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유신을 모르는 어린 세대들에게 고함
게시물ID : sisa_43892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중고수
추천 : 10
조회수 : 576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3/09/15 10:15:01
오늘의 돌아가는 정치현실을 이해를하려면은 지난 과거를 돌아보면은
거기에 답있습니다
바로 서슬이 시퍼렀을 유신때에 지금에 박근혜대통령은 그때에 여왕(육영수 여사 대행의 자리)의 권좌에 앉았던독재자의 일원이 었답니다
지금에 그를 민주화로 이끌었던세대들을 박해를하였던 세력이
유신의 잔제로서 지금도 거론이되고
정치일선에서
그것도
독재를 하였던자의 밑에서
비서실장으로 실권을 주쥐고있는 대한민국의 현실입니다만
거기에 미련을두고서 이러쿵 저러쿵 참 암담한 정치현실입니다
국정원의 부정선거로 부정하게 대통령이 되었다면은 내려와야 당연한데도
그것을 부정선거를 덮으려고
안간힘을 동원하여
민주주의를 회손하는데만 열올리는것같아서 안타깝습니다
 
 
 
유신헌법
주요뜻① 1972년 10월 17일 비상조치에 의하여 단행된 대한민국 헌법
 
대통령 선거전에 제가 올린 글이네요
더 이상은 독재자들에게 정권을 주지 맙시다

40년전 그때 박정희 나빠 한마듸만 주변 인사들과 예기를하면은 그 즉시 체포 저녁이라도 압송해갈정도로 서슬이 시퍼랬던 암울한 시대를 살았던 분들이 지금 다 덜 생존해 계시는 데요

지금도 그때를못잊어 독재자를 앞세운 당을 밀어주실라구요

맘대루하슈 ............. 

 다음 국어 사전에서 검색한 내용입니다 

 유신헌법

주요뜻① 1972년 10월 17일 비상조치에 의하여 단행된 대한민국 헌법의

제7차 개헌으로 1972년 12월 27일에 공포되고 시행된 제사 공화국의 헌법

 ② 대통령의 지위와 권한을 강화하고 국회의 권한과 지위를 축소하는 등 대통령의 독재를 가능하게 한 헌법이었다

 1980년 10월 22일 개정 헌법안이 국민 투표로 확정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예문(3개)

유신 헌법은 대통령의 긴급권으로써 모든 헌법 조항을 정지할 수 있는 독재권을 가졌다. 중급
비합법적인 유신 헌법에 의해 대통령에 당선된 그는 “합헌적 절차에 따라 내가 대통령에 당선된 지금…….”이라고 하는 말로 연설을 시작했다. 고급
김 변호사가 누구보다도 먼저 유신 헌법 철폐 운동에 앞장서자 박정희 정권은 반역사성을 철저하게 드러내는 긴급 조치를 발동했다.
 

아래는 유신헌법의 골격이랍니다 .

1. 대통령 직선제의 폐지 및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을 선출.

2. 국회의원의 1/3을 대통령 추천으로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

 3. 대통령에게 헌법 효력까지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는 긴급조치권 부여.

 4. 국회 해산권 및 법관 임명권을 대통령이 갖도록 함.

 5. 대통령의 임기를 6년으로 연장하고 종신 집권 가능(연임 제한 철폐) .

 

그 당시에는 이런 조치와 법이 필요 했다고 생각하는

뇐네들이나 유신의 망령들이 있을 것입니다.

 

"또 한번 그래 될래요? " "당신 자식들 그런 세상에 살게 하고 싶어요?" 라고 하면 어떨까 합니다..
 
 
 
박정희 유신체제의 정치적 성격 - 유신체제 붕괴 요인을 중심으로 - / 서중석 교수(성균관대)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articleId=4530177&bbsId=D101&pageIndex=1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