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양념갈비·햄으로 ‘국적 세탁’ 낌새
게시물ID : sisa_6109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면벽수련
추천 : 2
조회수 : 378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08/10/24 08:07:37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17802.html


양념갈비·햄으로 ‘국적 세탁’ 낌새

도매시장 유통분 대부분 가공용 공장행
작은 식당선 양념육 쓸때 원산지 안밝혀
부정적 여론·환율 급등…수입량 예상의 절반 
 
 
  김진철 기자 신소영 기자  

■ 수입이 예상보다 적다? 

.......................

육류수입업계에서는 애초 월평균 1만톤으로 예상했던 수입량의 절반 수준이라고 전했다. 수입량이 예상보다 적은 이유로는 △부정적인 여론 △경제위기에 따른 환율 급등 등이 꼽힌다. 그러나 지난달은 예상치를 넘어섰고, 이달도 열흘 동안에만 5000톤 넘게 들어와 수입량은 증가세를 보인다.

100여일 동안 2만5000톤 가까이 검역을 마쳤는데도 시중에서는 미국산 쇠고기를 보기 드물다. 고기구이집이나 설렁탕집 등 음식점 메뉴판에는 국내산이나 호주산, 드물게는 멕시코산이라고 적혀 있을 뿐이다. 검역을 마친 물량 중 얼마나 시중에 풀렸는지는 통계에 잡히지 않는다.


■ 창고에 쌓여 있다? 

.......................

유통이 안 되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위기에 따른 원-달러 환율 급등 탓이다.

.......................

 최대휴 농림수산식품부 축산물위생팀장은 “검역·통관을 거쳐 수입은 됐지만 소비자 반응이 안 좋아 물량이 나오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 가공용으로 나간다? 

시중에 풀린 수입 물량은 주로 도매시장에서 유통되고, 이 가운데 적잖은 양이 가공용 공장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 한 육류수입업자는 “정육점이나 식당 등에서 소비자들이 기피하다 보니 수입 미국산 중 도매시장에서 나오는 물량이 육가공 쪽으로 많이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가공되는 쇠고기는 주로 공장에서 양념갈비·불고기 같은 양념육으로 만들어지거나, 프리미엄급 햄·소시지에 들어간다.

이런 경우 원산지 표시가 문제된다. 포장된 양념갈비·불고기가 소매점에서 팔려나갈 경우엔 미국산 쇠고기 비중이 50%를 넘어 원산지 표시 대상이 된다. 하지만 영세한 식당들이 공장에서 생산된 양념육을 들여와 팔 경우에는 원산지를 알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햄이나 소시지는 쇠고기가 50% 이상 들어가지 않아 원산지 표시 대상이 되지 않는다. 

공장을 거치지 않고 직접 시중 음식점으로 들어가는 미국산 쇠고기도 원산지 표시가 제대로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이달 6~16일 동안에만 서울에서 미국산 쇠고기 원산지 표시를 어긴 음식점 네 곳이 적발됐다. 박상표 ‘국민건강을 위한 수의사연대’ 편집국장은 “여론이 들끓을 땐 원산지 표시 단속에 나서는 것처럼 보였지만 현재는 단속이 활발하지도 않고 음식점들도 원산지 표시를 제대로 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 대형마트에 곧 깔린다? 

미국산 쇠고기를 쉽게 접할 날은 머지않아 보인다. 여러 육류수입업자들은 “대형마트들이 원래 이달 10일께 동시에 미국산 쇠고기 판매에 나서려 했는데 멜라민 분유 파동으로 연기됐다”고 말했다. 판매 분위기가 상당히 고조됐다는 것인데, 한 육류업자는 “이달 말께 대형마트들이 판매에 나서기로 계획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른 육류업자들도 “최소한 내년 설 전에는 본격적으로 판매가 시작될 것으로 본다”고 예상했다. 기존 수입 쇠고기의 경우 통상 수입물량의 15% 정도가 대형마트에서 판매된다. 

========================================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