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중국군의 좋은 예
게시물ID : humorbest_63008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진지합니다
추천 : 79
조회수 : 7454회
댓글수 : 97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3/02/16 00:21:30
원본글 작성시간 : 2013/02/15 14:25:10

 

한국전쟁 당시 인해전술만 앞세운 무식한 군대로 잘못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그 당시의 모습은 놀랍고 뜻밖에도 매너 있었다고 한다.

이는 중공군과 싸운 미군 지휘관들의 회고록 뿐만 아니라 여러 한국군 장군들의 회고록에서도 잘 나타난다.


군기도 잘 잡혀있어서 약탈도 안 했고, 학살문제도 없었다.


백선엽 장군 책에서 나온 일화를 보면 취사병이 부족했는데 갑자기 중국군 포로가 나서더니

\'나 밥잘한다 나한테 맡겨봐라\' 하더만 뭐 재료갔다가 이것저것 볶더니 볶음밥을 해놨는데 그게 신통하게 맛있어서 대원들이 좋아했다.

그리고 자기가 진짜 밥잘한다면서 우스갯소리를 했는데 역시 대원들이 크게 웃고넘어갔다는 일화도 있다고 한다


채명신 장군의 회고록에서도 그런 모습들이 나오는데.

중공군들은 민가에서 신세질 일 있으면 잠은 헛간을 택해서 자고 농기구 같은 건 쓰면 반드시 주인에게 돌려주면서 사례했다고 한다.


아마 국공내전이나 중일전쟁시절 민간인들을 잘 대우해줘서 인민의 지지를 얻은 경험이 이때까지 유지된 것이 아닌가 싶다.

 

민간 약탈이나 부패가 일상화된 국민당은 대만으로 쫓겨났으니 말이다.

내전이나 일본군이 쳐들어 오던 시절에도 중공군은 \'인민의 나무가 다쳐서는 안된다!\'며 말고삐는 나무가 아니라 돌에 씌웠고,

\'인민은 우리의 주인이다!\'며 민가에서 잠을 잘때 민간인들은 안채에서 자게하고 자신들은 마당이나 헛간에서 잠을 잤다.

게다가 중공은 당시 러시아 혁명 직후의 소련처럼 \'인민을 위한 나라를 만들었으니,

 

인민을 위해 열심히 일해보자!란 마음을 유지하고 있었을 것이다.


동료애도 있었는데, 김영옥 대령의 수기에 따르면 한국전쟁 당시 중국군은 동료애가 좋았던 거 같다면서,

자신과 싸운 중국군은 죽은 동료 시체를 가능하면 회수해 가고, 상황이 안 좋아도 최소한 매장은 해두고 갔다고 한다.

위치가 얻어맞기 딱 좋은 곳이라면 밤중에 몰래 와서라도 묻어두고 갈 정도.

 

팽덕회 장군이 뛰어난 명장이었는걸 감안하면 이상한 말이 아닌게, 이는 30년 후의 중월전쟁에서도 마찬가지였는데,

베트남에 진입한 중국군은 시체로 산을 쌓는 고전을 했음에도 베트남군 포로나 베트남 민간인들에게 해코지를 하는 법이 없었고,

들것이 모자르자 포로가 된 베트남군 부상병을 중국군 위생병이 업어서 야전병원에 이송할 정도였다고.


6.25당시 중국군은 사병에게까지 군단급 작전의 세부사항과 목표를 주지시켜서

 상급부대과의 통신이 끊겨도 하급부대가 각자 알아서 움직일 수 있었다고 한다.

 

이것때문에 중국군은 열악한 통신사정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포위전에서 강점을 보일 수 있었다.

그래서 미군이 중국군 포로를 심문하면 사병들까지 군단급 작전을 알고 있어서 놀랐다고 한다.

이는 마오쩌둥의 군사이론에 따른 것이다.

 

그러니까 각 병사들이 사령부와의 전략-전술의 기본을 공유하여 스스로 판단하여 전략적 목표에 부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

 

전쟁을 하면서 갈수록 군기상황이 나빠지던 한국군과 북한군

 

전세가 유리하더라도 점령지에는 약탈 강간 학살을 서슴없이 저질렀던 일본군과는 참 대조되는 모습이네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