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간이 가진 한계는 시간에 대한 존재의 유한성과 공간에 대한 점유한계가 있다.
시간에 대한 존재의 유한성은 '죽음'이라는 철저히 설계되어진 생물학적 과정에 기인한다.
공간에 대한 점유의 한계점은 광속에 의해 규정되어진다.
둘 다, 하나의 변수 즉, 공간 혹은 시간에 대한 단일변수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존재에 대한 유한성은 시간이라는 변수를 인간이 영속가능하게 함으로서 제거할 수 있다.
공간에 대한 점유한계 도한 인간의 생존을 영속하게 함으로서 공간점유에 대한 속도의 개념을 제거할 수 있다.
2. 인간이 앞으로 진일보 하기 위해서 극복해야 할 우선과제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기억과 학습에 대한 한계용량을 늘리는 것이다.
이미 인류는 자연에 대해 수백년 동안 아주 많이 조사해왔고, 그 지식또한 현생인류의 한 개인이 모두 숙지하기에는 너무 방대하다.
하지만, 현재 여러 분야로 분류된 지식들은 그보다 더 소수이면서 본질에 가까운 지식의 계통으로 수렴하고, 또 그 수렴한 계통의 지식들은
더 적은 갈래의 지혜로 통합된다. 따라서 인간은 진일보하기위해 이미 조사되어있는 사실과 지식들을 통합해나가야 하는데,
이 때, 인간은 생물계의 다양한 종이 채택하고 있는 방식 중 가장 효율적인 2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첫째는, 1개의 개체가 종 집단 전체의 지식을 보유하고, 통제하는 것. 하지만 이러한 방식에는 조직적인 측면에서의 불안정 요소를 배제하더라도,
1개의 개체가 종족의 Capability를 초월할 정도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고, 이는 그 종 전체가 특정 1개의 개체만큼의 능력을 가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도적으로 조직과 집단의 효율적인 통제를 위해서 인위적으로 제한한 것이므로 인류가 극복해야 할 과제의 해결점에 부합하지 않는다.
둘째는, 개체간 의사교환의 효율성을 완전하게 확보하는 것. 이는 어떤 한 개체가 다른 개체가 사고하는 모든 영역에 대해서 완전히 인지할 수 있다는 뜻이며.
현생인류의 미개한 '언어'로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 방식 또한 1개의 개체가 가질 수 있는 정보의 양에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개체 1개가 상실될 경우에는
전체적인 지식의 감소가 수반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인류는 제 3의 방안으로서 1개의 개체가 보유할 수 있는 지식의 양을 무한히 얻을 수 있게하는 것이 첫 번째 돌파구이며, 그 다음 단계로서
개체간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개선해나갈 수 있다.
둘. 현생인류가 가지는 가장 극단적인 제한점이라고 한다면 역시 생존환경에 대한 적응력 부족이다.
현생인류는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느린 속도로 적응하도록 디자인 되어져있다.
특히 자손번식을 통한 진화 및 적응방식은 이전 개체가 자신의 완전한 지혜와 지식을 물려주지 못한다는 극단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급진적 고찰또한 필요하며, 이미 급진적이지 않게 된 개념들에 대해서 논하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주제이다.
2. 인간의 신체 및 정신에 대한 모듈레이션.
확실하지는 않지만, 태초 지구에 미개한 생물이 발생하였다. 그 생물들은 급격한 환경적 변화와 개체증식에 대한 목적성에 의해
좀 더 생존성과 생식성이 개선되고 향상된 생물들을 만들었다. 그 결과 현재의 이론에 따르면, 단세포는 다세포 라는 생명체를 개발했으며
다세포는 수많은 종류의 생존모델을 개발시켰다. 그 파생모델들은 물이라는 환경에서 벗어나서 더 다양한 영역에 걸쳐 생존하고자 했으며,
그 결과 오늘날에 이르기 까지 포유류 등 지구환경에서 생존 및 지속적 종 유지가 가능한 대표적인 몇개의 모델들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따라서 현생인류는 지구에서 살고있는 '생물'이라는 존재의 영역과 정의 그리고 앞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고등사고가 가능한 '존재'를
지속, 발전시켜 나가야 할 지에 대해서 고민해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현생인류는 이 문제점의 해결에 대한 어느정도의 실마리를 발견하였다.
걍 다음에 써야지 .... 로봇, 저장장치, 산소를 기반으로 한 딜리버리체계 외 신체를 가동하게 할 수 있는 모듈레이티드 된 에너지 전달 체계
지능과 정신, 영혼의 개념과 그에 대한 확장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