC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복 실험의 분석 결과, 180분까지의 분석결과에서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120분까지의 곡선 분석에서는 선량관계를 보였다.

사후연구에서는 0 g 첨가군과 1 g 첨가군 간에서 차이를 보였다.


1. Repeated-measures analyses를 '실험을 여러번 반복해 얻은 결과를 분석했다'로 이해했는데

그래프 간의 차이가 보이는 것 같은데도 왜 차이가 없다는(no difference) 건지 -> 혹시 P값이 커서 그런건가요?

분석 범위를 일부 구간으로 바꿔서(180분까지가 아니라 120분까지만의 수치를)

실험결과의 차이가 유의미해 졌다는 해석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2. post hoc adjustment은 뭔가요?

post hoc을 '사후', 'adjustment'를 '적용'으로 해석해서 '실험 수행 후 일부 조건을 보완해 다시 재실험한 결과' 정도인가? 싶은데

역시 뜻을 제대로 알고 넘어가고 싶습니다.




틀린 게 많더라도 자세히 설명해 주신다면 감사합니다. ㅠㅜ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6-09-14 19:03:54추천 0
출판 논문맞아요? 영어가 읽기 불편한데 논문엔 different 이런건 가급적 안쓰는데말이죠.
시간 분해능은 15분이고 사건 은 30분이내로 급변하는데
peak time이 차이가 없다고 말할수있나요? peak 가 중요하지않다면 굳이 not different 를 언급할 이유는 없고
둘째문장 에러바를 고려하더라도 일치하지않는데 실수로 적은거 같습니다.
셋째문장 그림상에 curve가 없는데 dose effect에 관한 함수가 추후 기술되나요?
넷째문장 post hoc는 모르겠습니다.
댓글 1개 ▲
2016-09-14 23:49:48추천 0
답변 감사합니다!

논문은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임팩트 팩터 6.703) 겁니다.
외국 논문을 많이 읽어본 적이 없어서 '이상한 영어'라는 것도 잘 모르네요... ㅠㅜ
실험군들이 대조군과(X 모양) 차이를 보인다고는 생각했는데, 왜 not different 라는지는 저도 의문이네요.
관련 그래프도 저것밖에 없습니다.
2016-09-14 19:10:16추천 0
데이터가 신용있는 기관에서 뽑은거라면.
데이터만 참고하시고 curve fitting은 따로 하시는게 도움될듯합니다.
댓글 1개 ▲
2016-09-14 23:52:10추천 0
데이터 참고용은 아니고, 수업에서 교수님이 논문 읽는 연습하라시면서 (석사 중입니다)
전부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읽어서 발표하는 과제를 던져 주셔서요. 이 말도 본문에 넣었어야 했는데...
제가 하던 분야도 아니라 고생입니다;;;
2016-09-14 20:22:12추천 0
1) Repeated measure analysis는 통계분석의 한 방법입니다. 그래프를 보니 repeated measure ANOVA 같은 방식으로 분석하였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논문에 제시된 통계분석  방법을 보면 어떤 분석을 썼는지 기술되어 있을 겁니다.
2) post hoc은 사후 분석입니다. 예를들면 A,B,C 세 그룹을 비교해 보니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나왔다고 가정합시다. 이러한 경우 B,C는 비슷하고 A만 다른지, A,B는 비슷한데 C만 다른지, 아니면 A,B,C가 각각 다 다른지를 사후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Tukey나 Bonferroni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댓글 1개 ▲
2016-09-14 23:56:29추천 0
답변 감사합니다!

1) 그래프 설명을 생략했는데, 분석에 'repeated-measures ANCOVA'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그냥 그 분석법을 사용했다는 거네요.
2) 역시 어디서 들어봤다 했더니, 논문 SUBJECTS AND METHODS의 Statistical analysis and calculations 에서
A significant result was followed by using a Tukey-Kramer test for post hoc analysis. 라고 나오네요.
역시 분석 방법 중에 그런 게 있다 정도로 이해하겠습니다.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