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백두산만 한 크기의 소행성이 지난달 29일 지구를 스쳐 지나갔다고 BBC가 보도했다. 이 방송은 ‘4179 토타티스’로 명명된 길이 4.6km, 폭 2.4km의 소행성이 이날 지구에서 160만km 떨어져 스쳐 지나갔다고 전했다. 인터넷에서는 이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기도 했지만 이날 오후 1시35분(국제표준시) 지구와 가장 근접한 거리는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4배인 160만km 정도였다. 소행성이 지구에 160만km까지 근접한 것은 천문학적으로 매우 가까운 것이며, 드문 현상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의 단 요먼스 지구인접물체연구소(NEOPO) 소장은 “토타티스의 궤도는 매우 잘 알려져 있으며 이번과 같은 근접현상은 앞으로 500년 후 다시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1989년 프랑스 과학자들이 발견한 이 소행성은 두 개의 거대한 암석 덩어리가 가느다란 목으로 연결된 ‘아령’ 형태로 독특한 자전 방식 때문에 태양계에서 가장 이상한 천체 중 하나로 꼽힌다.과학자들은 이 천체가 과거 맹렬한 충돌을 겪은 결과 자전축이 수시로 변하게 됨에 따라 하루 길이가 지구 기준으로 5.4일과 7.3일의 두 가지가 있는 독특한 성질을 갖게 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한국천문연구원 지구접근천체연구실에 따르면 지름 1.5km의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경우 약 10억명이 사망하고 장기적인 기후변화가 예상된다. 소행성 지름이 10km에 이르면 공룡멸종과 같은 전지구적 생명체 위기가 올 수도 있다. 유럽우주국(ESA)은 지구 충돌 소행성을 파괴하거나 진로를 바꾸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돈키호테’ 계획을, NASA는 소행성 ‘템펠 1’의 표면에 폭발물로 구멍을 뚫어 그 영향을 측정하는 ‘딥 임팩트’ 계획을 각각 추진 중이다. 이 진기자
[email protected] --------------------- [조선일보] BBC 인터넷판 보도 [조선일보 김민구 기자] 길이 4.6㎞, 폭 2.4㎞의 거대 소행성이 29일 오후 10시 35분쯤(한국 시각) 시속 3만9600㎞의 속도로 지구를 ‘스쳐 지나갔다’고 영국 BBC가 보도했다. ‘4179 토타티스’라는 이름의 이 소행성은 올해 초 인터넷상에서 “지구와 충돌할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았으나 실제로는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4배인 160만㎞까지 접근했다가 멀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 정도 크기의 소행성이 지구에 근접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로 충돌할 경우에는 지구 전체가 황폐화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관계자는 “적어도 12세기 이후 지구에 가장 근접한 것”이라며 “500년 후에야 다시 지구에 접근할 것”이라고 말했다. 1989년 이 소행성을 발견했던 프랑스 과학자들은 켈트족 신의 이름을 따서 토타티스로 명명했었다. 이 소행성은 두 개의 큰 암석이 가느다란 목으로 연결된 형태다. 럭비공처럼 자전 주기도 수시로 변해 태양계에서 가장 이상한 천체 중 하나로 여겨져 왔다. 토타티스는 자전 축이 달라지면서 하루 길이가 지구 기준으로 5.4일과 7.3일의 두 가지가 있는 등 독특한 성질을 갖고 있다. 한편 소행성의 지구 충돌에 대비하려는 각국의 움직임도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NASA는 소행성의 표면에 폭발물로 구멍을 뚫어 그 영향을 측정하는 ‘딥 임팩트’ 계획을 추진 중이며, 유럽우주국(ESA)은 소행성을 파괴하거나 진로를 바꾸는 ‘돈키호테’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김민구기자 [ roadrunner.chosun.com]) ----------- 하마트면 모두다 죽을뻔했구려.. 헐.. 모르고있었다니.. 네이버뉴스에서 소행성 검색하다가 찾았습니다 뉴스날짜는 2004년 9월 30일 입니다.. 역시 소행성 다가온다고해도 방송안하겠군요... 만약에 이게 안비켜가고 충돌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