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감마엔진에 대해서 알아봅시다!(스압주의/브금有)
게시물ID : car_3144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IRONFACE
추천 : 4
조회수 : 4099회
댓글수 : 5개
등록시간 : 2013/08/22 03:22:18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i4l2R
밤에 잠도 안오고,
제차 (뉴세라토)의 엔진도 알아보고싶어 네이버 검색질을 하면서
하나하나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ㅋㅋ
 
그럼 시작~
 
 
 
 
 
 
1.현대의 엔진종류
 
우선 현대자동차는 엔진종류가 상당히 다양한대요,
알파,베타,세타,람다,누우,타우,델타 등등등... 상당히 다양한 엔진라인업을 소유하고있습니다
1984년도에 현대자동차에서 설립한 파워트레인 센터에서 개발을 진행한다고 합니다.
 
우선 오늘 알아볼 엔진은 감마엔진이구요 이 엔진은 06년도에 출시되었고 배기량은 1600cc!!(1591cc)엔진의 대표적인 현대,기아 차량의 파워트레인입니다.
 
사용되고있는 차량은, 07년식이후 뉴세라토,아반때hd,신형엑센트(1400cc) 등등에 사용되고있는 대표적인 현대의 엔진입니다.
 
(개발년도 출처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1104&docId=172999086&qb=7ZiE64yAIOyXlOynhOyiheulmA==&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Rmg8F35Y7uGsscT4MxZsssssssN-480439&sid=UhT8BHJvLC0AABEGIKY)
 
 
 
 
 
2.감마엔진
 
우선 감마엔진은 종류가 1.4L~1.6L급으로 나뉘는대요 
1.4L엔진은 유럽형 씨드,i30등에 사용되고있구 현재에는 신형엑센트에 1.4L(가솔린)엔진이 들어갑니다.
 
1.6L엔진은 주로 국내 준중형차량에서 많이 보이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현대의 1.6L급 파워트레인이죠
 
엔진의 대분류로는 감마엔진, 소분류로는 MPI, CVVT, GDI 등의 엔진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1170693_470383656391010_286460222_n.jpg (세차하고 살짝 찍어본 제차....엔진룸...ㅋ)
 
 
 
 
 
 
3.엔진형식
 
 
우선 MPI방식 (Multi Point Injection) , GDI방식 (Gasoline Direct Injection) , DOHC 엔진(Double Over Head Camshaft Engine)이 있습니다만 (더 많은 방식이 있겠지만 저는 차에대한 아예 문외한이나 인터넷으로 알아보고 하는거라...ㅋ)
 
 
오늘은 어디까지나 저의 망할 똥차가 주인공이기때문에 CVVT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ㅋㅋ
 
 
우선 CVVT방식은 (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연속가변 밸브타이밍의 약자이구요, 기존 엔진대비(DOHC)출력 연비를 많이 개선시킨 모델입니다. 특히 친환경적인 요소로 질소 산화물 배출량, 탄화수소 배출량이 획기적으로 감소되었다고 하네요 (현기 曰)
 
 
아직도 잘 몰라서 네이버 지식인에 물어본 결과, 배기 캠 샤프트에 CVVT장치가 추가 적용됐습니다. 그 다음 CVV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CVVT용 오일 플로우 컨트롤 밸브와 오일 필터 역시 추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타이밍 체인의 유격을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타이밍 체인 오토 텐셔너도 추가 장착됐습니다. 센서 부분을 살펴보면, 엔진의 오일 온도를 측정하여 오일 점도에 따른 CVVT 장치 작동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오일 온도 센서가 추가되었습니다. 변경된 항목으로는 MAP SENSOR에서 MAF SENSOR 즉 에어 플로우 센서로 변경됐습니다. 또, CMP SENSOR TYPE이 변경됐는데요. 외관상은 기존과 동일하지만 센싱하는 방식에서 엔진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캠축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ZERO DITECTION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동시에 캠축도 함께 변경됐습니다. 또 배출가스 부분에서 많은 효과를 보기 때문에 촉매가 기존의 촉매의 보다 적은 용의 촉매로 변경됐습니다.
블라블라블라...!#@%^@@$% 도저히 무슨소린지 알아들을수가없어서 조금 더 쉽게 설명을 드리자면
원래 기존의 엔진은 흡배기 벨브가 기계적으로 관리되어 열고 닫히는 타이밍이 항상 기계적으로 일정하다고 합니다.
허나, CVVT엔진은 저속에서 고속까지 속력에 따라 최적의 밸브 타이밍이 되도록 1)크랭크축에 대한 2)캠축의 위상을 연속적으로 가변시키는 기구!
 
라고 합니다.
 
 
 
 
1)
de1_8423_i1.jpg 이게 크랭크 축이라고 합니다. 실린더에 피스톤이 왔다 갔다 흡기 압축 폭발 배기 (맞나 이게??;;; :?)순으로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에너지를 얻는 뭐 그런거라고 생각하시면 되구요, 크랭크축은 그 에너지를 기타동력원으로 전달하여서 바퀴가 움직인다라던지?, 시동이 걸린다던지? 뭐 그런 종류의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어주는 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캠축은 쉽게 말하여 흡배기 밸브를 열었다놨다 열었다놨다 하는 아주 불규칙하게 생긴 캠에 부착된 회전축입니다.
캠은 위 이미지와 같이 실린더의 흡배기 벨브를 작동시키는대요. 캠축은 이 캠이 회전함에 따라서 밸브를 미리 정해진 순서로 열렸다 닫힐수 있도록 각도로 조정된다고 합니다. 그 위치나 상태를 연속으로 변형되고 변경된다! 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뭐 대충 CVVT엔진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대요, 사실 저도 잘 몰라서 네이버지식인에서 99.95%의 내용을 복/붙 하거나 그대로 인용하여서 작성한 글입니다. 그냥 심심해서 써보았어요
 
근대 이거 마무리 어떻게하죠?
 
마무리는 저의 똥차사진!
 
 
 
 
 

1175193_470391213056921_584990303_n.jpg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