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K
게시물ID : science_6321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NINANO
추천 : 0
조회수 : 256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7/04/20 04:33:43
주사위를 10번굴려서 평균값을 구해서 그 값의 정규 분포를 그렸다고 해봅시다.

자세한 내용은 이미 다 잊어서 정확히 알 수는 없겠지만, 대략 3.5근방에서 피크를 치는

정규분포 곡선을 그릴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통해 정상적인 주사위를 관찰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겠죠.

그런데 이렇게 측정해서 만든 정규 분포 곡선이

4.5에서 피크를 나타내는 정규 분포 곡선이라고 가정해봅시다.

통계 배운내용이 다 기억나지 않더라도

이 주사위의 눈금은 2,3,4,5,6,7 일 것임을 우리는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달라진 정규 분포곡선을 본다는 것은 우리가 동일한 주사위를 관찰하지 않았다는 말과 동일합니다.

K=1인 개표상황과 K=1.5인 개표상황은 전혀 다른 개표 방법이라는 뜻입니다. 그것을 굳이 부정개표라는 말을 붙이지 않더라도

이전과는 다르게 개표했다는 것을 우리는 알아차려야 하는 것입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7-04-20 06:03:00추천 1
넵 당연히 두개는 다릅니다.
근데 다른 이유를 명확히 찾을 수 없는거죠.

굳이 부정개표라는 이유를 붙이고 싶으면 추가적인 근거를 가져와야 합니다.
댓글 0개 ▲
2017-04-20 08:46:35추천 2
K값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개표 부정 말고도 다른 요인이 있을 수 있으니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고 이제 더 말하기도 지친다.

아무래도 이사람들 글 안읽고 댓글 다는 것 같음
댓글 1개 ▲
2017-04-20 09:04:05추천 1
이쯤 오면 글은 읽었지만 계속 앵무새짓 하는거죠..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