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K값 논란은 이렇게 정리하면 되는 건가요?
게시물ID : science_6320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택배기산데요
추천 : 1
조회수 : 513회
댓글수 : 11개
등록시간 : 2017/04/19 20:18:35
미분류표(미분류지만 유효로 수개표된 표 포함)에 K=1.5 로 정규분포가 형성됐다.

1. 랜덤으로 미분류표가 뽑히는 구조라면 k=1 에 가까워야 하는 것은 사실이다. 모집단과 표본집단이 엄청나게 크므로.
2. K=1.5 가 된다는 점은 분명 신기한 일이긴 하나 그 원인은 부정개표가 아닌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요약하면, 임의추출이 되지 않을 다양한 요소가 있을 수 있다는 뜻.
3. 그러므로 무조건 K=1.5 니까 부정개표라고 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그러나 K가 1이 아닌 이유(임의추출이 아니게 만들 변인)에 대해서는 고찰할 필요가 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7-04-19 20:20:00추천 0
하지만 그 모든 1.5데이터의 종합이 정규분포를 그대로 따른다.
여기서 아웃.
댓글 2개 ▲
2017-04-19 20:21:04추천 0
무슨 뜻인가요? 이해가 잘 안되는 문과생이라...
2017-04-19 20:46:44추천 1
글쎄요?
만일 미분류가 유발되는 원인이 기계적 성능과 관련있다면 오히려 정규분포가 나오는 게 당연한 거 아닌가요?

예를 들어서 이런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투표 용지들을 한장씩 OCR 스캔하는 쪽으로 밀어넣고 광학인식 처리를 하겠죠.
이렇게 밀어넣을 때 정확히 중앙에 밀어넣어지는 것이 아닌 한쪽으로 치우치다보니
맨 윗칸과 맨 아랫칸의 가장자리에 찍힌 도장들이 인식 판단 보류로서 미분류 빠져나오는 거죠.

하지만 선거에서 대부분 1,2,3위 후보에 도장들이 찍히다보니
맨 아랫칸 후보의 미분류표는 없고 첫번째 후보의 미분류표만 2,3위 후보보다 도드라지게 나타나는 거.

이런 거 말고도 물리적 요인들은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있고 이건 수없이 반복테스트를 해봐야 아는 겁니다.
짐작만으로 이런 경우 말고는 없겠지... 라는 건 없어요.
안그랬더라면 광학인식장치 개발이란 게 참 쉬었게요?
[본인삭제]dacoon
2017-04-19 20:21:22추천 1
댓글 6개 ▲
2017-04-19 20:22:15추천 0
왜 근거가 부족한건가요? 정말 궁금해요
2017-04-19 20:26:07추천 2
K가 왜 그런지에 대해서 아무도 몰라서요.

K가 어떤 값이어야 한다고 주장하려면 K값의 성질을 알아야 하는데 K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많은 것만 보이지 각각이 진짜 영향을 주는지도 얼마나 주는지도 모르는 상황입니다.

물컵에 물이 담겨져 있는 것을 봤을 때 이게 누가 물을 부어넣는건지 비가 내린건지 아니면 물이 가득 차 있었는데 마셔서 그것만 남은건지 알 수 없는 거랑 똑같습니다.
2017-04-19 20:29:48추천 0
1 그러니까 님의 말은 k=1 이 아닐 다양한 개연성이 존재할 수 있다는 뜻 아닌가요? 저도 그 점은 충분히 이해했습니다만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표를 완전히 랜덤하게, 수학적으로 잘 섞인 상태에서 100만표 가까이를 뽑는다면 k=1 이 되는게 맞지 않나요? 전 이게 아니라고 하니까 그 점이 잘 이해가 안되서요.
2017-04-19 20:31:00추천 0
정확히는 51:48에 가깝게 말이죠.
2017-04-19 20:37:27추천 2
진짜 모든게 랜덤하다면(한쪽으로 쏠리는 건 없다는 의미로 말했을 때) 1이 되겠죠.

근데 그건 진짜 교과서에서 나오는 공기의 저항은 무시하고 수준의 가정이라서요.

실제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서는 k=1이 아닐 수도 있는거죠. 오히려 1이 아닌게 정상인 경우도 많고요
2017-04-19 20:42:09추천 2
아무조건 없이 랜덤하게 표본을 뽑는다면 K=1에 수렴하는게 맞습니다. 대선 투표수정도의 다수표본이라면 이건 거의 99.99%입니다. 하지만 말씀하신것처럼 미분류표는 단순히 랜덤하게 뽑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1에 수렴하지 않아 조작이다라고 직접적으로 결론 내리기에는 무리가 있는것이 맞습니다.
2017-04-19 20:24:29추천 2
제 의견은...

미분류표(미분류지만 유효로 수개표된 표 포함)에 K=1.5 로 정규분포가 형성됐다.
- (△). 1.5라고 말할 정돈 되는데 정규분포인지는 모릅니다.

1. 랜덤으로 미분류표가 뽑히는 구조라면 k=1 에 가까워야 하는 것은 사실이다. 모집단과 표본집단이 엄청나게 크므로.
- (O). 단, 투표 용지의 대칭성도 고려했으면 하고, 제가 생각하는 완전 랜덤의 조건을 만족하면 그때부터 그건 이미 '선거'가 아니게 됩니다.

2. K=1.5 가 된다는 점은 분명 신기한 일이긴 하나 그 원인은 부정개표가 아닌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요약하면, 임의추출이 되지 않을 다양한 요소가 있을 수 있다는 뜻.
- (O).

3. 그러므로 무조건 K=1.5 니까 부정개표라고 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그러나 K가 1이 아닌 이유(임의추출이 아니게 만들 변인)에 대해서는 고찰할 필요가 있다.
- (O).
댓글 1개 ▲
2017-04-20 02:50:04추천 1
1.저 모양이면 정규분포 맞음. 이런 종류의 연구에서 완전한 정규분포식을 기대하면 그건 무리.
2.임의 추출 요소가 되지 않을 것도 넣어도 역시 미분류표의 샘플을 너무 큼.
3.부정개표는 증거가 없으므로 말할수 없음. 그러나 확실히 1.5는 이상한 숫자임.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