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펌] 광복절 축사에 환단고기(위서)를 인용한 박근혜 대통령
게시물ID : sisa_44012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군대민영화
추천 : 10/4
조회수 : 3205회
댓글수 : 6개
등록시간 : 2013/09/20 00:57:42

광복절축사에 환단고기 인용한 대통령

공감하는 삶 2013/08/15 16:58
  오늘 문득 포탈뉴스를 보다가 대통령의 경축사 내용이 눈에 띄어서 찾아보니...
  아래 광복절 축사의 한 구절.

 고려 말의 대학자 이암 선생은 "나라는 인간에 있어 몸과 같고, 역사는 혼과 같다"고 하셨습니다. 만약 영혼에 상처를 주고 신체의 일부를 떼어가려고 한다면, 어떤 나라, 어떤 국민도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을 것입니다.
 일본은 이런 문제를 직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과거 역사에서 비롯된 고통과 상처를 지금도 안고 살아가고 계신 분에 대해 아픔을 치유할 수 있도록 책임있고 성의있는 조치를 기대합니다....

  붉은 색 부분이 문제인데.
  고려 말에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까지 올랐던 이암(李嵒)이 편찬한 것이라 주장되는 『단군세기』 - 환단고기를 구성하는 3가지 책 중의 하나 -에 나오는 것이다. 『단군세기』의 서문에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있다.
 
  "나라가 형(形)이라면 역사는 혼(魂)이다. 형이 혼을 잃고 보존될 수 있겠는가."

  그런데 이 문장은 박은식의 『韓國痛史』(1915)를 활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박은식의 책은 상해에서 출판되어 한문으로 된 것이므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대개 나라는 이고 역사는 이다. 지금 한국의 은 허물어졌으나 만이 홀로 존재할 수 없는 것인가.
 
  박은식이 환단고기를 보았을리는 만무하고...
  결국 환단고기가  박은식의 책을 보고 베껴서 활용한 것으로 간주된다. 환단고기가 위작(僞作)이고, 그 위작의 시점은 박은식의 책이 나온 1915년 이후라고 추정할 수 있는 유력한 근거가 되는 구절이 바로 이것이다.
 
  상식있는 학계의 모든 학자들이 위서(僞書)로 간주하는 책을, 대통령이 버젓이 광복절 축사에서 인용해대고... 품격이 말이 아니구나...
  차라리 그 원조 격인 박은식의 문장을 인용할 것이지... 독립운동을 하면서 임시정부 대통령도 지냈고...

  환단고기를 인용하게끔 만든 연설비서관을 비롯한 참모들의 수준이 여실히 드러나고, (다른 일들을 하는 데는 수준이 다를까? 흠...) 그걸 분간못한 대통령도 참 ... 다들 어지럽다.
  더구나 이번  광복절 축사에는 '광복'보다는 '건국'의 의미를 더 강조했다는 언론기사도 있다. 수년 전부터 시도되던 뉴라이트들의 건국절 제정 움직임을 떠올리게 된다.

  한국사 교육이 제대로 될 필요가 있다. 여하튼.
 
 
 
 
====
 
 
얼마 전에도 짧게 글을 올린 적이 있지만,
  미디어 오늘의 부탁을 받고 조금 내용을 갖추어서 글을 만들어보았다.
 
  < 광복절 축사에 위서(僞書) 인용한 대통령 > (미디어오늘, 13. 8. 21.)
 
 
 
 
 
===
 
 
 
 
환빠와 뉴라이트가 결합하면 우리나라 역사는 어찌 될꼬...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