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왜 지명에 ‘-산’이 많나요?:
게시물ID : history_1133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릴케
추천 : 6
조회수 : 850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3/08/26 21:11:35

태초에 땅이 있었습니다. 나중에 인간이 살게 됐죠. 인간은 언어를 갖게 됐고, 자기들이 사는 곳과 먼발치에 보이는 곳의 이름을 지었습니다. 그래서 입말로 불리던 땅이름은, 사람들이 문자를 갖게 되면서 글말로 기록에 남게 됩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수많은 땅이름은 애초에 순우리말 이름이 있었겠지요.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면서 약간씩 차이가 있어도 대충 통했을 겁니다. 그러나 한자가 들어오면서 점차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땅이름을 기록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원래 이름을 한자로 바꾼 거죠. 곰곰이 생각해보면, 이젠 지하철역 아닌 행정구역 가운데 순우리말 이름은 ‘서울’ 말고는 찾기 힘든 것 같습니다. 문자가 없던 시대에 어떤 이름으로 불렸는지는 여러 자료로 유추해볼 수밖에요.

‘-산’으로 끝나는 이름이 많아진 과정도 이런 겁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우리 땅이름에는 들판·벌판을 가리키는 ‘-메’라는 접미사가 많이 쓰였습니다. 지금의 충남 논산시 연산면 일대에도 ‘느르메’라는, ‘너른 벌판’이라는 땅이 있었지요. 입에서 입을 거치면서 ‘느르메>늘메>늘메’를 거쳐 ‘놀메’라는 이름이 통용되다가, 어느 날 문헌에 기록됩니다. 기록관은 ‘놀’이 ‘노랗다’는 뜻이니 ‘황’(黃)을 쓰고, ‘메’는 ‘뫼’라고 생각해서 ‘산’(山)을 씁니다. 바로 백제와 신라가 쟁패를 벌인 황산벌 전투의 그 황산입니다. 허허벌판에 ‘-산’이란 이름이 붙은 거죠.

물이 있는 곳에 ‘-산’이란 이름이 붙은 경우도 있습니다. 서울의 용산(龍山)엔 산이 없죠. 충남 아산(牙山)에도 큰 산이 없습니다. 두 곳은 오히려 물가와 가깝습니다. ‘물’이라는 뜻의 접미사는 ‘-미(신라 초)>-메(신라 말)>-무(고려)>-문(조선)’으로 변해왔습니다. 전부 발음이 ‘뫼’와 비슷하다보니 한자로 기록하는 과정에서 ‘-산’이 됐습니다. 아산은 아이처럼 작은 물이 있는 곳이겠죠. 용산은 어떨까요. 용(龍)의 우리말은 ‘미르’로, 물을 뜻하는 앞의 단어들과 발음이 비슷합니다. 물을 뜻하는 말이었는데 발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용’을 갖다붙였을 수 있습니다. 기록엔 없지만 원래 이름은 ‘물+물’이란 뜻으로, 한강이 동서 양쪽을 감싸고 있는 용산의 위치와 연관이 있진 않을까요?

다른 것도 살펴보죠. 땅이름에서 ‘남-’이라는 접두사는 ‘앞’을 뜻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가옥이 대개 남쪽을 향하고 있어, 실제 방향도 남쪽과 일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남(앞)의 개펄’이란 뜻인 ‘남개’라는 곳은 이름이 나중에 ‘나무개’로 불렸는데, 한자로 옮기면서 느닷없이 이름에 나무(木)가 들어가 ‘목포’(木浦)가 됐습니다. 서울 남산의 옛 이름(목멱·木覓)에 나무가 들어간 것도 같은 이유겠죠. 강원도 춘천의 남이섬도 ‘남(앞)의 섬’이란 뜻이었는데, 억지로 한자로 남이(南怡) 장군 이름을 갖다붙였습니다. 관광상품화하면서 경기도 화성에 있는 실제 묘를 무시하고 가묘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이상은 반재원 한국땅이름학회 회장이 해준 설명입니다. 이 밖에도 여러 가지가 있었지만, 반론도 있을 수 있고,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금과옥조처럼 여기는 ‘지명 유래’도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반 회장은 어쨌든 과거의 기억이 흔적이나마 남아 있는 지금의 동네 이름을 계속 쓰는 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상하게 지어놓은 도로명 쓰느라 동네 이름을 잊지는 말자는 거죠.


http://h21.hani.co.kr/arti/reader/together/35252.html?utm_medium=twitter&utm_source=twitterfeed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