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하나고 학부모들, 공익제보 교사 사퇴 요구
게시물ID : sisa_61120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이이잉여
추천 : 0
조회수 : 670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5/09/09 07:36:51
입시성적 조작, 학교폭력 은폐 등을 외부에 알린 하나고 교사의 입지가 위태롭다. 학부모들은 해당 교사의 행동이 학교의 명예를 실추시켰다며 사퇴를 요구하고 있고, 일부 교사는 단식 투쟁으로 힘을 보태고 있다.

8일 복수의 하나고 관계자에 따르면 이 학교 학부모 300여명은 지난 4일 집회를 열고 공익제보자인 전경원 교사의 사퇴를 촉구하는 한편, 학교가 전 교사에 대해 민·형사 상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학부모들은 이날 교무실을 방문해 학교 관계자들에게 이 같은 의사를 전달했다.

↑ 자사고 전환 과정 특혜 의혹을 받고 있는 김승유 하나학원 이사장이 26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서울시의회 행정사무조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하나고는 서울시 첫 자립형 사립고로 2010년 개교했다.시의회 특위는 하나고 설립 당시 부지 임대차 계약, 신청에서 고시까지 단 하루가 소요된 자사고 전환과정, 부지 임대차 계약 체결내용, 학생 모집, 장학금 지급, 기간제 교사 채용 과정 등을 규명해야 할 대상으로 보고 있다./사진=뉴스1
결의문에는 △입시 성적 조작, 학교폭력 은폐 등의 사실을 왜곡해 언론에 알린 것 △내부적으로 해결가능한 일을 외부에 폭로해 학교의 명예를 실추시킨 것 △입시를 코앞에 두고 있는 학생들을 혼란에 빠뜨린 것 △대학 겸임교수 활동, 영리활동 등으로 수업에 소홀한 것 등 전 교사의 잘못을 지적한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전 교사는 지난달 26일 열린 서울시의회 특별위원회에서 "하나고가 학생 성비를 맞추기 위해 지원자들의 입시 평가 점수를 조작했으며 전 정권 유력인사의 자녀가 저지른 학교폭력 가해 사실에 대해 적절하게 처벌하지 않고 은폐했다"고 증언했다.

이에 대해 하나고 관계자는 "'기숙사 시설 문제로 성비를 조율한다'는 해명은 교육부가 하나고에 파견한 입학 심사위원에게도 여러 번 고지됐던 일이고, 전 정부 유력자 아들의 학교폭력 사건은 전학 조치로 인해 원만하게 종결이 된 사건"이라며 "전 교사는 자신에 대한 징계 절차가 진행되자 보복 심리에 왜곡된 정보를 언론에 흘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전경원 교사는 "겸임교수 활동은 학교장에게 허가 절차를 받은 것이며 수업에 소홀했다는 것은 아무런 근거 없는 공격"이라고 답했다. 또 "이미 학교 재단의 문제점에 대해 2013년부터 개선을 요구해 왔으므로 '징계로 인한 보복'이라는 말은 억지"라고 해명했다.

이와 별개로 하나고 학부모 사이에서는 조직적인 시위를 준비하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하나고 특별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의회 관계자는 "학부모 단체 채팅방에서는 '검은 옷으로 차려입고 침묵 시위를 하자'는 말이 종종 나오고 있으며 일부 학부모는 전 교사에게 '전경원은 개XX, 교사도 아니다', '원서 쓰는 4기 학생의 입장을 헤아린 적 있느냐?' 등의 협박성 메일을 보내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학부모 게시판에도 전 교사를 비난하는 게시글이나 댓글이 많다. 대부분 고3 자녀의 대학 입시를 걱정하는 내용이다. "서울교육청 감사 시작일이 수시 원서 마감 주인데 이번 사태 때문에 아이들의 12년 공부가 물거품이 되지 않길 바란다"(학부모 윤모씨), "당신 자식이 이 학교를 다녔어도 그렇게 '어이없는 정의'를 외쳤겠느냐"(학부모 김모씨) 등의 글이 올라와 있다.

한편, 또 다른 하나고 교사인 유모씨는 언론의 공정한 보도와 전 교사의 폭로 중단 등을 요구하며 단식 투쟁을 벌이고 있다. 유 교사는 8일 현재 9일째 물만 마신 채 수업에 들어가고 있다.

일각에서는 하나고 내부 반발이 커지는 것은 '학교'라는 특수 환경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해석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공익제보 내용의 사실 여부와 관계 없이 학부모들은 학교가 잡음 없이 운영되길 바라는 마음이 크기 때문에 이런 일이 일어났을 때 학습권이 침해됐다고 느낄 수 있다"며 "자녀 입시 때문에 사학 집단의 구조적 문제에 눈 감는 집단 이기주의가 발동돼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http://media.daum.net/society/education/newsview?newsid=20150909050906769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