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스압] 아이폰 5S 벤치마크 정보.
게시물ID : iphone_2120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Take_care
추천 : 10
조회수 : 2456회
댓글수 : 5개
등록시간 : 2013/09/18 20:12:14
0. 언제나 나오는 '아이폰은 어차피 성능 그런 거 안 따지고 쓰잖아요~' 라는 리플을 대비해서 말씀드리자면 그냥 궁금하신 분 알아가라고 적는 거예요.
 
 그리고 이런 자료라도 만들어놔야 좀 덜 속고 살지 않겠습니까. 제조사의 뻥이든 경쟁사의 언플이든 말입니다.
 
1. 벤치마크 정보가 떴습니다. 예상대로 Apple 커스텀 듀얼코어 1.3GHz이고, 기존 A6 프로세서와 같은 클럭입니다.
 
 동클럭, 동일한 코어 수로 더 뛰어난 성능을 내고, 새로운 명령어 셋(ARMv8 명령어 셋을 의미하며, ARM의 다음 세대 아키텍처인 Cortex-A57, Cortex-A53에서 지원합니다. Apple은 커스텀 코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현재 양산 가능한 것이고, 대부분은 ARM의 설계도를 그대로 따라가므로 경쟁사들은 아마 내년에나 새로운 명령어 셋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짐작됩니다.)과 64비트 프로세싱을 지원하는 것으로 보아 아키텍처 자체가 완전히 달라진 게 확실시되고 있습니다. 28nm 공정으로 제작되었고, 아키텍처의 이름은 Cyclone으로 추정됩니다.
 
K-3.png
▲ 시스템 정보 
 
2. 구체적인 벤치마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na1379491351198.jpg
 
▲ 전체 스코어
 
 32비트 상의 벤치마크와 64비트 상의 벤치마크 사이에 성능 갭이 25% 정도 존재합니다. 지금껏 의견이 분분했습니다만, 64비트 프로세싱 지원이 퍼포먼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말이 맞긴 맞나 봅니다. 긍정적인 방향으로든 부정적인 방향으로든.
 
 다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성능을 비교하자면, A7 프로세서를 제외한 나머지 AP 중에서 현존하는 최강의 AP는 스냅드래곤 800 2.3GHz입니다. (CPU든 GPU든 이 놈이 최강입니다. 다만 엑시노스 5420은 자료가 부족하므로 논외. 추정으로는 CPU, GPU 모두 스냅드래곤 800 2.3GHz에 비해 동급이거나 미미하게 더 높은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네요.) 이것을 탑재한 스마트폰은 대표적으로 옵티머스 G2가 있겠네요. 둘을 비교하자면 32비트 상의 벤치마크는 아이폰 5S가 옵티머스 G2에 비해 10% 정도 뒤지고, 64비트 상의 벤치마크는 아이폰 5S가 옵티머스 G2에 비해 20% 정도 더 높은 성능을 보입니다.
 
 iOS가 안드로이드에 비해 하드웨어 대비 실성능이 높은 편이므로 실성능을 비교하면 더 큰 차이가 나겠지요. 클럭 당 성능은 말할 것도 없고요.
 
 다음은 성능 지표별 디테일한 벤치마크.
 
K-2.png
 
▲ 정수 연산 성능
 
 정수 연산 성능이 A6 프로세서에 비해 정확히 2배 향상되었습니다. 정수 연산 성능은 아키텍처의 절대적인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클럭은 A6 프로세서와 동일하므로, 애플이 얘기한 대로 정말로 하드웨어 성능이 딱 2배 향상되었다는 것.
 
K-1.png
 
▲ 메모리 성능
 
 또 다시 메모리 성능이 대폭 올랐습니다. A5 프로세서에서 A6 프로세서로 갈 때만큼이나 크게 오른 것 같네요. RAM이 LPDDR2에서 LPDDR3로 교체된 것 같습니다. RAM 용량은 사진엔 나와있지 않지만 1GB 그대로인 것으로 추정.
 
K-5.png
 
▲ 자바 성능, 부동소수점 성능 및 대략적인 CPU, GPU 성능
 
 SunSpider 1.0.1이 자바 성능을, Linpack이 부동소수점 성능을, Geekbench는 CPU 성능을, 나머지는 그래픽 성능을 나타냅니다. SunSpider 1.0.1을 제외한 나머지는 수치가 높을 수록 더 좋은 성능을 내구요.
 참고로 저기 보이는 NVIDIA Shield는 스마트폰이 아니라 게임기입니다.
 
 대부분이 아이폰 5S의 승리네요. (자바 성능이나 부동소수점 성능은 OS의 영향을 많이 타므로 소프트웨어적인 최적화가 한 몫을 했을 거라고 여겨집니다.) 사실 거의 언제나 아이폰이 그래픽 성능에선 동세대 최강자였죠. 참고로 onscreen은 해상도를 고려한, offscreen 벤치마크는 해상도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벤치마크입니다.
 
 아이폰 5S에 들어간 A7 프로세서가 아이패드 4세대에 들어간 A6X 프로세서보다 더 윗세대의 GPU를 채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네요. OpenGL ES 3.0을 지원하는 SGX 시리즈는 다음 세대 SGX 시리즈인 SGX 6 시리즈 뿐이니까요. (아이패드 4세대는 SGX 5 시리즈인 SGX554MP4를 채용했습니다.) 아난드텍의 말에 의하면 이번에 들어간 GPU가 SGX G6430 250MHz일 것 같다고 합니다. 아직 분해 결과가 안 나와서 확실하진 않아요.
 
 하도 'iOS의 최적화가 쩔어서 그런 거지 실제로 아이폰은 하드웨어 성능에서는 경쟁사 스마트폰에 늘 밀리는데 정작 하드웨어 가격은 졸라 처먹는다' 고 태클이 걸리다 보니 아이폰 5, 아이폰 5S 모두 작정하고 하드웨어 부분에서 세게 나오는 것 같네요. 사실 귀찮아서 덜 가져온 다른 여러 가지 벤치마크 자료가 있긴 한데(브라우저마크와 같은 실성능 벤치마크 혹은 기타 그래픽 성능 벤치마크들.) 대부분 아이폰 5S가 근소하게 혹은 압도적으로 승리하고 있습니다. (물론 밀리는 것도 간혹 있습니다. 대부분 GPU 부분인데 요새 스마트폰들 GPU가 워낙 좋아서 슬슬 동세대 GPU 최강자 자리 유지하는 것도 흔들흔들하는 듯.) 다만 한 가지 크게 밀리는 건 이거.
 
K-6.png
 
K-7.png
 
 트라이앵글 성능이 왜 유독 밀리는지 모르겠네요. GLBench가 2.1에서 2.5, 2.5에서 2.7로 올라가면서 계속해서 트라이앵글 성능을 더 많이 요구하기 때문에, 트라이앵글 성능이 이렇게나 밀리면 전체 벤치마크 성능도 밀립니다. 모순된 결과이므로 이 부분은 뭔가 다른 원인이 있을 듯. 애초에 아이폰 5보다도 트라이앵글 성능이 밀린다는 게 말이 안 되지요. SGX 5를 썼건 SGX 6을 썼건.
 
 여튼 뭐 정리하자면, CPU와 GPU 모두 현 세대에선 종결급으로 추정.
 
3. 배터리 성능 벤치마크도 떠서 가져옵니다. 이건 굳이 비교 그래프는 필요하지 않을 것 같아서 시간만 표기합니다. 사실 너무 많아서 귀찮아요. 애플이 공식 발표를 했음에도 굳이 가져온 이유는 애플이 배터리 성능 가지고 좀 뻥을 많이 치는 편이라... 여튼 궁금하신 분은 보고 가세요.
 
○ 와이파이 브라우징 : 8.97시간
○ LTE 브라우징 : 8.57시간
○ 통화 시간 : 9.3시간
 
 전체적으로 양호하네요.
 
4. 내용 어렵죠? 밑줄 친 거랑 그래프만 보셔도 돼요.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